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뱅크런'이라 불리는 대규모 예금 인출 사건이 일어난 새마을금고가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행정안전부와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직접 나서서 예금에 가입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한 번 드리웠던 불안의 그림자는 쉽게 가시지 않는 분위기다. 오늘까지 새마을금고 일부 지점에는 돈을 빼려는 고객들이 몰리면서 북새통을 이루기도 했다.
이러한 뱅크런 사태의 조짐이 보이는 이유는 지난달 29일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사상 최고 수준인 6.18%로 치솟으면서 파산 위기설이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3.59%에 비하면 거의 두 배 가까이 불어난 수치로 타 은행권 연체율(0.37%)과 비교해 보아도 무려 16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새마을금고 전체 1,300지점 가운데 연체율이 10%가 넘어가는 곳은 최소 30곳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부실 사태가 일어난 배경에는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연관되어 있다. 지난해 시장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하면서 연체율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새마을금고는 오피스텔이나 빌라, 전원주택 단지 건설에 최소 100억 원에서 300억 원가량의 특화 대출 상품을 취급했다.
새마을금고는 '파산'이 아니라 '합병'
본체만 무사하다면 5000만 원 이상도 문제 없다
사진=MBC뉴스 갈무리
그러나 행정안전부는 새마을금고의 예적금은 예금자보호법의 기준인 5,000만 원을 초과하여도 전액 보호된다는 발표로 안정성을 강조하였다. 이렇게 새마을금고와 타 금융기관의 예금자 보호 방식이 차이 나는 이유는 새마을금고의 운영 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의 운영 시스템은 '새마을금고 중앙회' 산하에 단위 금고가 개별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보통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는 일반 은행은 법인의 보유 자산 중 취할 것만 넘기고 불량한 부분에 대해서는 파산이 되면서 끝내는 방식으로 처리한다. 반면에 새마을금고는 부실화된 금고가 발생하면 파산이 아닌 타 지점의 금고와 합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중앙회 자체가 무너지지 않는 이상 개별 금고에 예적금을 들었다고 해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지금까지 60년 역사에 있어서 예금을 못 돌려준 적은 한 번도 없다"고 자신 있게 설명했다. 중앙회는 자금 여력이 충분하다며 일부 지점의 연체율 상승으로 인해 본체까지 타격받을 일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금융위원회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날 7일 서울 사직동에 위치한 새마을금고 본점을 방문하여 6천만 원의 예금 상품에 가입하기도 했다. 앞서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도 새마을금고 경희궁지점에 들러 현금을 예치하면서 시민들의 불안 진화에 나섰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시장 상황 안정이 가장 우선"이라며 높은 연체율을 기록한 새마을금고 30곳에 대한 특별검사 진행을 연기하였다. 정부는 새마을금고 사태와 관련하여 '범정부 대응단'을 구성하여 대응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