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측이 2분기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한다고 밝혀 화제를 모으고 있다.
한은 측이 이번에 금리를 동결한 이유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2월에 이어 연속 금리를 인하할 경우 미국과 금리차가 더 벌어져 원화 가치가 하락해 환율 불안이 더 커질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 가계대출과 부동산 등 금융 불안과 추경이나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관련 불확실성 또한 이 같은 결정의 배경으로 적용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금통위 측은 작년 10월경 기준 금리를 0.25%p 낮췄으며 그해 11월경 시장의 예상을 깨고 연속으로 금리를 인하했다.
이후 1월에는 금리를 '동결' 했으며 2월에는 기준금리를 0.25%p 더 낮췄다. 2월에 금리가 인화된 것은, 계엄과 탄핵 정국 속에서 소비나 투자 등 내수 위축으로 작년 4분기 성장률이 0.1%에 그쳤기 때문으로 보인다.
미국 연준 파월 의장, "앞으로 금리 인하는..."
사진=픽사베이(기사와 관계없는 사진)
또 올해 성장률이 1.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며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이 불가피한 상태였다. 특히 2월 금통위 회의 뒤에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경기와 성장 우려는 더욱 거세졌다.
이번 달 금리가 '동결'된 것은, 미국발 관세 장벽 확대로 인해 환율 변동성이 더 커졌기 때문이다. 달러 원 환율은 작년에 1300원대에 머물렀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 후 1450원대로 높아졌고,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인해 이달 초 1480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부과 조치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해 환율은 1420원대로 낮아졌지만, 미국과의 협상 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큰 만큼 불확실성은 해소되지 않았다. 가계부채 증가도 금리인하가 어려운 이유로 작용됐다.
사진=픽사베이(기사와 관계없는 사진)
지난 3월 서울시 토지거래허가제 해제로 인해 가계 대출도 시차를 두고 영향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편, 현지시간 16일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트럼프의 높은 관세 정책으로 인해 물가 인상과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관세는 최소한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며 "지금까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는 양대 목표가 긴장 상태에 놓이는 도전적인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 그런 일이 만약 일어난다면, 우리는 경제가 각 목표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 지와 간극이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전했다.
파월 의장은 "현재로서는 우리 정책 입장에 대한 어떤 조정을 고려하기 전에 더 많은 명확성을 기다리기에 좋은 위치"라며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 조정은 당장 고려하지 않을 것이며, 경제 상황을 앞으로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