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자동차 주행거리 짧으면 사고도 줄어든다고?"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3.25 14:05:04
조회 187 추천 0 댓글 0


자동차 주행거리 짧으면 사고도 줄어든다?[연합뉴스]


우리나라 손해보험사들이 판매하는 자동차보험에는 실제 주행거리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 적용하는 주행거리 연동 특별약관이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는 자동차를 적게 운행할수록 사고 발생 빈도도 줄어든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 것이다.

그렇다면 정말로 자동차 주행거리와 교통사고가 상관관계가 있을까. 연합뉴스 팩트체크부로 문의한 독자 메일이 와서 이를 확인해봤다.

주행거리 연동 특약 또는 주행거리 특약은 예전엔 '주행거리 연동 자동차보험제', 영어로는 'PAYD'(Pay-As-You-Drive)라고 불렸다.

최근엔 '사용량 기반 보험'(UBI)의 하위 범주로 분류된다. UBI 상품은 주행거리뿐 아니라 운전자의 운전 습관 등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의 정도를 산정해 보험료를 책정하는 보험을 뜻한다.

보험연구원의 '주행거리에 연동한 자동차보험 제도 연구'(2010년) 보고서에 따르면 주행거리 특약과 같은 PAYD는 1970년대 초반 미국 메릴랜드주에서 처음 제안됐다.

하지만 1990년 이후 정보기술(IT) 산업이 발달하고 관련 법령이 개정되면서 PAYD를 시행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고, 본격적인 상품 판매는 2000년대 들어서였다.

보고서가 파악했을 당시 주행거리 연동 자동차보험은 미국을 비롯해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등 13개국에서 판매 중이었다.

우리나라에선 2011년 하반기부터 주행거리 특약 상품이 판매되기 시작했다. 2022년 4월부터는 모든 운전자가 자동으로 이 특약에 가입되도록 상품 약관이 변경돼 현재는 모든 운전자가 이 제도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주행거리와 교통사고 발생률과는 정말 관련이 있을까?


자동차 주행거리 짧으면 사고도 줄어든다?[연합뉴스]


보험연구원의 보고서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개인용 자동차를 운전하는 463명의 정보를 수집·분석했다.

그 결과 평균 주행거리를 운전한 기준그룹(1만∼1만5천㎞)에 비해 0∼1만㎞를 운전한 그룹은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41% 낮았고, 1만5천㎞ 이상 운전한 그룹은 반대로 38% 높았다.

손해보험회사의 자체 분석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2011년 자사 보험에 가입된 차량의 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주행거리와 사고율 간의 상관계수가 0.946에 달했다.

상관계수는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주행거리가 3천㎞ 이하의 경우 사고율이 5.7%였지만, 9천㎞ 초과∼1만㎞ 이하는 11.6%, 1만9천㎞ 초과∼2만㎞ 이하는 14.1%에 달했다.

사고율은 자동차 대수 대비 사고 건수를 말한다. 즉, 사고율이 5.7%는 자동차 100대당 발생한 사고 건수가 5.7건이라는 뜻이다..


자동차 주행거리 짧으면 사고도 줄어든다?[연합뉴스]


교통안전공단의 2016년 9월 자료에 따르면 연간 주행거리가 1만㎞ 늘어날 때마다 교통사고율이 4.7%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2015년 비(非)사업용 승용차 일반형 운전자의 주행거리와 교통사고 정보를 회귀 분석한 결과다.

또한 2015년 기준 1만㎞를 주행했을 때 평균적으로 교통사고가 0.0383건 발생하는 것으로 계산됐다.

간접적인 분석 자료도 있다.

보험연구원의 '코로나19가 자동차보험에 미친 영향 분석'(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1∼9월 자동차보험의 손해율이 79.4%로, 전년 동기 대비로 5.6%포인트나 하락했다.

이는 코로나19 대확산으로 야외 활동이 감소하면서 자동차 운행도 줄어 사고 발생률이 낮아진 점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실제 통계청의 자동차 주행거리 자료를 보면 승용차 1대의 1일 평균 주행거리가 2019년 35.1㎞에서 2020년 34.7㎞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보험의 대인배상 사고 발생률이 2020년에 과거 3년 이동평균 대비 5.04%, 대물배상은 11.29% 각각 하락했다.

컨설팅사 맥킨지의 2020년 보고서 역시 비슷한 분석을 내놓았다.

해당 보고서는 과거 경기 침체기 자동차 운행 감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면서 자동차 운행이 줄면서 사고 발생 빈도도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자동차 운행이 감소하면서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크게 줄었다.

