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전기톱 주문했는데 노트가 왔다…무섭다" 알리,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3.18 15:15:04
조회 6947 추천 5 댓글 30


 '가성비 쇼핑'의 대명사로 떠오른 알리·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이용자 사이에서 상품 오배송·환불 불가 등 피해를 호소하는 사례가 계속되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18일 네이버카페에는 알리에서 상품 구매 후 피해를 봤다는 사례가 많이 올라와 있다.

피해 사례 유형은 크게 세 가지다.

▲구매자가 직접 중국·홍콩으로 반품 택배를 보냈음에도 증거 불충분 등 불명확한 이유로 환불 불가를 통보받는 경우 ▲구매한 상품과 아예 다른 엉뚱한 상품이 배송된 경우 ▲판매자가 허위 운송장번호를 기재해 사기 치는 경우다.

네이버 아이디 '교**'은 지난 1일 "알리에서 두개의 제품을 구매했는데 받아보니 하자가 있었다. 그래서 두 제품 모두 그대로 반품 수거를 해 갔는데 후에 알리 측에선 두 개가 아닌 한 개의 제품만 환불 처리를 해줬다"고 썼다.

이어 "고객센터에 5번 넘게 문의를 해봤지만 '증거 불충분'이라는 이유로 결국 나머지 한 상품에 대한 환불 금액은 돌려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컴퓨터 부속품을 구매했다는 '글**' 역시 "부속이 하나 누락돼 배송 온 그대로 반품을 보냈는데 알리에선 '물건 누락'이라는 황당한 이유를 들며 결국 환불받지 못했다"고 썼다.


알리 이용자들 사이에선 중국 혹은 홍콩으로 반품 상품을 직접 보내야 한다는 점도 큰 불만 사항 중 하나다.

지난달 김모 씨는 국내 온라인 쇼핑몰보다 알리에서 구매하는 게 더 저렴해 자녀의 장난감을 포함한 여러 상품을 함께 알리에서 주문했다.

그런데 상품을 받아보니 프로펠러가 달린 장난감은 어린아이가 사용하기엔 위험해보였고 작동조차 잘되지 않았다. 같이 배송받은 장난감 무전기 역시 정상 작동되지 않아 총 2만원 상당의 이 두 장난감을 반품하기로 했다.

김씨는 지난 17일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국내 반품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되는 줄 알았으나 알리 고객센터 상담원은 '해당 상품을 반품하려면 홍콩 현지 주소로 직접 택배를 보내야 한다'고 수 차례 안내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에 따라 받았던 모양 그대로 재포장해 지난달 19일에 홍콩으로 반품 택배를 보냈고 해외 배송비만 각각 약 2만5천원 씩 무려 5만원에 가까운 비용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반품 택배를 보내야 하는 홍콩 현지 주소가 동일함에도 알리 측은 반품 상품을 각각 따로 보내야 한다고 안내했다는 게 김씨의 설명이다.


하지만 환불은 순탄하게 이뤄지지 않았다.

김씨는 "반품 택배를 부치고 약 열흘 뒤인 지난달 28일 알리 사이트에서 '환불 불가'를 고지했다"고 밝혔다.

그는 "구체적인 이유도 모른 채 환불 불가를 통보받아 고객센터에 몇 번이고 다시 문의했지만, 상담원들이 서로 일 처리를 미루기만 하고 정확한 답변은 받을 수 없었다"며 "뒤통수 맞은 기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후 한국소비자원에 민원을 접수했고 그 영향인지 이달 5일에 장난감 무전기는 환불 처리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아직 프로펠러 장난감에 대한 환불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네이버 아이디 '빙**'은 지난달 24일 올린 글에서 "알리에서 홍콩 현지 주소로 직접 반품을 하면 배송비와 함께 포인트를 지급해 준다고 해서 우체국에 방문했다"며 "하지만 반품 건마다 개별포장해서 배송해야 했고, 세관신고서 작성 등 복잡한 절차와 인증방법으로 인해 결국 반품하기를 포기했다"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네이버 아이디 '시**'은 지난달 26일 '요즘 알리 사기 배송 심하네요'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전기톱을 주문했는데 노트가 배송 왔고 무선 드릴을 샀는데 알 수 없는 물품이 왔다. 당황스럽고 무섭다"고 밝혔다.

'송**' 역시 "알리에서 일렉 기타 보관 케이스를 구매했는데 너트 하나만 달랑 왔다"고 썼다.

이 외에도 낚시 태클박스를 주문했는데 지점토가 배송오거나,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샀는데 펜치가 도착하는 등 알리 이용자들의 황당한 오배송 경험담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넘쳐났다.

