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북한의 대남방송에 피해를 호소한 인천 강화군의 주민들이 군수와의 간담회를 갖고 탄원서를 제출했다.
지난 21일 강화군에 따르면 송해면 주민들은 '대북·대남 방송 대책위원회'를 꾸리고 강화군수와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주민들은 탄원서를 통해 "송해면 양오리 주민들은 지속되고 있는 대남방송으로 조용하고 평화로운 일상이 무너진 삶을 살고 있다"라고 호소했다.
이어 "장기간 소음으로 육체적, 정신적 고통은 물론이고 경제적 어려움마저 겪고 있다. 접경 지원 특별법을 개정해 주민 지원 대책과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피해에 대한 보상책을 마련해 달라"라고 촉구했다.
주민들은"조용하고 건강한 환경 속에서 평화로운 삶을 살고 싶다"라며 고통스러운 일상을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같은 주민들의 호소는 지난해 7월부터 시작된 북한의 대남방송 때문이었다.
지난해 10월, 주민들은 국정감사장에서 끔찍한 대남방송 소음 피해를 호소하며 "방송 소음으로 인해 일상이 무너졌다. 여기 계신 위원님들, 손자 손녀분들이 '밤에 무서워서 잠을 못 자겠다'라고 하면 어떻게 얘기를 해 주실 수 있겠냐"며 울음을 토했다.
동물 울음소리부터 귀신소리까지... '끔찍한' 소음 공격
사진=픽사베이
기존 북한은 대남방송에서 '김정은'을 찬양하는 내용, 체제선전 가요 등을 틀었지만, 지난해부터는 쇠 긁는 소리, 귀신 소리, 여우 울음소리, 곡소리 등 불쾌하고 정신적인 고통을 유발하는 소음을 틀고 있다.
이에 접경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는 물론, 숙박업과 야영장업 등 소상공인들도 큰 타격을 입고 있으며 방문객이 급감해 지역 경제 또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화군수는 주민들의 호소에 "고통을 깊이 공감한다"라며 "중앙정부에 대북방송 중단을 여러 차례 요청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현 피해상황을 중앙정부에 적극 전달하고 주민의 입장에서 함께 해결 방안을 찾겠다"라고 밝혔다. 실제로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캠핑장에서 대남방송이 들려 잠을 못 잤다는 후기글이 속출하고 있었다.
접경지역 캠핑장을 이용했다는 누리꾼들은 "귀마개를 꽂고 잤는데도 대남방송이 들렸다", "파주 쪽인데 동물 울음소리부터 온갖 이상한 소리들이 들려서 소름 돋는다", "도저히 힘들어서 철수하고 그냥 왔다"라는 후기를 공유했다.
사진=픽사베이
한편, 강화군은 지난 19일 강화읍, 양사면, 교동면, 송해면, 선원면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소음 저감 대책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강화군은 전문기관에 용역을 맡겨 해당 지역의 소음을 측정하고 소음지도를 작성, 피해 저감 컨설팅에 착수할 계획이라 전했다.
지난해 인천보건환경연구원에서 소음측정을 진행했으나 측정 지점이 적어 객관적 근거 자료로 활용하긴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강화군수는 "이번 용역으로 주민들의 피해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과 과학적인 자료를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 행안부 등 상위기관과 적극 협의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