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첫 해외 법인 설립한 리벨리온, 일본의 '높은 벽' 넘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4.03 10:43:11
조회 48 추천 0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이 첫 해외 법인 설립지로 일본을 선택하고, 일본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에 나선다. 리벨리온이 일본을 첫 해외법인으로 설립한 이유는 2024년 1월 시리즈 B 투자에 참여한 일본의 밴처캐피털 다이와 벤처스(DGDV)와 관련이 있다. 앞서 리벨리온은 DGDV를 통해 현지 네트워크 확장 및 잠재고객 확보 등 일본 시장에서 매출을 올린 바 있다. 일본 사업은 동경대 출신으로 베인앤드컴퍼니, 무신사의 초기 일본 사업을 담당했던 김혜진 전략 리드가 이끌며, 일본 내 법인장 선임 및 기술전략 담당 인력 채용에 나선다.


우리나라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이 일본 진출을 선언했다 / 출처=리벨리온



리벨리온은 일본 이외에도 지난해 3월 미국 실리콘밸리에 사무실을 개소했고, 사우디 아람코로부터 받은 2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바탕으로 사우디법인 운영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을 첫 법인 설립지로 선택한 것에 큰 의미는 없지만, 일본 시장 자체가 AI 반도체 시장에서 주목할만한 장소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현재 일본의 AI 반도체 시장 상황과 해외 반도체 기업의 진출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짚어본다.

일본 AI 반도체 시장, 매년 30%씩 성장 가능성


데이터 기반 컨설팅 기업 imarc가 집계한 일본의 인공지능 칩 시장 규모는 2024년 8억 6400만 달러(약 1조 2680억 원)며, 2025년에서 33년까지 매년 29.4% 성장해 2033년에는 87억 7700만 달러(약 12조 8714억 원) 시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기업 그랜드뷰리서치는 일본 전체 AI 시장 규모가 2030년까지 1258억 9160만 달러(약 184조 원)에 이르고, 2025년부터 30년까지 연평균 41.8%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 시장만 놓고 보더라도 매년 30%씩 성장하고, AI 시장 전체는 다른 어느 나라보다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내각총리대신 / 출처=일본 총리실



일본 AI 시장의 높은 성장세에는 일본 정부의 막대한 자금력이 뒷받침된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해 말, 향후 10년 간 약 50조 엔(약 489조 원)이 넘는 관민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2030년까지 자국 인공지능 및 반도체 산업에 10조 엔(약 97조 원)의 공적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중 일본산 첨단 칩 생산에만 4714억 엔(약 4조 6130억 원)이 배정됐다. 2027년까지 양산을 목적으로 하는 라피더스는 기존 9200억 엔(약 9조 원)에 추가로 8025억 엔(약 7조 8500억 원)을 추가로 받기로 했으며, 구마모토에 공장을 짓고 있는 TSMC, 히로시마에서 HBM, D램 등을 생산 예정인 마이크론도 수혜를 받는다.

AI 도입 속도 붙은 일본 기업, 한 박자 늦는 일본 AI 기업


일본이 AI 반도체에 집중하는 이유는 그간 시장 경쟁에서 뒤처진 부분을 바로잡기 위해서다. 2024년, 일본 정보경제사회추진협회(JIPDEC)가 일본 기업 983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 IT 이용 및 활용 동향조사에 따르면 일본 내 기업 69.5%도 생성형 AI를 도입하거나 도입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역시 생산인구 감소에 따라 제조업과 IT 업계, 소규모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AI 도입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문제는 일제 AI가 시장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NTT가 2023년 공개한 쓰즈미(tsuzumi)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도입 이외에 별다른 성과가 없고, NEC 코토미(cotomi)도 시장의 반향을 일으키진 못하고 있다. 스위스IMD가 발표하는 2024년 세계 디지털경쟁력 순위 67개국 중 미국이 4위, 우리나라가 6위인 것과 비교해 31위로 크게 떨어진다. 기술 부문은 상승 추세지만 지식 부문은 하락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민첩성이나 인력 등 요소도 부족한 상황이다.