이러한 피해 사례에는 "이상한 물건이 와서 판매자에게 문의하면 다시 보내준다거나 환불 처리해줄 테니 '배송 확인' 버튼을 눌러달라고 한 뒤에 '먹튀'(먹고 튀다)를 하더라" 등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허위 운송장번호를 기재해 놓고 보내지 않은 상품을 보냈다고 둔갑하는 사기 수법에 당했다는 글도 많다.

네이버 아이디 '마**'은 지난 5일 올린 글에서 "알리에서 미니PC를 구입했는데 판매자가 허위 송장번호를 입력해 놔서 정작 나는 물건을 받지도 못했는데 사이트엔 배송 완료 상태로 뜨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캠**'도 "무선 이어폰을 구매했다. 그런데 내 주소가 아닌 엉뚱한 곳에 도착했는데 배송 완료 처리가 됐다"며 "찾아보니 사기였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알리에 입점해 있는 판매자가 사기를 쳤다고 주장한 사례다.

알리익스프레스 관계자는 "한국에서 한국으로 배송되는 상품이든 해외에서 한국으로 배송되는 상품이든 환불 과정에서 알리익스프레스가 직접 개입되면 고객센터 상담원을 통해 무조건 한국에 있는 현지 반품 센터로 반품을 안내해 드리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내부 규정상 한 달 기준 반품 횟수가 10회 이후의 반품이거나 반품 사유가 '더 이상 제품이 필요하지 않음'일 때는 구매자가 국경 간 반품 배송비를 부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기 피해가 알리 내부에 접수되면 내부 규정에 따라 '신용 및 판매 인플레이션'을 위반한 판매자에 대해 엄격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안내했다.

