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5만원? 10만원?" 결혼 축의금 얼마 내면 적당할까?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12.06 12:35:04
조회 8367 추천 0 댓글 21


결혼 축의금 얼마 내면 적당할까?[연합뉴스]


최근 한 유명 연예인이 무명 시절 때 친한 지인 결혼식에 가서 축의금을 5만원밖에 못 내서 미안한 마음에 밥을 먹지 않고 결혼식장을 나왔다는 고백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화제에 올랐다.

이 연예인처럼 우리나라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고민하는 순간 중의 하나가 바로 결혼 축의금을 얼마 내야 할지다.

청첩장을 접할 때마다 3만원, 5만원, 10만원, 아니면 중간 수준인 7만원을 낼지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눈치'를 보는 일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축의금 적정액을 찾아본다는 글도 온라인 커뮤니티에 심심치 않게 올라오고 있다.

최근에는 진심으로 축하하는 마음이 축의금에는 사라지고 '돈 거래'라는 형식만 남아 청첩장이 '고지서'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있지만, 축의금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빠질 수 없는 축하 관행이다.

그렇다면 결혼 축의금은 어느 정도 액수가 적당할까.

축의금을 내는 건 개인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있을 순 없다. 축의금을 내기 힘든 상황이라면 마음을 담은 편지나 정성을 담아 만든 선물로도 충분하다.

결혼식 참석 여부를 떠나 축의금을 낸다고 가정하면 김영란법에는 축의금이 5만원으로 한정돼있다. 각종 설문 조사 등을 분석해보면 일반적으로 아는 사람에게 축의금을 낼 때는 5만~10만원 정도 액수를 내는 게 사회적으로 통용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친한 사이일 경우 축의금 액수가 10만원을 넘는 게 전반적인 사회적 추세로 파악된다.

조선시대에도 부조 문화…초창기엔 물품으로 축하하기도


결혼 축의금 얼마 내면 적당할까?[연합뉴스]


현대 결혼식에 동반되는 축의금, 이른바 '부조(扶助)' 문화는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생겼을까.

혼례를 서로 챙기는 관습은 수백 년 전부터 있었다. 과거에는 일손이나 현물로서 돕는 '품앗이' 성격을 갖고 있어 지금처럼 받은 금액만큼 돌려주는 '거래' 의미는 강하지 않았다.

부조란 혼례 등에 돈이나 재물을 보내 축하하는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 기록에는 17세기 초 학자 장현광의 문집 '여헌집'(旅軒集)에 '계원 중에 남혼여가(男婚女嫁)가 있으면 법식에 따라 혼인에 필요한 물건을 돕도록 한다'는 내용이 나온다. 혼례에 필요한 물품으로서 '부조'가 이뤄졌음을 보여준다.

현물 대신 현금을 주는 부조가 등장한 시점은 18세기쯤으로 추정된다.

역관 홍우재의 '동사록'과 정약용의 '다산 시문집'에 "현금으로 부조했다"는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다.

이후 구한말 왕실과 관청에 그릇을 납품하던 공인 지씨가 쓴 '하재일기'(荷齋日記)에도 각종 혼례와 상례·제례에 돈과 물품을 부조했다는 내용이 있다.

1900년대까지도 여전히 결혼 축하는 대부분 현금이 아닌 물품으로 이뤄졌다. 제주도에서는 20세기 중반까지 결혼식에 곡식으로 부조했고, 경상북도에서도 쌀·감주·술 등을 줬다.

현재와 같은 현금 형태의 축의금이 등장한 것은 1970년~1980년대다.

1980년대부터는 본격적으로 결혼식장의 부조록에 물품 대신 축의금 액수가 적히기 시작했다. 식장 입구에는 축의금 접수대가 등장했고 1990년대부터는 결혼식에서 축의금이 보편화됐다.

2020년대 들어 축의금을 직접 봉투에 담아 건네지 않는 경우도 늘고 있다. 계좌이체로 송금하거나 소셜미디어(SNS) 송금 서비스를 통해 보내는 MZ세대(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가 늘었다. 카카오페이의 축의금 송금 봉투 활용률은 최근 5년 새(2019~2023년) 360%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밥이나 자장면값과 마찬가지로 시대 변화와 물가 상승에 따라 축의금 액수도 꾸준히 올랐다.

2001년 SK가 사내 임직원 106명을 대상으로 '회사 동료, 상사, 후배, 거래처 등 공적 관계'일 경우 결혼 축의금을 설문했더니 전체의 45%가 3만원이 적당하고 답했다. 1만∼2만원이 전체의 40%, 4만∼5만원은 11%, 5만원 이상은 4%로 조사됐다. '친구나 친척'일 경우 액수는 3만원이 38%, 4만∼5만원이 26%, 5만원이 19%, 1만∼2만원이 17% 순이었다.


