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1년 반만에 돌아오는 공매도" 막아도 주가 부양 효과는 없었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3.23 15:40:05
조회 151 추천 0 댓글 0


1년 반만에 돌아오는 공매도…막아도 주가부양 효과는 없었다[연합뉴스]


공매도 거래가 오는 31일부터 전면 재개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앞서 2023년 11월 초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 이후 약 1년 6개월 만이다. 전 종목에 대한 공매도 재개는 2020년 3월 이후 무려 5년 만이다.

주가 하락의 주범으로 지적됐던 공매도를 역대 최장기간 금지했으나 기대했던 주가 부양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시장은 공매도 재개로 외국인 수급이 유입되는 등 증시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감과 공매도로 인한 변동성 확대 우려가 교차하는 분위기다.

공매도 금지 기간 금융당국은 공매도가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그간의 비판을 불식하고 시장을 교란하는 불법 공매도를 방지하기 위해 관련 제도·규정을 정비하고 전산시스템을 구축했으나, 일각에선 규제 강화로 공매도가 제 역할을 못 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역대 최장 '공매도 금지'…기대했던 주가부양 효과는 없어


1년 반만에 돌아오는 공매도…막아도 주가부양 효과는 없었다[연합뉴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해 주식을 빌려 팔았다가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사서 갚아 이익을 내는 투자기법이다.

과대평가 된 주가를 조정해 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다양한 투자전략에 활용되지만, 한편으로는 하락장에서 주가 변동성을 키우고 무차입 공매도 등으로 가격 조작에 악용될 우려도 있다.

금융당국은 증시 안정을 위해 2008년 10월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1년 8월 유럽 재정위기, 2020년 3월 코로나19 위기 등 앞서 세 차례에 걸쳐 공매도를 한시적으로 금지한 바 있다.

2021년 5월부터는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지수 구성 종목에만 공매도를 허용했다가, 2023년 11월 돌연 공매도 관련 불공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이유로 다시 전면 금지했다.

이후 공매도 금지는 지금까지 약 1년 6개월 동안 지속되고 있는데 역대 최장기간이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의 주범으로 지적돼 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공매도와 증시 방향은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 장기간 공매도를 금지했지만 주가 부양 효과는 없었다.

이번 공매도 금지 기간(2023년 11월 6일~지난 20일) 동안 코스피는 11.35% 상승하고 코스닥지수는 7.28% 하락했다. 그러나 이는 같은 기간 30% 급등한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수익률에 한참 못 미친다.

국내 증시는 지난해 내내 공매도를 막았지만 시장 수익률이 글로벌 증시 최하위권으로 전례 없는 부진을 보였다.


1년 반만에 돌아오는 공매도…막아도 주가부양 효과는 없었다[연합뉴스]


공매도 비중이 높았던 종목들의 주가 흐름을 봐도 공매도 금지가 주가 상승을 이끌거나 하락을 막았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걸 알 수 있다.

이번 공매도 전면 금지 직전 코스피·코스닥 공매도 잔고 비율 상위 10개 종목의 금지 이후 주가 추이를 보면 6개 종목은 주가가 내리고 4개 종목은 올랐다.

공매도 잔고 비율이 7.64%로 가장 높았던 호텔신라[008770]의 주가는 2023년 11월 3일 종가 6만5천원에서 지난 20일 3만8천950원으로 공매도 금지 이후 오히려 주가가 40% 넘게 폭락했다.

HLB(공매도 잔고 비율 7.2%)는 127.40% 올랐지만, 엘앤에프[066970](7.0%)와 에코프로[086520](6.8%)는 50%가 넘는 하락률을 기록했다.

롯데관광개발[032350](5.72%) 역시 1만1천240원에서 7천770원으로 30.87% 빠졌다. 포스코퓨처엠[003670]도 46.65% 하락했다.

증권가에서는 항간의 우려와 달리 이번 공매도 재개로 인해 증시의 하방 압력이 커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과거 사례에서도 공매도 재개 이후 1개월 내외로 지수 변동성이 커지지만 이후에는 안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사례에서는 공매도 재개 후 1개월간 코스피가 0.4%, 코스닥은 8.3% 하락했지만 3개월로 보면 코스피는 14.0% 상승하고 코스닥은 2.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에도 1개월 기준 -1.7%, -0.4%, 3개월 기준 5.6%, 2.9%로 1개월 이후에는 수익률이 양호했다.

2020년 코로나 당시에는 1개월 수익률이 코스피 1.8%, 코스닥 -0.2%로 단기 영향도 크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공매도가 유동성 확대 측면에서 긍정적이고 주가 과열을 가라앉혀 변동성을 완화하는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공매도 금지가 한국 증시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의 걸림돌로 작용해왔던 만큼 공매도 재개 이후 글로벌 지수 편입 등의 긍정적인 이벤트도 기대해볼 수 있게 됐다.