그러면서 "허위 주문·배송 등 부적절한 행위가 발각되는 즉시 해당 판매자의 거짓된 누적 판매 건수 및 리뷰 모두를 삭제하고 있으며 사안의 심각성에 따라 판매 제한·계정 정지·계정 해지 등 페널티도 부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홍주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소비자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구매 전 판매자의 평점, 리뷰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환불 정책 기준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교수는 "플랫폼 측은 고객센터의 역량을 강화해 분쟁 해결 절차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환불·반품 절차 역시 간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판매자 평점 시스템을 강화하거나 검증된 판매자 제도를 운영해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향상할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전기톱 주문했는데 노트가 왔다…무섭다" 알리, 무슨 일?▶ "5분 충전에 400㎞ 주행" BYD, 주유만큼 빠른 충전시스템 출시▶ "실손보험 개혁으로 연 보험료 30∼50% 인하 효과"▶ "5월부터 주말·명절에 고속버스표 취소하면 수수료 10%→15∼20%"▶ "골드바 품귀 지속" 사상 최고 금값에 골드뱅킹 1조원 눈앞…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3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술 마시면 실수가 많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14 - -
12045 "미국 증시 부진에 되살아난 닷컴버블 악몽" '비교불가' 평가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61 0
12044 "커피·케이크 4.9% 인상" 투썸플레이스, 스초생이 3만 9천원?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51 0
12043 "가입은 온라인·탈퇴는 매장방문?" 코스트코, 결국 공정위에 시정조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62 0
12042 "대출이자 300만원까지" 강남구, 신혼부부·청년 전월세 지원액 2배로 늘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49 0
12041 "아토피 진료·예방상품 구매" 10만원권 '환경보건이용권' 받으세요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32 0
12040 "결혼·임신·출산에 우대금리" 신한은행, 다둥이 적금 뭐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131 0
12039 "미장 갔다가 눈물 폭탄" 한국 개미들, '국장 탈출 지능 순' 외치더니... [16]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732 2
12038 "수익률 16%, 2억까지 절세" 5년물 국채 완판 행진, 대체 뭐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35 0
12037 "자치구 최대 규모 지원" 음식물처리기 구매비용 50%나... 어디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94 0
12036 "연간 1조 달성할듯" 삼성전자, 'AI 구독클럽' 월평균 1천억 매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74 0
12035 "60개 브랜드 최대 80% 할인" 쿠팡, 스니커즈 페스티벌 개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92 0
12034 "금리인하 요구 안할테니 운용의 묘 살려라"…은행권 당혹 [5]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6672 0
12033 "여기가 딸기 천국?' 28일 개막, '백리벚꽃길 따라 달콤한 진주딸기축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73 0
12032 "출퇴근길에 삼전·하이닉스도" 넥스트레이드 거래종목 350개로 확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76 0
12031 "아빠는 되고 싶은데, 엄마는 되기 싫어" 대체 무슨 일?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60 1
12030 "역대 최단 기록" 삼립 크보빵, 사흘 만에 100만개 팔렸다고?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82 0
12029 "1년 반만에 돌아오는 공매도" 막아도 주가 부양 효과는 없었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52 0
12028 "40만원 못받는 여성多" 국민연금 수급자 44% 가입기간 20년 미만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181 0
12027 "여자는 때려야 말 잘 들어"…고데기로 연인 고문한 20대 실형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263 0
12026 "스트레스·수면부족 영향 커" 대상포진, '찌르고 타는 듯한 고통'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231 0
12025 "일상 속 도서관으로 초대"…문체부, '오늘도서관가봄' 캠페인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94 0
12024 "영치금 압류도 어려워" 1억원 못받는 부산 돌려차기 피해자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209 0
12023 "28억 사기쳤는데 징역 4년" 로맨스스캠 조직원 잡히긴 했는데... [19]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8453 9
12022 "여권 압수하고 출국금지" 중국 딥시크 직원들, 정보 샐까봐 이렇게까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222 0
12021 "돌아온 중학개미" 샤오미·BYD 한달새 2천600억원 순매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87 0
12020 "주식 탈취 당할 뻔" BTS 정국, '명의도용' 원상회복 했지만...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88 0
12019 "양육비 줄였다" 머스크, 13번째 자녀 낳았다는 여성에게... 무슨 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90 0
12018 "99만원, 이거 맞아?" 애플 새 보급형 모델 '아이폰 16e' 써보니...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182 0
12017 "상장폐지 위기 놓였다" 금양, 시총 8조 증발할까... 향후 전망 분석 [1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9103 3
12016 "테슬라 주식 완전 싸, 빨리 사" 미국 장관, '머스크' 구하기... 대체 왜? [16]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2 8892 2
12015 "부동산 유튜버 믿었다가" 수십만 구독자 믿고 집 샀다가 전세 투자사기 속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344 0
12014 "따기만 하면 무조건 취업" 어디든 모셔가는 취업률 70% 자격증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50 0
12013 "진짜 X 결제수단 되나" 암호화폐 대형 투자자, 도지코인 대량 매수 포착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39 0
12012 "로또 팔아서 연수입 10억" 2025 로또복권 신규 판매점 신청 시작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51 0
12011 "입만 열면 폭락?" 젠슨황, 양자컴 20년 발언 사과... 주가 향후 전망은? [27]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7428 9
12010 "젊을수록 유리해" 2~30대 28% 수익, 투자 열풍 '타깃 데이트 펀드', 뭐길래?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463 0
12009 "수비수 문제 없었는데..." 홍명보, '오만전' 승리 놓친 이유 들어보니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13 0
12008 "맥주 가격 또 오른다고?" 카스, '점유율 1위' 1년 반만에 가격 인상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41 0
12007 "국민연금 무엇이 달라지나요?" 기금고갈 우려에 '지급보장' 명문화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46 0
12006 "작년 부수입 7억1천만↑" 건보가입 직장인 4천 494명... 전체 0.02% 비결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97 0
12005 "디딤돌 우대금리 사라진다" 자녀혜택도 축소되는 '수도권 신규분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01 0
12004 "2분기 전기요금 동결" 연료비조정단가 ㎾h당 '5원' 유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53 0
12003 "면세주류 병수 제한 폐지" 업계 주류기획전 '러시' 할인 얼마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069 0
12002 "왜 하필 지금 유상증자?" 한화에어로, 개미들 '충격' 향후 주가 전망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365 0
12001 "중고차 시세 뚝" 테슬라, '머스크' 때문에? 다른 차보다 2배 더 급락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167 0
12000 "한국 달걀 좀 더 줘" 미국, '계란 부족' 빨간불... 수입 늘릴 계획 밝혀 [27]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1 2925 4
11999 "70% 더 오를 것" 유명 투자은행, 엔비디아 주가 강한 반등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195 0
11998 "한국 기술력은 차원이 달라" 미국, 세계최강 군함 수주 전망 관련주 '급등'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206 0
11997 "언제는 위험하다더니" 기관 투자자, 비트코인 가격 '2배 상승'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213 0
11996 "끝까지 SBS는 안 팔아" 지옥에서 되살아난 태영건설, 주가 '불기둥'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223 0
뉴스 ‘허식당’ 시우민, 이세온 악행 밝히고 조선 돌아갈까…최종회 관전포인트 디시트렌드 04.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