결혼 축의금 얼마 내면 적당할까?[연합뉴스]


2005년에는 우리나라 국민이 친척 이외의 결혼식에 내는 축의금 액수는 3만-5만원이 가장 많았다.

2005년 한국갤럽이 전국(제주도 제외)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천5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보니 친척 이외의 축의금으로 얼마를 내느냐는 질문에 '3만원 초과 5만원 이하'를 내는 응답자가 52.0%로 가장 많았고 '3만원 이하'(44%), '5만원 초과'(3.7%)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 축의금은 4만2천원으로 2001년의 3만6천원, 1994년의 2만8천원보다 늘었다.

2017년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20∼30대 미혼남녀 438명에게 '적정 축의금 액수가 얼마인가'라고 물어보니 전체의 58%가 '5만∼7만원'이라고 대답했다. 이어 '3만∼5만원'(25%), '7만∼10만원'(6%), '10만∼13만원'(5%) 순이었다. 축의금 액수는 '친밀도'(79%)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다.

지난해 인크루트가 대학생·구직자·직장인 등 1천177명을 대상으로 결혼식 축의금 적정액을 설문해보니 알고 지내는 동료에는 5만원, 친한 사이에는 10만원 이상이 적당하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같은 팀이지만 덜 친하고 협업할 때만 보는 직장 동료, 가끔 연락하는 친구나 동호회 일원 등 그냥 알고 지내는 사이는 5만원이 적당하다는 의견이 각각 65.1%와 63.8%로 가장 많았다. 사적으로도 자주 소통하는 직장 동료에게는 10만원이 적당하다는 응답이 63.6%에 달했다.

지난해 10월 KB국민카드가 고객 패널 '이지 토커' 400여명을 설문했더니 알고 지내는 사이일 경우 축의금을 5만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이 53%였고,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를 낸다는 응답은 44%였다. 친한 사이에는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52%), 10만원 초과 20만원 이하(29%)가 많았다.

카카오페이가 축의금 송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평균 축의금 비용은 9만원이었다. 2021년 평균 7만3천원, 2022년 평균 8만원, 지난해 평균 8만3천원에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평균 축의금은 6만원, 30~40대는 10만원, 50~60대는 12만원이었다. 나이와 무관하게 적정 축의금이라고 생각하는 액수는 10만원이었다. 카카오페이가 진행한 투표 참여자 7만4652명 중 58%가 10만원을 적정 축의금으로 선택했다.

'참석 여부'로 달라지는 축의금…결혼 식대 고려


결혼 축의금 얼마 내면 적당할까?[연합뉴스]


최근에는 결혼식 참석 여부에 따라 축의금 액수도 달라지는 분위기다.

결혼식에 참석하면 식사하게 되는데 식대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축의금만 계좌로 보내고 결혼식에는 안 가는 게 혼주에게 도움이 된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올해 하반기에 미혼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결혼식 축의금'을 설문해보니 결혼식에 참석할 경우 내겠다는 축의금은 '평균 8만6천원'이었다. 불참할 경우에는 '평균 6만원'이었다. 참석하지 않는 경우는 직접 갈 만큼의 친분이 아니거나, 결혼식장에서 식사하지 않는 점을 고려해 평균 금액이 더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축의금 액수를 결정하는 가장 큰 기준은 '당사자와의 친분 및 알고 지낸 시간'을 택한 비율이 86.8%로 1위였다. 이어 '향후 내 결혼식에 참석할 사람인지 여부(5.6%)', '결혼식 장소 및 식대(5.4%)', '실물 청첩장의 전달 여부(2%)' 순이었다.

웨딩업계는 결혼식장에서 제공하는 식대가 축의금 액수의 척도가 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 서울 시내 결혼식장의 식대는 평균 5만∼8만원 선이며 호텔의 경우 기본적으로 10만원을 훌쩍 넘는다. 더구나 결혼식장의 식비 또한 물가 상승률에 맞춰 매해 오르는 추세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지난해 10월 KB국민카드 조사에 따르면 축의금 준비 시 고려 사항으로는 '결혼식장 갈 때 동반자가 있으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응답이 전체의 76%, '식사비가 비싼 곳이면 축의금을 더 낸다'는 61%로 동반자 여부와 결혼식장 식대가 축의금 액수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줬다.

지난 4월 신한은행이 만 20~64세 경제활동자 1만명을 이메일로 조사해 작성한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축의금은 결혼식에 가지 않고 봉투만 보낸다면 5만원, 직접 참석한다면 10만원을 낸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지인 결혼식에 축의금 얼마를 내느냐'는 질문에 직접 참석하는 경우는 10만원을 낸다는 응답이 67.4%로 가장 많았다. 이어 5만원이 16.9%, 20만원이 8.6% 순이었다. 참석하지 않고 봉투만 전하는 경우엔 5만원을 내겠다는 응답이 52.8%로 가장 높았다. 평균 액수는 불참할 경우 8만원, 참석하는 경우에 11만원이었다.

