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그라한국학회의 학회장인 윤태진 연세대학교 교수가 "즐거움에 대한 연구가 인간을 이해하는 훌륭한 지름길이 될 수 있으며, 게임이 인류의 행복이라는 가치를 추구하는 또 하나의 방식이 될 수도 있다"라고 주장했다.
18일 오후 서울 용산구의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에서는 '2025 게임과학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게임과학연구원과 디그라한국학회가 공동 개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게임문화재단, 한국게임산업협회 등이 후원한 이번 행사는 '다면적 플레이어: 게임 플레이의 다양한 층위들'을 주제로 게임 이용자들에 대한 다양한 연구 내용이 소개됐다.
첫 번째 세션인 '게임 플레이어(이용자) 이해하기'의 발표자로 나선 윤태진 교수는 '쾌락주의 관점에서 본 게임 플레이어의 즐거움'을 주제로 게임을 통해 경험하는 즐거움이 단순한 오락을 넘어 인간 본성과 윤리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했다.
우선 발표를 시작하며 "게임 연구가 지금까지 산업적, 교육적, 사회적 맥락에 집중해온 흐름을 짚고, 오히려 게임의 가장 본질적인 요소인 '즐거움'이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 왔음을 지적했다. "'게임은 재밌으니까 하는 것'이라는 전제 아래, 그 '재미' 자체를 질문하는 일이 간과되어왔다는 것"이 윤태진 교수의 주장이다.
이어 이러한 '즐거움'의 흐름과 관련해서는 고대 그리스의 에피쿠로스의 '쾌락'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을 인용했다. 에피쿠로스가 말한 '쾌락'은 단순한 감각적 자극이 아니라, 고통으로부터의 해방과 '정신적 평온(아타락시아)'이며,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행복(에우다이모니아)'은 공동체 속에서 덕을 실현하는 삶이라는 것.
윤태진 교수는 이 두 개념이 게임 플레이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와 관련해 "게임을 하며 느끼는 평온함, 혹은 몰입의 상태는 에피쿠로스의 '정신적 평온(아타락시아)'일 수 있고, 게임을 통해 타인과 관계를 맺고 성취를 이루는 경험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우다이모니아)'과 닿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중적 오해에서 탄생한 '대중적 쾌락주의'나, 쾌락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는 '가치적 쾌락주의', 고통을 회피하려는 동기가 되는 '동기적 쾌락주의', 쾌락을 최대화하는 것이 좋다는 '규범적 쾌락주의', 그리고 여기서 발전한 '분별력있는 쾌락주의' 등 쾌락주의의 개념 구분을 소개하며 "게임은 즐거움을 주는 수단일 뿐 본질적 가치는 없지만, 그 과정에서 얻는 즐거움은 인간 삶의 질을 높이는 본질적 가치가 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윤태진 교수는 "플레이어(이용자)가 게임을 통해 추구하는 즐거움은 단순한 소비가 아니라, 자기 삶의 의미를 구성하는 행위일 수 있다"고 말한 뒤 "규범적 쾌락주의를 토대로 하는 '쾌락 복지(Ludic-Welfare);를 구현함에 있어 게임이 사회 전체 쾌락을 확대시키는 도구가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일상적 문화복지로서의 접근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러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게임에 대한 연구가 '쾌락주의에 대한 접근'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