신민섭 DS투자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는 자본시장 선진화를 넘어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첫걸음"이라며 "부정적으로만 보기보다 합리적으로 주가 반영이 나타나기 위한 토대로 봐야 한다. 다양한 투자자들의 참여는 경쟁력 있는 기업들의 가치를 더욱 가치 있게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무차입 공매도 방지시스템 도입 "99% 잡는다"…'규제 과도' 우려도


1년 반만에 돌아오는 공매도…막아도 주가부양 효과는 없었다[연합뉴스]


당국은 공매도 금지 기간 개인투자자들이 지속적으로 지적해온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기 위해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불법 무차입 공매도 방지시스템을 구축했다.

우선 기관과 개인의 공매도 상환 기간을 90일로 통일하고 담보 비율을 현금 기준 105%로 동일하게 설정했다. 기존에는 기관투자자는 대차거래 상환기간이 특별히 정해지지 않았던 반면, 개인투자자는 대주 서비스 상환기간이 90일로 한정돼 개인투자자가 불리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또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불법 공매도 행위에 부당이득의 최고 6배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부당이득액이 50억원 이상인 경우 최장 무기징역까지 가능하게 했다.

한국거래소와 금융감독원, 금융투자협회 등은 무차입 공매도 방지를 위해 중앙점검시스템(NSDC)을 도입했다.

공매도 투자를 하는 기관은 잔고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매도 시 잔고 정보를 제출해야 한다. 거래소는 실시간으로 매도 가능 잔고와 매매정보를 비교해 무차입 공매도를 걸러내게 된다.

기관투자자는 공매도 등록번호(ID)를 금감원에서 발급받아 매매주문 시 제출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증권사는 공매도 거래와 독립된 부서에서 12개월마다 무차입공매도 방지 조치를 했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금감원에 보고해야 한다.

금융당국은 또 공매도 재개 이후 일부 종목에서 변동성이 증가할 가능성을 감안해 5월 31일까지 두 달간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조건 중 공매도 거래대금 증가율, 거래대금 비중 기준을 강화,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다만 이러한 제도 정비에도 공매도 재개 이후 투자자 신뢰가 회복되는 데는 다소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공매도 금지 기간 글로벌 투자은행(IB)에 대한 불법 공매도 전수 조사를 벌여 최근 조치를 완료했다.

국내 공매도 거래 상위 글로벌 IB 14곳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13곳에서 규제 위반이 확인됐고 과징금만 836억원이 달했다.

상당수 규제 위반은 독립거래 단위 운영 미흡, 주식 차입계약에 대한 자의적 해석에 따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NSDS를 통해 시뮬레이션해본 결과 과거 문제가 됐던 건들을 99%에 가깝게 막을 수 있었다고 자신했지만, 불법 공매도가 근절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일각에서는 공매도 과열 종목 규제, 종목별 공매도 잔고 공시 등 규제가 강해 자칫 공매도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요국과 비교해보면 한국은 공매도 관련 규제가 가장 엄격한 나라 중 하나"라며 "규제 강화는 시장 변동성을 줄이고 개인투자자를 중심으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데는 긍정적이지만 과도한 규제로 인해 유동성 공급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거나 가격 발견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의 부작용도 우려된다"고 짚었다.