결혼식 축의금의 액수를 정하는 기준으로는 모든 연령대가 사회적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20·30대의 결혼식 축의금 액수 결정 기준은 사회적 관계가 28.9%로 가장 높았고 내가 받은 금액이 22.4%, 나의 지출 여력이 12.3%로 뒤를 이었다. 40대 이상의 경우 사회적 관계가 32.7%, 내가 받은 금액이 31.1%, 나의 지출 여력이 12.1%였다.

인공지능은 축의금 적정액 '5만~10만원' 정도 제시


결혼 축의금 얼마 내면 적당할까?[연합뉴스]


인공지능(AI)에도 축의금 적정 액수를 물어봤다.

마이크로소프트의 AI 모델 코파일럿(Copilot)은 대학 동기나 직장 동료, 가까운 친구들은 5만~10만원, 정말 가까운 친구나 특별히 친밀감을 느끼는 경우는 10만원 이상이라고 답했다.

부모나 형제자매, 조카 등 가까운 친척일 경우 10만원 이상, 삼촌이나 이모, 사촌 등 중간 정도의 친척은 5만~10만원, 재종 조카, 사촌의 자녀 등 먼 친척은 3만~5만원의 축의금이 적당하고 분석했다.

직장 동료의 경우 가깝지 않은 직장 동료의 결혼식 축의금은 5만~10만원, 평소 자주 교류하고 친밀한 관계는 10만~20만원을 적정선으로 제시했다.

오픈AI의 챗GPT는 친밀도, 지역, 결혼식 장소를 나눠 축의금 적정 액수를 평가했다.

친밀도에 따른 축의금 적정액은 친한 친구는 10만~20만원, 직장 동료나 지인은 5만~10만원, 가벼운 관계는 5만원으로 제시했다.

지역에 따라서는 도시의 경우 축의금 수준이 조금 더 높을 수 있다며 10만원 이상을 권장했으며, 지방이나 소도시의 경우 5만원도 적당한 경우가 많다고 언급했다. 결혼식 장소는 예식장이 호텔일 경우 일반적으로 더 많은 축의금을 내는 것이 예의로 여겨진다고 분석했다.

최근 김영란법이 개정됐지만 이전과 동일하게 축의금 한도는 5만원이다. 이는 단독으로 주는 경우에 해당하며 직무와 관련된 경조사일 때만 적용된다. 만약 화환과 함께 준다면 합산 금액 10만원을 넘기면 안 된다.

김영란법은 부정청탁금지법이라고 불리는데 부정 청탁이나 금품 수수를 제한하는 법으로 2016년 처음 시행됐다. 직무 관련 경조사비, 선물, 접대 등에 허용되는 금액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는데 적용 대상은 공직자, 언론인, 사립학교 교직원이다. 직무와 무관한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친구나 가족의 행사에서는 축의금을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다.