안전운전과 연동한 자동차 보험도 출시


자동차 주행거리 짧으면 사고도 줄어든다?[연합뉴스]


주행거리 특약이 대중화되면서 보험 가입자에게 돌아가는 환급액도 증가 추세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개인용 자동차보험 주행거리 특약의 환급액이 지난해 1조3천509억원에 달했다. 이는 5년 전인 2019년 6천411억원의 2배나 되는 규모였다.

특약이 도입될 당시 최대 할인율이 11.9%였는데, 최근엔 60%까지 확대됐다.

주행거리 특약은 보험 가입자뿐 아니라 보험회사에도 유리한 제도다. 안전 운전을 하는 고객들을 정확히 판별해 이들을 대상으로 보험료가 싼 상품을 판매할 수 있어 고객층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 자동차 보험료는 성, 연령, 운전경력, 지역, 자동차 연식 등을 바탕으로 산정된다.

이때 젊은 운전자들은 사고 발생률이 높아 보험료가 전통적으로 높게 책정된다.

하지만 보험회사는 이 특약으로 주행거리가 짧아 상대적으로 사고 발생 가능성이 낮은 젊은 운전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낮은 보험료를 제시할 수 있다.


자동차 주행거리 짧으면 사고도 줄어든다?[연합뉴스]


물론 사고 발생률이 단순하게 주행거리에 비례한 것은 아니다. 운전 시간대, 운전 속도 등 운전자의 운전 행태도 주요 변수다.

이런 운전 행태를 반영한 자동차 보험을 PAYD와 대비해 'PHYD'(Pay-How-You-Drive)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선 안전거리 특약이라고 한다.

보험연구원의 '차량데이터 이용 현황 및 보험회사 시사점'(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PHYD 모델은 보통 과속, 급가속, 급출발, 급감속, 급정거, 급회전, 운행 시간대 등을 반영해 안전 운전점수를 산정, 보험료를 책정한다.

보험회사들은 현재 티맵이나 카카오내비와 같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자동차 제조사가 운영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통해 운전 형태 정보를 받고 있다.

이런 안전 운전점수에 따른 보험료 할인율은 3∼16%로 보험사마다 다르다.

보고서는 PAYD, PHYD 등 UBI 시장 규모에 대한 전망이 추정기관마다 천차만별이지만 2022∼2030년 연평균 성장률이 26%를 웃돌 것으로 예측한 보고서도 있다고 전했다.



