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 26일 '자동차 관세 25% 부과'와 관련된 내용을 발표한 가운데, 전문가들이 이 같은 조치가 결국 미국 내 소비자들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통해 연간 1천억 달러의 세수를 늘리고 제조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공언했지만, 글로벌 공급망이 얽혀있는 상황에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 예측했다.
미국 상무부 무역 통계에서 지난해 미국이 수입한 외국산 승용차 및 경량 트럭은 전체 차량 판매량의 전반이었다. 액수로는 2천435달러(약 358조 원)다. 수입 국가는 멕시코, 일본, 한국 등이었다.
여기저기서 '부정적' 의견... 트럼프 여전한 '관세 고집'
사진=네이버증권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측은 미국에서 인기 있는 픽업트럭 '쉐보레 실버라도' 모델의 생산 절반은 멕시코와 캐나다 공장에서 조립되고 있으며, '포드' 사의 SUV 에지 또한 캐나다 공장에서 조립, 쉐보레의 트레일블레이저 및 트랙스도 한국에서 제조되어 미국으로 수입된다고 밝혔다.
미국 내 제조업체들도 수입산 경쟁 차량의 가격 인상과 함께 부품 비용 상승을 고려해 미국 생산 차량 가격을 인상시킬 가능성도 크다. 울프리서치에 따르면, 만약 미국이 캐나다와 멕시코를 대상으로 약 25%의 관세를 시행했을 때 미국 내 차량 가격은 평균 3천 달러 인상될 것이라 분석했다.
또한 캐나다와 멕시코산 차량 가격은 평균 7천 달러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결국 관세 인상으로 인해 자국 내 소비자들의 부담만 커질 거라는 지적이다. 지난달 포드 CEO 짐 팔리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자동차 업계는 겪어보지 못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사진=트럼프 sns
미국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구호였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가 '미국을 다시 위험하게'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미 증시 대표 지수인 S&P500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었다.
하지만 그가 관세 정책을 남발하자 3월 들어서 나스닥 및 S&P500 지수는 전고점 대비 10% 이상 크게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수입 자동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4월 2일부터 발효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 현재 자동차 공급망과 관련해 "어처구니가 없다"라며 "한 곳에서만 생산되는 자동차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 같은 발표에 뉴욕 증시는 현지시간 26일 하락한 채 마감했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0.31% 떨어졌으며 S&P지수도 1.12% 내렸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전날보다 2.04% 떨어진 채 마감했다. 뉴욕 증시는 장 시작 초반에는 약보합으로 출발했지만, 이날 오후 백악관 측이 예정에 없던 '자동차 관세'를 발표할 계획이라는 소식을 전하며 낙폭이 확대됐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