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5월부터 네이버부동산과 KB부동산 등 온라인 부동산 거래 플랫폼을 통해 빈집을 사고파는 거래가 가능해질 예정이다.
정부는 올해 공인중개사와 한국부동산원을 연계해 전국의 정비된 빈집을 저렴하게 매입하거나 전월세 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전했다.
이는 골칫거리로 전락한 빈집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의 유휴 주택을 저렴한 가격에 실거주, 투자 목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이다.
행정안전부는 해당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오는 12일부터 '빈집애(愛) 누리집'을 개편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기존 '소규모&빈집정보알림e'에 모아두었던 빈집 정보를 분리하여 시민들이 직관적으로 전국 빈집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 정비 실적, 활용 사례 등을 제공한다.
사진=빈집애 홈페이지
정부는 지자체별로 빈집을 공원, 주차장, 편의시설 등으로 탈바꿈한 사례를 유형별로 공개하는 동시에 정비 전·후 사진도 함께 올릴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일반 시민이나 사업자가 빈집으로 실거주, 사무실, 기타 편의시설 등 다양한 활용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실질적인 정비 사례를 참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방침이다.
또한 향후 빈집 소유자가 지자체에 매매, 임대 의사를 밝힌다면 해당 빈집을 거주, 투자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빈집 거래지원 서비스'도 도입한다. 이를 통해 지방 빈집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주거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시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촌 빈집을 매물화하여 민간 부동산 거래 플랫폼에 등록하는 프로젝트도 함께 진행된다.
빈집애 홈페이지 통해 간편하게 실물 매매까지 가능해
사진=빈집애 홈페이지
농식품부는 이달 중 농촌 빈집 사업에 참여할 관리기관과 지자체를 모집할 계획이며, 4월부터는 공인중개사 모집, 매물 거래를 원하는 빈집을 확보할 예정이다.
따라서 오는 5월부터는 네이버 등 부동산 거래 플랫폼을 통해 일반 시민들도 별장, 농촌체험, 숙박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농촌 빈집을 접할 수 있다. 우선 제주특별자치도, 전북 부안군, 충남 예산군이 참여하며, 이 외에도 참여를 희망하는 지자체는 오는 10~24일까지 신청할 수 있다.
범부처 빈집TF(행안·국토·농림·해수부)에서는 전국의 빈집 발생과 확산을 예측해 활용 방안을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서비스도 개발한다. 정부에서 선제적으로 인구 감소 지역과 주택 노후도를 예상하고 미래에 발생할 빈집 정보를 연계해 최적의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는 "국민 누구나 빈집애(愛)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전국에 있는 빈집 정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라며 "부동산원과 공인중개사 연계를 통해 빈집의 거래와 임대까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