▶ "우대금리 늘린다" 보금자리론, 신혼부부·두자녀 혜택 확대▶ "전현직 임직원 부부·동기 짜고쳐" 기업銀 882억 부당대출 적발▶ "자동차 주행거리 짧으면 사고도 줄어든다고?"▶ "결국 제적 되나" 의대생 복귀 마지노선 3월 27일... 학장단 거듭 호소▶ "달러채권 투자로 고수익"…美투자사 사칭 사기에 '소비자경보'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12195 "요즘 시대에 연 10%" KB국민은행, 출산 예정이면 '파격 금리' 혜택 투자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79 0
12194 "개미들만 못 빠져나갔네" 기관 투자자들이 15조 사들인 유럽 ETF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84 0
12193 "중국차 웃고 머스크 울고" 지난달도 테슬라 유럽시장 판매 뚝 떨어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96 1
12192 "커피 100원·떡볶이 1천원" 배민, 포장 주문 프로모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203 0
12191 "삼성전자, 작년 육아휴직 사용자 5천명 육박" 100대 기업 중 1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266 0
12190 "유명인 무료강연이라더니" 유인한 뒤 보험상품 판매 조심하세요 [7]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5930 2
12189 "더는 감당 안돼, 제발 해지 좀 "…동경주농협, 고금리상품 거듭 해지 요청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67 0
12188 "맥주효모·비오틴 식품 탈모 도움 안돼" 충격 '과학적 근거 없다'고? [23]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6464 14
12187 "식욕 억제 효능" 산에 흔한 당단풍나무가 비만치료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46 0
12186 "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아"…식료품·주거비 부담 특히 가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49 0
12185 "1인당 가계대출 9천600만원 육박" 역대 최고...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43 0
12184 "실손보험 비중증 비급여 자부담 50%로↑" 보상 일 20만원 한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50 0
12183 "강남 재건축 대박날 줄 알았는데" 조합장 잠적에 '180억' 날벼락 전망 충격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225 0
12182 "김수현 때문에 법까지 바뀌나" 미성년자 교제 '만 19세' 상향 논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243 0
12181 "주식 채권의 시대는 갔다" 월가 거물의 경고, 자산 굴리는 투자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220 0
12180 "트럼프 아들이 투자했대" 미국에서 밀어주는 비트코인 채굴업체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213 0
12179 "비트코인 보다 은이 더 낫다" 부자아빠 '기요사키', 은 가격 2배 급등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249 0
12178 "바닥 아직 안왔다" 미국 주식 최악인 줄 알았는데... 향후 주가 전망 분석 보니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220 0
12177 "연금보험 계약에서 보험계약대출 미상환시 연금 수령 제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98 0
12176 "금융사 말만 믿고 옮겼다간 '낭패'" 퇴직연금 중도해지 손실 폭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6441 3
12175 "오락가락 트럼프" 더티 15? 특별관심 21개국? 모든국가? 美상호관세 오리무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83 0
12174 "주가 반토막 나때문" 머스크, 테슬라 지금이 매수 기회? '위풍당당'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85 0
12173 "2030 입맛 공략" CJ제일제당, '30배 매운맛' 실비김치 출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87 0
12172 "원하는 곳에서 검진하세요"…연말까지 학생 건강검진 시범사업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55 0
12171 "복지포인트 120만원 지원" 인천시, '업종 무관' 중기 재직 청년 복지 확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64 0
12170 "체중 감량 효과 제대로" 주 3회 간헐적 단식, 매일 적게 먹는 것보다 잘빠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91 0
12169 "이재명 테마주 줄줄이 상한가" 尹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에...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56 0
12168 "지브리 프사 해볼까?" 이미지 생성 열풍에 챗GPT 이용 역대 최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59 0
12167 "대지진 가능성 매우 높아" 불안에 떠는 일본, 예상 사망자 30만명 전망 충격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239 0
12166 "1억에 건물 사서 월세 300만원 받아" 부동산 하락장에 돈 버는 투자 뭐길래 [5]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3264 1
12165 "600만명 가입 폭발적" ISA 계좌, 재테크 만능통장? 장단점 살펴보니...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202 0
12164 "5년 안에 반토막난다" 금 가격, 지금 팔아야 하나? '섬뜩한 경고'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235 0
12163 "말 안들으면 관세" 트럼프 한마디에 국내 석유 관련주 '급등'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169 0
12162 "희토류로 협박하더니" 미국, 중국 최혜국 지위 제외 관련주 '불기둥'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187 0
12161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 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17]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7172 3
12160 "주식 5% 떨어질 때 채권은 2% 수익" 불확실성에 빠진 미국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220 1
12159 "URL 안통하니 전화번호만 넣는다"…휴대폰 해킹 스미싱수법 진화 [6]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6554 11
12158 "상반기 최대행사 '롯쇼페' 진행' 롯데홈쇼핑, 다음달 27일까지 할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185 1
12157 "계란·두부·콩나물도 초특가" 이마트24, 물가안정 100종 기획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179 1
12156 "갤럭시 인증 중고폰 판매합니다" 삼성전자, 최대 64만원 낮은 가격에 구입가능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250 1
12155 "미국, '저렴한 상품' 시대 끝났다"…관세 인플레 공포까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187 1
12154 "45~50세 심방세동, 치매 위험 3.3배 높여" 심방세동 주의... 대체 뭐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170 1
12153 "연금보험료 인상, 2030에 오히려 혜택…미룰수록 더 부담"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221 1
12152 "트럼프, 푸틴에 화났다" 휴전합의 안하면 러 원유 25% 2차 관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1 173 1
12151 "인간은 쨉도 안된다" AI가 굴린 주식 수익률 46%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8]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0 3332 2
12150 "뭔가 심상치 않다" 100년 전과 소름돋게 똑같은 '경제 대공황'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0 310 1
12149 "600% 상승 예상해" 암호화폐 전문가, 전통 금융 뒤흔든 XRP(리플)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0 266 1
12148 "테슬라 진짜 극혐" 전세계서 '빵빵'... 일론머스크, '재밌네' 주가 방어 자신감?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0 258 1
12147 "버블 아니겠지?" 엔비디아 주가 멈춘 진짜 이유 들어보니... '충격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0 2311 3
12146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 끝났다" 업계 전문가, 올해 아파트 전망 분석 [10]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0 2506 5
뉴스 ‘악연’ 김성균 “누가 제일 나쁜 것 같나요?” [IS인터뷰]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