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3%대 중반 금리를 자랑했던 증권사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상품에서도 연 3%대 금리가 완전히 사라졌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CMA는 증권사가 고객의 자금을 받아 국공채나 단기 회사채, 양도성예금증서(CD) 등 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금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계좌다.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하고 하루만 돈을 맡겨도 이자를 받을 수 있어 여윳돈을 잠시 넣어두는 파킹통장으로 활용된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006800]은 지난 5일부터 'CMA RP_네이버통장'의 금리를 낮췄다. 그전까진 1천만원 이하의 우대수익률을 받으면 금리는 연 3.05%였으나 이번 조치로 0.3%포인트(p) 내린 2.75%가 됐다.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엔 종전 2.50%에서 2.20%로 낮춰졌다.
연 2.75%의 CMA 금리는 현재 증권사 환매조건부채권(RP)형 CMA 상품 중 가장 높다. 미래에셋증권의 RP형 CMA 금리 조정으로 3%대 CMA 상품은 자취를 감추게 됐다. 이미 주요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중에선 3%대를 찾아보기 힘든 상태다.
한때 RP형이나 종금형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했던 발행어음형 CMA는 이미 2%대 중반으로 내려온 지 오래다. 한국투자증권(2.45%), KB증권(2.40%), 미래에셋증권(2.40%), NH투자증권(2.30%) 등이다.
유일하게 종금형 CMA를 판매하는 우리투자증권은 오는 10일부터 '우리WON CMA Note' 금리를 현재 2.60∼2.80%에서 2.40∼2.60%로 0.2%포인트씩 인하할 예정이다.
지난달 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연 2.75%로 0.25%포인트 낮춘 뒤로 증권사들은 지난달 말께 일제히 CMA 금리를 내렸다.
작년 초 75조원대에서 완만하게 증가세를 보이던 CMA 잔고는 하반기부터 현재까지 85조원대에서 등락하며 최근에는 크게 늘지도 줄지도 않는 모습이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 3년 2개월 만에 통화 완화 기조로 정책을 전환하며 본격적인 금리 인하 사이클에 진입한 뒤로 CMA는 공모주 청약 같은 이벤트를 제외하면 큰 등락 없이 잔고가 유지되는 모습이다.
쏠쏠했던 CMA 금리
한편 이달 6일 투자자 예탁금은 52조8천772억원으로 집계되며 이달 들어 4조원 넘게 빠졌다. 다만 이달 들어 코스피가 2,500대에서 별다른 움직임이 두드러지진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5일 기준 18조3천537억원으로 올해 들어 가장 높았다. 유가증권시장 신용 잔고가 10조5천632억원, 코스닥시장은 7조7천905억원으로 집계됐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보관액은 연초 1천97억달러에서 지난 5일 1천14억달러로 줄었다. 다만 이 시기 '서학개미'들은 79억달러어치 미국 주식을 순매수 결제했다. 미국 주식 순매수에도 주가 하락 폭이 더 커 보관액이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