▶ 민주노총, 탄핵 촉구하며 與 국회의원 전화번호 홈피에 공개▶ "5만원? 10만원?" 결혼 축의금 얼마 내면 적당할까?▶ "출근길 당기고 대체 표 구하고…" 철도노조 파업 이틀째 시민 진땀▶ "902세대 공급" 대림3동·번동에 모아타운·모아주택…▶ "최대 월 4억5천만원 보상" '중증응급환자 수용·진료' 의료기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술 마시면 실수가 많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14 - -
12413 "미국 신뢰도 떨어져" '월가 황제' 다이먼, 트럼프 향한 맹렬한 비판...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5 8 0
12412 "거동 불편해져" 91세 이순재, 건강 악화로 시상식 불참... 대체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35 8 0
12411 "더 냈다가 못 돌려받은 건보료 환급금 327억" 3년 지나면 소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5 15 0
12410 "사고 안나면 보험료 환급"…삼성화재, 원데이 차보험 특약 출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 16 0
12409 "명품원가 이정도로 싸다"…관세전쟁속 중국발 틱톡 폭로전 확산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 16 0
12408 "내달부터 파킹통장도 비교·추천" 온라인 예금중개 제도화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 13 0
12407 "디오메르 선크림 등 2종, 호르몬 영향 물질 한도 초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 12 0
12406 "올해는 부동산보다 금"…부자들, 불경기 안전자산에 눈 돌린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0 12 0
12405 "가족부양 위해 女도 일해야" 청장년 남성 68%, 6년전比 11%P↑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5 13 0
12404 "정부, 내년 의대 모집인원 '3천58명 동결' 유력" 내일 발표할 듯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5 12 0
12403 "잠잠해지나 했더니" 엔비디아발 악재…코스피 또 먹구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5 13 0
12402 "기존 상품과는 다르게" 토스뱅크, 내년 주담대 출시한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5 11 0
12401 "이번엔 엔화 오를 차례" 서학개미도 '강세' 베팅 ETF 1조원 뭉칫돈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92 0
12400 "중국까지 무너지나" 유명 글로벌 투자은행, 中 증시 목표가 '하향'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92 0
12399 "18년간 돈 떼였는데" 이승기, 이번에는 '투자 사이트' 악재 법적 대응한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85 0
12398 "나홀로 떠오른다" 전세계 증시 하락에도 'K방산' 관련주 불기둥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92 0
12397 "외국인 매수 폭발" 사상 최고가 경신한 '이 종목' 대체 뭐길래?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5747 0
12396 "100% 수익 먹고 나가요" 숏스퀴즈 투자 강심장 '서학개미' 확 늘어난 이유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99 0
12395 "오피스텔 월세 3년반만에 최대폭 상승" 매매·전세는 동반하락 [5]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5399 0
12394 "종부세 내는 고액부동산 소유자, 국회의원 20%…일반국민 11배"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84 0
12393 "신입·경력 직원 및 임원 채용" 출산장려금 1억원 주는 부영그룹, 지원방법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82 0
12392 "반려동물 관절염에 좋다더니..." 영양제, 기능성 원료는 '0' 충격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90 0
12391 "現 고1부터 치르는 수능 예시문항 보니" 국·수·사·과 첫 공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77 0
12390 "땡큐 트럼프?…" 월가 대형 은행들, 1분기 증시서 웃었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79 0
12389 "4월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 예상" 채권 전문가 88%의 분석... 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74 0
12388 "작년 대기업 오너가 여성 배당금 5천779억원" 삼성家 4천 94억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172 0
12387 "달러 10% 내릴 동안 원화 3%만 올랐다…" 원화 저평가 여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91 0
12386 "故구하라 사진에 관짝 합성" 일본 걸그룹, 악의적 마케팅 논란 [14]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5 4036 8
12385 "오히려 돈 잃었다" 청년펀드, 대체 무슨 일이? 흥행 실패에 대참사 [3]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2807 0
12384 "명품시장까지 '빨간불'" 트럼프 관세폭탄, 여기까지 찬물 끼얹었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37 0
12383 "고래 싸움에 새우는 활짝" 중국 희토류 수출 중단에 '관련주' 불기둥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49 0
12382 "1가구 1로봇 시대 연다" 제2의 엔비디아 노리는 AI 로봇 관련주 ETF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44 0
12381 "2만원이면 온 가족이 배터지게 먹어" 대박 터트린 이마트 '반값 주꾸미' 판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75 0
12380 "대폭락장 다가온다" 유명 경제학자의 경고, 암호화폐 비트코인 전망 분석 [18]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7470 8
12379 "AI 면접훈련·인턴십 지원" 서울시, 청년취업 '사다리' 놓는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21 0
12378 "전과 다수·여죄 조사" 박나래, 자택 절도 피의자 검거... 내부 소행 아니었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44 0
12377 "야외활동 시 SFTS 옮기는 참진드기 주의" 질병청, 감시 시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12 0
12376 "최대 36% 할인" 쿠팡 로켓프레시, 캐나다·노르웨이산 '항공직송' 생연어 할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34 0
12375 "1992년 이후 한차례 뿐"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9주째 확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20 0
12374 "1주택자 세부담 완화 올해도…" 공정시장가액비율 43~45% 유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05 0
12373 "오늘부터 배민 '포장'도 수수료" 반발한 일부 점주 서비스 해지까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19 0
12372 "주4.5일 근무제 도입·주52시간제 폐지" 국민의힘, 대선공약 추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22 0
12371 "물 마시러 가다가 갑자기 폭삭"…'구사일생' 굴착기 기사 생존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13 0
12370 "차기 대선 후보는..." 이재명 48.8%…김문수 10.9%, 한덕수 8.6%, 한동훈 6.2%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4 165 0
12369 "자수성가 충분히 가능해" 나홀로 일어선 MZ세대, 성공 투자 비법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83 0
12368 "역시 한국이 세계 최고" 트럼프 한마디에 최고 '수혜주' 등극 불기둥 전망 [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287 0
12367 "지금은 이렇게 투자해야" '막막한 증시'에 증권사 추천 펀드 7종 대체 뭐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56 0
12366 "드디어 집값 안정화될까" 이재명 부동산 정책 대선공약 분석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62 0
12365 "미국 여행 안가" 트럼프, 이것까진 생각 못했나? '대미 정서 악화' 충격 근황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70 0
12364 "워런 버핏도 담았다" 경기침체 폭락장 우려에 뭉칫돈 몰린 '이 종목'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82 0
뉴스 ‘바이러스’ 장기하 “김윤석 조언에 연기 도전…‘부럽지가 않어’ 영감도”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