프리퍼드 네트웍스의 MN-코어가 탑재된 슈퍼컴퓨터 MN-3, 초고효율 슈퍼컴퓨터로 그린 500 목록에 올랐지만 이미 2021년 11월의 얘기다 / 출처=프리퍼드 네트웍스



AI 연산 처리에 핵심인 AI 반도체 역시 과제가 산적해 있다. 미국발 반도체 패권으로 인해 생산 공장이 대만에서 미국으로 옮겨가고, 엔비디아 반도체의 수급 불안이 시장 성장의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 그나마 첨단 칩 생산 역량과 막대한 자금력으로 극복하려는 게 현 상황이다. 추론 과정에서 GPU의 대안으로 쓸 수 있는 NPU 기업은 프리퍼드 네트웍스 한 곳 정도고, 차량용 AI 반도체로 덴소, 르네사스, 미쯔비시 일렉트릭이 있다. 라피더스는 8개 대기업이 협력해서 구축된 반도체 제조사로 일본 AI 반도체 전략의 핵심이나, 설계보다는 생산에 주력하는 파운드리 기업이라 논외다.

프리퍼드 네트웍스는 자체 개발한 딥러닝 프로세서 MN-코어를 활용해 에너지 효율적인 제품에 집중하며, 이를 탑재한 슈퍼컴퓨터 MN-3는 에너지 효율 기록인 그린500 랭킹에서 최상위권을 차지하기도 했다. 지난 10월에는 딥러닝 및 AI 작업 맞춤형 서비스인 ‘프리퍼드 컴퓨팅 플랫폼’을 선보였긴 하나 2026년 1월에 가동을 시작하고, LLM 대응 MN-코어 탑재 제품인 MN-코어 L1000도 2026년 출시가 목표다.

리벨리온과 퓨리오사AI 이외에도 텐스토렌트, 콰드릭 등 두드려


프리퍼드 네트웍스의 신제품을 기다리는 일본 기업이 많겠지만, 제품 및 기업마다 효율이 다른 NPU 특성상 다른 외산 NPU 기업의 진입도 가능성이 있다. 리벨리온은 일본 법인 설립과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 통신사 등과 함께 진행 중인 AI 반도체 사업 협력에 속도를 내고, 일본 내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에 나선다. 퓨리오사AI 역시 지난해 9월 팬스타엔터프라이즈와의 사업협력을 통해 IT 인프라 시장을 공략 중이다. 팬스타엔터프라이즈는 일본 NEC와 클러스터 설루션 공식 파트너로, 한일 간 IT 설루션 및 서비스 제공 사업을 공동 수행 중이다.


지난 2023년 11월, 짐 켈러 텐스토렌트 최고경영자와 아츠요시 코이케 라피더스 사장 겸 최고경영자가 반도체 설계자산 공동 개발 협력을 체결했다 / 출처=텐스토렌트



가장 앞서 나가는 기업은 캐나다의 텐스토렌트(Tenstorrent)다. 텐스토렌트는 일본 반도체 기술 센터(LSTC)와 협력해 향후 5년 간 200명의 일본 칩 설계자를 대상으로 RISC-V 설계, 텐식스 반도체 지식재산권, 소프트웨어 스택 등을 교육한다. 또한 일본 라피더스와는 2nm 공정 반도체 개발을 수행 중이고, 데이터센터 건설 및 운영 기업 언성필즈와 기술 제휴를 맺고 텐스토렌트 기반의 AI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에 들어간다.

