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정부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에 국내 증시도 롤러코스터를 타면서 코스피 변동성이 4년여 만에 최고 수준으로 커졌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11일까지 코스피의 일중 변동률은 평균 1.97%로 집계됐다.
이는 월별 기준 지난 2021년 2월(2.03%) 이후 4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일중 변동률은 당일 지수의 '고가와 저가의 차이'를 '고가와 저가의 평균치'로 나눈 값이다. 즉 당일 지수의 평균값 대비 변동 폭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지수가 위·아래로 크게 움직일수록 값은 커진다.
지난해 1월 1.15% 수준이던 일평균 일중 변동률은 8월 미국 경기침체 우려에 증시가 급락한 '블랙먼데이' 여파로 1.61%까지 높아졌다. 이후 다시 안정세를 보이며 올해 2월 1.02%까지 낮아졌다 3월 1.19%로 소폭 반등한 뒤 이달 들어서는 2%에 육박하고 있다.
일별로 보면 지난달 31일 1.39% 수준이던 일중 변동률은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발표한 지난 3일 2.09%를 기록하며 2%대로 올라선 뒤 4일에는 2.78%까지 치솟았다. 이후 오름폭을 소폭 줄였지만 여전히 2% 부근에 머물러 있다.
롤러코스터 장세에 코스피 변동성 4년여만에 최고…강심장 개미도 비명[연합뉴스]
종잡을 수 없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증시가 급등락을 반복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7일 코스피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에 대응해 중국 정부가 34%의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자 관세 전쟁 현실화 우려에 5.57% 급락했으며, 이튿날은 장 초반 2%대 상승세를 보이다 강보합세로 마감했다.
미국 상호관세 발효일인 9일엔 상호관세 발효 시점인 오후 1시를 기해 낙폭을 키워 1년 5개월여 만에 2,300선 아래로 주저앉았으나, 다음날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유예 소식에 6.6% 급등했다.
한국형 공포지수로 불리는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도 급등락세를 보였다.
VKOSPI는 옵션 가격에 반영된 향후 시장의 기대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수로, 코스피가 급락할 때 급등하는 특성이 있어 '공포지수'로 통한다.
코스피가 5% 넘게 급락한 지난 7일 VKOSPI는 전날 대비 65% 급등해 작년 8월 '블랙먼데이' 이후 최고치인 44.23를 기록했으나, 이튿날은 14% 급락해 37.83으로 떨어졌다.
9일엔 8% 급등해 다시 40선을 회복했으나 다음날 31% 급락해 28.20으로 주저앉았다.
롤러코스터 장세에 코스피 변동성 4년여만에 최고…강심장 개미도 비명[연합뉴스]
이에 고위험의 레버리지·곱버스(인버스 레버리지) 상품을 대거 매수했던 '강심장' 개미들도 일별로 천국과 지옥을 오가야만 했다.
대표적으로 코스피200지수 상승 시 2배의 수익률을 얻는 상장지수펀드(ETF) 'KODEX레버리지'는 증시 급락에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된 지난 7일 주가가 1만3천195원으로 11% 급락했으나, 지수 급등에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된 지난 10일은 12% 급등해 1만4천원대를 회복했다.
반면 코스피200선물지수 하락 시 역으로 2배의 수익률을 얻는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는 지난 7일 12% 급등해 2천600원대로 올라섰으나, 10일은 12% 넘게 급락해 2천300원대로 다시 주저앉았다.
주가 변동에 단기 차익을 노리고 몰렸던 투자자들은 역대급 변동성에 비명을 지르며 하루하루 마음을 졸여야만 했다.
증권가에서는 아직 관세 우려가 산재해 당분간 변동성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역사적 수준의 극단적 공포 구간에서 역사적 상승을 보이기까지 필요했던 것은 단지 트럼프의 세치 혀였다"며 "상호관세가 유예된 가운데 숨은 돌렸지만 아직 안심은 금물이다. 정치적 요인 등에 의해 기타 국가들과 양자 협상 과정에서 마찰이 나타날 수도 있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품목별 관세도 여전히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이 안도했던 10% 기본관세도 수출을 주력으로 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다소 불편한 요소로, 향후 수출 전망의 추가 하락이 불가피하다"며 "한국은 방위비·무역수지·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그램 등 양자 협상에 따른 희비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짚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조치에 대해 90일 유예를 발표한 가운데 앞으로 90일간 주요 교역국들은 고지된 상호관세를 낮추기 위해 트럼프와 협상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당분간 트럼프와 시진핑 그리고 각 국가들의 관세 협상에 대한 주요 발언과 결과에 따른 상·하방 변동성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증시가 저평가된 만큼 추가 하락 시 미중 갈등의 수혜주를 중심으로 저가 매수 전략은 유효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경민 연구원은 "코스피 2,440선은 12개월 선행/확정 실적 주가순자산비율(PBR) 기준 2008년 금융위기 수준을 소폭 상회하는 수준"이라며 "2,400대에서는 변동성을 활용한 비중 확대가 유효하고, 2,400선 이하에서는 적극 매수 전략이 필요하다. 미중 갈등 고조의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반도체, 제약, 이차전지에 주목한다"고 밝혔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