이날 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한 '서울숲 아이파크 리버포레' 전용 84㎡는 31억원에 매매되면서 새로운 최고가를 기록했다. 올해 1월 같은 평형이 25억 8000만원에 거래된 것에 비하면 한 달 만에 5억2000만원이 오른 셈이다.
'서울숲 아이파크 리버포레'는 1차와 2차에 나뉘어 단지가 공급됐는데 사업 지연과 추가 분담금 문제로 최근 많은 논란을 일고 있는 지역주택조합(지주택)의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다.
1차 단지는 5개동으로 지어졌으며 최고 33층, 총 825가구로 조성됐다. 2차 단지의 경우 최고 36층이며 528가구로 구성됐는데 내년 말 입주를 목표로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이다.
사진=KBS뉴스
지난 2월 전용 84㎡ 평형이 31억 원 신고가에 거래되었지만, 실제 호가는 35억원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2월 중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 재지정을 반복하면서 일대 집값이 들썩인 배경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토허제가 해제되자마자 잠실 대장 아파트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 전용 84㎥는 30억 원을 단숨에 돌파하며 업계를 놀라게 했다. 하지만 이후 토허제 재지정이 발표되자 26억~27억원 수준까지 내려가며 잠시 주춤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성수 '서울숲 아이파크 리버포레'는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재지정으로 발이 묶인 잠실과는 달리 거래가 자유롭기 때문에 일대 집값을 넘본다는 전문가의 분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성수 일부 재건축 단지의 미래를 봤을 때 강남권 토지거래허가 재지정 여파에 따른 수혜까지 흡수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흘러나오고 있다.
올해, 내년 걸쳐 서울 분양 물량 '역대 최저'
사진=KBS뉴스
지난달 성수동 동아 아파트 전용면적 95㎡ 역시 21억5000만원의 신고가를 경신하며 새로운 기록을 달성했다. 지난해 3월 같은 면적 매물이 18억3000만원에 팔린 것에 비하면 1년도 되지 않아 3억1700만원 오른 셈이다.
무엇보다 토허제로 인해 불이 붙은 강남3구와 용산구 집값이 주변으로 번져나가는 모양새라 정부에서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토허제 재지정이 발표되면서 당장의 거래량은 급감했지만, 인근 지역에 거래가 몰리며 '풍선 효과'가 번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토지거래허가제가 투자자들의 수요를 억제하기보다는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규제 회피형 이동'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한편 서울시는 토허제 구역 확대 재지정 후 마포·성동·광진·강동구 일대를 중심으로 부동산 현장 점검을 확대하고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서울의 예정된 분양 물량은 역대 최저 수준이며, 내년에는 올해 예정 물량인 3만 7681가구의 약 25% 수준에 불과해 집값 불안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