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증시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서학개미들의 우려가 짙어지는 가운데, 중국 기술주 상장지수펀드(ETF)는 한 달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둬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 22일 한국예탁결제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의 2월 21일∼3월 20일 한 달 사이 순매수 상위 외국 주식 투자 분석 결과 '중국 기업'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우선 삼성전자의 뒤를 바짝 쫓고 있는 스마트폰, 전자기기 업체 '샤오미'는 순매수액 1억49만달러(1천468억원)를 달성해 9위에 안착했으며, 전기차 업체 'BYD'는 7천 529만달러(1천 110억원)를 기록해 11위를 차지했다.
지난 1월에는 순매수 외국 주식 1위~20위 모두 미국 주식 종목이었던 점에 반해 2, 3월에는 중국 주식 투자가 부쩍 늘어난 것이다.
사진=KBS뉴스
한 달 동안 외국 주식 순매수액 1위는 9억 8516만 달러를 기록한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로 집계됐다. 그 뒤를 이어 미국 고위험 레버리지 ETF '디렉션 데일리 테슬라 2배'가 7억 7365만 달러를 기록했고 '디렉션 데일리 반도체 불 3배 SHS'가 5억 9130만 달러를 달성했다.
눈에 띄는 점은 바로 한 달 동안 순유입액이 가장 많았던 종목은 바로 중국 기업이었다는 사실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차이나항셍테크'에 2658억 원이 몰리면서 1위를 차지했다.
해당 ETF는 샤오미, 알리바바, JD닷컴 등 떠오르는 중국의 주요 기술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이는 한 달간 순유입액 2위인 미국 기업 ETF 'KODEX 미국나스닥100'를 368억원 더 사들이면서 가볍게 따돌렸다.
이러한 국내 투자자들의 중국 테크 기업에 대한 관심은 바로 '딥시크 충격' 때문이다.
중국 정부, 경기부양책 올해는 60조원으로 늘려
사진=KBS뉴스
올해 1월 공개한 생성 AI '딥시크-R1'은 그동안 AI 업계의 선두주자 챗GPT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없을 정도로 고성능을 자랑하면서도 미국 주요 AI 기업의 10분의 1도 미치지 않는 개발비를 들인 것으로 알려져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특히 미국은 고성능 AI칩을 중국으로 수출하지 못하도록 글로벌 제재를 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이에 아랑곳 없이 경제성 혁신을 달성한 것이다.
이에 국내 투자자들은 중국 기업 텐센트, 알리바바, BYD, 메이퇀(전자상거래 업체), X펭(전기차 회사) 등 중국의 미래 산업 기업에 투자하면서 올해 들어 강한 상승 곡선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그대로 반영하듯 중국 테크 업종 대표 지표인 '항생테크 지수'는 30% 오르면서 중국 테크 기업의 저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중국 정부가 발표한 경기부양책도 호재로 작용하는 중이다. 지난해 중국 정부는 '이구환신'(以舊換新) 정책을 추진하며 한화로 무려 30조원에 달하는 내수 수요를 이끌어 냈다.
이구환신이란 낡은 제품을 새것으로 교체 지원한다는 뜻으로 올해는 지원금 규모를 60조원으로 대폭 확대해 나아갈 예정이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