미국 콰드릭(Quadric)은 일본 덴소와 NPU 개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고, 자체 RISC-V IP를 추가했다. 덴소는 콰드릭 키메라 GPNPU의 라이선스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 NPU 개발에 나선다. 콰드릭은 2021년부터 덴소의 칩 설계 자회사인 엔시텍스(Nsitexe)와 반도체 분야에서 협력해왔으며, 올해 1월에는 일본 법인인 콰드릭 KK를 설립하기도 했다. 물론 콰드릭의 협력 사례는 AI 반도체 시장보다는 차량, 자율주행 분야의 얘기다.

팔은 안으로 굽는 일본 시장, 팔 안쪽으로 가는 전략 필요해



리벨리온의 반도체는 한국산이다. 일본 시장에서 이 이름이 통하려면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 출처=리벨리온



리벨리온이 일본 법인을 설립했지만, 이제 시작이다. 앞서 프리퍼드 네트웍스의 컴퓨팅 플랫폼은 도쿄 데이터센터 NRT12에 설치되고, 일본의 데이터센터 운영 기업 MC 디지털 리얼미가 운영한다. MN-코어2가 탑재될 예정이니 외산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시장 규모가 큰 만큼 기회는 많겠으나, 시장 원리보다 자체 도입을 중시하는 일본 특성상 끼어들 틈이 협소하다.