▶ "1년 반만에 돌아오는 공매도" 막아도 주가 부양 효과는 없었다▶ "40만원 못받는 여성多" 국민연금 수급자 44% 가입기간 20년 미만▶ "여자는 때려야 말 잘 들어"…고데기로 연인 고문한 20대 실형▶ "스트레스·수면부족 영향 커" 대상포진, '찌르고 타는 듯한 고통'▶ "일상 속 도서관으로 초대"…문체부, '오늘도서관가봄' 캠페인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술 마시면 실수가 많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14 - -
12067 "주가 3만원 넘어갈까" 네이처셀, '줄기세포치료제' 전망 어떻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254 0
12066 "짝퉁 '불닭볶음면' 전 세계 판친다" 서경덕, "中 업체 그만해야" 분노 [48]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6800 17
12065 "우대금리 늘린다" 보금자리론, 신혼부부·두자녀 혜택 확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187 0
12064 "전현직 임직원 부부·동기 짜고쳐" 기업銀 882억 부당대출 적발 [3]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5541 11
12063 "자동차 주행거리 짧으면 사고도 줄어든다고?"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183 0
12062 "결국 제적 되나" 의대생 복귀 마지노선 3월 27일... 학장단 거듭 호소 [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325 0
12061 "달러채권 투자로 고수익"…美투자사 사칭 사기에 '소비자경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168 0
12060 "학교 수업 잘 듣고 EBS 보완하면 푼다" 올해 수능, 난이도 어떻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163 0
12059 "미국에 4년간 31조원 투자" 현대차그룹, 주가 동반 강세... 주가 전망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159 0
12058 "갤럭시S25부터 더 똑똑해지네" 스팸 문자 알아서 거르는 스마트폰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223 0
12057 "미국 주식 최악은 지나갔다" 월가, '낙관론' 나와... 미장 투자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166 0
12056 "팔았으면 어쩔뻔" 12% 급등한 테슬라, '관세' 미래 투자 전망 어떻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5 172 0
12055 "따라가면 돈 벌어" 국민연금, 엔비디아 팔고 '팔란티어' 매수 전망 분석 [4]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3328 27
12054 "금값 폭등 전망인데" 90억짜리 황금 변기 전시했다가 도둑맞아 행방 묘연  [4]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3386 1
12053 "내가 밀어줄게"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코인' 불기둥 장기 전망 분석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2697 0
12052 "기관이 사모은 이유 있었다" 암호화폐 전문가, 비트코인 9만달러 회복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217 0
12051 "120만원 찍을까?"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업고 주가 훨훨... 투자 전망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215 0
12050 "일론 머스크보다 많아" 북한, 비트코인 1만 3천개... 앞으로 더 오를까? [20]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7066 4
12049 "전국민에게 기본소득 50만원" '전남형 기본소득' 국가사업으로 추진될까 [11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7840 14
12048 "보험료 뚝 떨어져" 건보 지역가입자, 잇단 완화조처에 5년새 '최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236 0
12047 "임차보증금·생계비 등 20억 지원" 서울시, 취약계층 위기가구 지원사업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52 0
12046 "디딤돌소득, K-복지모델로" 단계적 전국화 추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70 0
12045 "미국 증시 부진에 되살아난 닷컴버블 악몽" '비교불가' 평가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60 0
12044 "커피·케이크 4.9% 인상" 투썸플레이스, 스초생이 3만 9천원?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51 0
12043 "가입은 온라인·탈퇴는 매장방문?" 코스트코, 결국 공정위에 시정조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62 0
12042 "대출이자 300만원까지" 강남구, 신혼부부·청년 전월세 지원액 2배로 늘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49 0
12041 "아토피 진료·예방상품 구매" 10만원권 '환경보건이용권' 받으세요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31 0
12040 "결혼·임신·출산에 우대금리" 신한은행, 다둥이 적금 뭐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30 0
12039 "미장 갔다가 눈물 폭탄" 한국 개미들, '국장 탈출 지능 순' 외치더니... [16]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731 2
12038 "수익률 16%, 2억까지 절세" 5년물 국채 완판 행진, 대체 뭐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33 0
12037 "자치구 최대 규모 지원" 음식물처리기 구매비용 50%나... 어디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94 0
12036 "연간 1조 달성할듯" 삼성전자, 'AI 구독클럽' 월평균 1천억 매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72 0
12035 "60개 브랜드 최대 80% 할인" 쿠팡, 스니커즈 페스티벌 개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91 0
12034 "금리인하 요구 안할테니 운용의 묘 살려라"…은행권 당혹 [5]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6672 0
12033 "여기가 딸기 천국?' 28일 개막, '백리벚꽃길 따라 달콤한 진주딸기축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72 0
12032 "출퇴근길에 삼전·하이닉스도" 넥스트레이드 거래종목 350개로 확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75 0
12031 "아빠는 되고 싶은데, 엄마는 되기 싫어" 대체 무슨 일?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59 1
12030 "역대 최단 기록" 삼립 크보빵, 사흘 만에 100만개 팔렸다고?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81 0
"1년 반만에 돌아오는 공매도" 막아도 주가 부양 효과는 없었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51 0
12028 "40만원 못받는 여성多" 국민연금 수급자 44% 가입기간 20년 미만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80 0
12027 "여자는 때려야 말 잘 들어"…고데기로 연인 고문한 20대 실형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262 0
12026 "스트레스·수면부족 영향 커" 대상포진, '찌르고 타는 듯한 고통'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231 0
12025 "일상 속 도서관으로 초대"…문체부, '오늘도서관가봄' 캠페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93 0
12024 "영치금 압류도 어려워" 1억원 못받는 부산 돌려차기 피해자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208 0
12023 "28억 사기쳤는데 징역 4년" 로맨스스캠 조직원 잡히긴 했는데... [19]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8452 9
12022 "여권 압수하고 출국금지" 중국 딥시크 직원들, 정보 샐까봐 이렇게까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221 0
12021 "돌아온 중학개미" 샤오미·BYD 한달새 2천600억원 순매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87 0
12020 "주식 탈취 당할 뻔" BTS 정국, '명의도용' 원상회복 했지만...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87 0
12019 "양육비 줄였다" 머스크, 13번째 자녀 낳았다는 여성에게...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89 0
12018 "99만원, 이거 맞아?" 애플 새 보급형 모델 '아이폰 16e' 써보니...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82 0
뉴스 ‘바이러스’ 김윤석 “난 배두나의 세 번째 남자…T 되고 싶은 F형” 디시트렌드 04.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