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최상목 장관이 지난해 2억 원가량 매입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채'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다. 그가 매입한 것은 바로 '환율이 높아져야 수익을 얻는 상품'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그가 미국채를 산 시점을 두고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매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 또한 제기하고 있다. 지난 26일 공개된 공직자 재산공개 현황에 따르면,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작년 미국채 30년물인 'T1.375 08/15/50'을 매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말 재산신고 시점에서 그는 해당 미국채를 약 1억 9712만 원어치를 보유하고 있었다. 2020년 발행된 해당 채권은 2050년 만기 되는 채권이다. 미국 국채는 금리와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으며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수록 수익이 오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부총리, "공직자윤리법이나 다른 규정상 제한되는 것은 아냐"
사진=최상목sns
최상목 부총리가 해당 미국채를 매입한 시점은 원달러 환율이 최고치로 치솟았던 시점으로, 당시 환율은 약 1400원을 돌파한다는 예상이 많았었다. 지난해 연말 한국에서는 12·3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하며 1500원 선 가까이 오르기도 했었다.
개인이 해당 상품에 투자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최상목 부총리가 앉은 '자리'는 원·달러 환율시장을 방어하는 것이 업무 범위이기에 그에 대한 지적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그는 지난 2023년 12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대통령실 경제수석 시절에 미국채를 1억 7천만 원어치 매입했던 사실이 알려지며 한차례 논란이 되기도 했다.
야당 의원들은 '환율 폭등'을 막기 위해 국가적 노력을 하는 상황에 '환율이 높아지면 수익을 얻는 상품'을 매입한 것은 문제라고 강도 높게 지적했다. 이에 최상목은 "증권사에서 추천을 받아 샀을 것으로 생각한다. 수석으로 있을 때 산 것이 도덕적으로 비판받는 게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연말 재산신고 전에 매도를 하겠다"라고 말하며 실제로 재산신고 전 해당 상품을 팔았다.
사진=최상목sns
하지만 불과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미국채를 다시 매입해 논란은 더욱 가중됐다. 민주당 이원혁 부대변인은 28일 진행된 논평회를 통해 최부총리의 이 같은 행동을 비판하며 "원화 가치를 방어하는 경제 사령관이 원화 가치가 하락할수록 수익을 얻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다니 제정신인가"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계엄 이후에 환율이 1400원을 돌파하자 '장관으로서 역할을 다 하겠다'더니 뒤에서는 미국 국채를 사들이면서 원화 가치 하락에 배팅하고 있었나. 최장관은 미국 국채를 언제 매수했는지 밝혀라"라고 질타했다.
민주당 의원들의 비판이 쏟아지는 가운데, 최부총리 측은 "미국채를 구입하는 것 자체가 공직자윤리법이나 다른 규정상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