이미 텐스토렌트, 콰드릭의 사례의 경우 단순히 법인 설립에만 그치지 않고 일본 기업과의 전략적 협업이나 제품 교육 등 수익성 확보보다 신뢰관계 형성을 우선으로 한다. 자금력이나 사업 성과를 생각하면 일본에 투자하기가 어려운 건 맞지만, 제품을 팔겠다를 넘어서 일본과 함께하겠다는 인상을 줘야 한다. 일본에 공식 진출한 리벨리온이 앞으로 어떤 성과를 올릴 수 있을지 국내 AI 반도체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키사이트, AI 데이터센터 효율 잡는 ‘KAI 아키텍처’ 공개▶ 퓨리오사AI, 이스트소프트와 NPU 교육을 구축하는 배경은?▶ 립부 탄 인텔 CEO, 비전 2025서 '고객·기술인력 중심 주의' 천명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사회생활 대처와 처세술이 '만렙'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3/31 - -
이슈 [디시人터뷰] LPBA의 차세대 스타, 당구선수 정수빈 운영자 25/04/02 - -
5115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AI 쇼핑 앱 판도 바꿀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54 3 0
5114 신차 출시의 장으로 꾸려진 '2025 서울모빌리티쇼'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11 5 0
5113 [리뷰] 음량/배터리 빵빵한 아웃도어용 스피커, 브리츠 BZ-WK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8:05 7 0
5112 [생성 AI 길라잡이] GPT-4o 이미지 생성은 왜 새삼스레 주목받는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7 7 0
5111 디스프레드 “비트코인 ETF·트럼프 당선으로 신규 투자자 증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35 10 0
5110 목재로 은은한 멋 살린 PC 케이스, 써도 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5 254 2
5109 시스코 “AI 디펜스, 기업용 AI 보안 우려 해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1528 1
5108 HP, 비즈니스용 AI PC 4종 공개··· '온디바이스 AI로 오프라인 AI 구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84 0
5107 [크립토퀵서치] CBDC 실거래 테스트, 개인 정보는 안전한가요? [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589 0
5106 [기고] 화물차 불법주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현실과 해결책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737 3
5105 [칼럼] 사이버 복원력에 대한 핵심 교훈, 美 사이버 안보 전략에서 배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44 0
5104 디지털 금융 소외층을 위해 은행대리업 제도ㆍATM기 활성화 추진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46 0
첫 해외 법인 설립한 리벨리온, 일본의 '높은 벽' 넘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48 0
5102 “가상자산 산업, 규제 명확성 필요한 시기”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873 0
5101 키사이트, AI 데이터센터 효율 잡는 ‘KAI 아키텍처’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77 0
5100 [주간스타트업동향] 술담화, 전통주 추천 AI 소믈리에 서비스 출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32 0
5099 [시승기] 환원주의 디자인과 인제니움 엔진 성능의 조화 ‘뉴 레인지로버 벨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68 0
5098 [ETF/퇴직연금 Q&A] 퇴직연금을 ETF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5124 0
5097 퓨리오사AI, 이스트소프트와 NPU 교육을 구축하는 배경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73 0
5096 임대주택 청약 정보ㆍ신청부터 권리분석까지 가능한 앱, ‘집지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84 0
5095 [자동차와 法] 모빌리티 시대, 우리가 미처 몰랐던 도로교통 관련 규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626 0
5094 재난 대비 역량 강화하는 이통3사, ‘통신 두절’ 막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297 51
5093 [뉴스줌인] 삼성이 직접 파는 ‘갤럭시 인증중고폰’, 살 만한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76 0
5092 립부 탄 인텔 CEO, 비전 2025서 '고객·기술인력 중심 주의' 천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585 1
5091 법인 가상자산 시장 참여 대비하는 가상자산 거래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89 0
5090 편리한 전동 캐리어...운전면허 없이 타면 불법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2592 0
5089 바리코퍼레이션 ‘라이트바겐, 바이크부터 자동차까지 품는 종합 모빌리티 플랫폼을 꿈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126 0
5088 불시에 걸려오는 스팸 전화, 수신 거부는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726 2
5087 [투자를IT다] 2025년 3월 4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238 0
5086 [생성 AI 길라잡이] AI 활용해 만든 게임, 어디까지?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7990 3
5085 NHN두레이 도입 4년 차 맞은 KIST··· '연구 협업은 물론 행정·조직 문화도 진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220 0
5084 [리뷰] 팔방미인 노트북, 에이수스 젠북 14 OLED(UX340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215 0
5083 달라지는 이륜차 안전관리제도 살펴보니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261 0
5082 [리뷰] 피부 깊게 닿는 물방울 초음파 기기, 앳홈 톰 더 글로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215 0
5081 AI 교육·클라우드 양 날개로 나는 엘리스그룹, 2025년은 PMDC 집중의 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197 0
5080 [크립토 퀵서치] 가상자산 거래 초보자를 위한 오프라인 서비스 공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225 0
5079 세종시 '창업하기 좋은 도시' 위한 창업 생태계 조성 국회 세미나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189 0
5078 ‘기술과 디자인의 조화’ 마이크로닉스 2025년 신제품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8 211 0
5077 펌웨어 취약점 노리는 IoT 해킹 공격 막으려면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2083 23
5076 카카오벤처스 “물류 산업 문제 해결하는 테크타카·플로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201 0
5075 소프트뱅크의 암페어 인수로 보는 손정의 회장의 '큰 그림'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1000 0
5074 [신차공개] 렉서스 '디 올 뉴 LX 700h'·아우디 'Q6 e-트론'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196 0
5073 “혁신의 새 물결” 강조한 마이크로소프트, M365 코파일럿에 인공지능 추론 더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2326 2
5072 델, AI 대응 PC/모니터 발표, 통합 브랜드 ‘델 프로’ 런칭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233 0
5071 [생활 속 IT] 식약처 AI 검색 서비스, 궁금한 식의약 정보 한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13 1
5070 중고차 거래 시 챙겨야 할 '성능·상태 점검 기록부' 핵심 내용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06 0
5069 [주간스타트업동향] 펀진, 호주 최대 국제 에어쇼 ‘아발론 2025’ 참가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204 0
5068 "험지라도 걱정 없다" 위성으로 설계하는 철도 인프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5135 2
5067 [KESIA 프리팁스] 리베타 "국내 우수한 웹소설을 해외 독자에게 소개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6 198 0
5066 인공지능 기술 경쟁, 네트워크 장비로도 확대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398 0
뉴스 ‘뉴스토리’ 영남 지역 최악의 산불, 삶의 터전 잃은 이재민들의 이야기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