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 충청도(忠淸道)모바일에서 작성

ㅇㅇ(112.218) 2025.04.21 00:51:18
조회 80 추천 1 댓글 0


◈ 충청도(忠淸道)


본래 백제의 땅이다. 고려 성종(成宗) 14년 을미에 【송나라 태종(太宗) 지도(至道) 원년. 】 경내(境內)를 나누어 10도(道)로 함에 따라, 충원도(忠原道)는 충주(忠州)·청주(淸州)·강주(剛州)172) ·환주(歡州)173) 등 13주(州)를 관할하고, 하남도(河南道)는 공주(公州)·운주(運州)174) 등 11주를 관할하였다. 예종(睿宗) 원년 병술에 【송나라 철종(哲宗) 숭녕(崇寧) 5년. 】 양광 충청주도(楊廣忠淸州道)라 하다가, 명종(明宗) 원년 신묘에 【송나라 효종(孝宗) 건도(乾道) 7년. 】 양광 충청주도를 갈라 두 도(道)로 만들었다. 충숙왕(忠肅王) 원년 갑인에 【원나라 인종(仁宗) 연우(延祐) 원년. 】 다시 양광 충청주도를 양광도(楊廣道)로 하고, 홍무 21년 무진175) 에 도(道)의 평창군(平昌郡)을 갈라 교주도(交州道)에 옮겨 붙였다. 본조 태조(太祖) 4년 을해에 【홍무 28년. 】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고, 양주(楊州)·광주(廣州) 관할 군(郡)·현(縣)을 갈라 경기(京畿)에 옮겨 붙였고,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로 고쳐 도청[司]을 청주에 두었다. 공정왕(恭靖王)176) 원년 기묘에 【건문(建文) 원년. 】 영월군(寧越郡)을 갈라 강원도(江原道)에 옮겨 붙였고, 그 도의 원주(原州) 임내(任內)인 영춘현(永春縣)을 내속(來屬)시켰다. 태종(太宗) 13년 계사에 【영락 11년. 】 여흥(驪興)·안성(安城)·음죽(陰竹)·양성(陽城)·양지(陽智)를 갈라 경기(京畿)에 옮겨 붙였고, 경상도(慶尙道)의 옥천(沃川)·황간(黃澗)·영동(永同)·청산(靑山)·보은(報恩)을 이에 내속시켰다.


그 지경은 동쪽이 단양(丹陽) 죽령(竹嶺)에 이르고, 서쪽은 태안(泰安) 오근이포(朽斤伊浦)에, 남쪽은 은진(恩津) 작지(鵲旨)에, 북쪽은 직산(稷山) 아주제(牙州梯)에 이르는데, 동서가 4백 77리요, 남북이 2백 44리이다.


관할은 목(牧)이 4, 군(郡)이 11, 현령(縣令)이 1, 현감(縣監)이 39이다.


명산(名山)은 계룡산(鷄龍山)이 공주(公州)에 있고, 죽령(竹嶺)이 단양(丹陽)에 있으며, 가야산(伽倻山)이 덕산(德山)에 있고, 【모두 사전(祀典)에 있다. 】 월악(月嶽)이 청풍(淸風)에 있으며, 【삼국(三國) 때에는 월형산(月兄山)이라 하여 사전(祀典)에 있었는데, 지금은 혁파하였다. 】 도고산(道高山)이 신창(新昌)에 있다. 【사전(祀典)에 있었는데, 지금 혁파하였다. 】


대천(大川)은 웅진(熊津)이다. 그 근원이 전라도(全羅道)에서 나와 양산(楊山) 서쪽을 지나 영동현(永同縣)에 들어가고, 이산현(利山縣)에 이르러 적등진(赤登津)이 되고, 옥천(沃川)에 이르러 화인진(化仁津)이 되며, 회덕(懷德)에 이르러 이원진(利遠津)이 되고, 연기(燕岐)에 이르러 또 큰 내가 있어, 청주(淸州)의 서쪽 지경으로부터 남쪽으로 흘러 들어와서, 그 아래가 웅진(熊津)이 【사전(祀典)에 있다. 】 되고, 공주(公州)에서 금강(錦江)이 되며, 부여(扶餘)에서 고성진(古省津)이 되고, 임천(林川)에서도 고다진(古多津)이 되며, 진포(鎭浦)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양진명소(楊津溟所)는 그 근원이 강원도(江原道) 영서(嶺西)로부터 나와서 며촌(旀村) 방림역(芳林驛)을 지나 평창군(平昌郡) 북쪽에 이르러 용연진(龍淵津)이 되고, 영월군(寧越郡) 서쪽에 이르러 가근동진(加斤同津)이 되고, 군(郡) 남쪽에 이르러 금장강(錦障江)과 합류(合流)하여, 영춘(永春)·단양(丹陽)·청풍(淸風)을 지나 충주(忠州)에 이르러 연천(淵遷)이 되고, 경기(京畿) 여흥(驪興) 우음안포(亐音安浦)에 들어간다.


호수가 2만 4천 1백 70호(戶)요, 인구가 10만 7백 90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1천 9백 74명이요, 영진군(營鎭軍)이 1천 7백 66명이요, 수호군(守護軍)이 2백 48명이요, 선군(船軍)이 7천 8백 58명이다.


간전(墾田)이 23만 6천 3백 결(結)이다.


구실[賦]은 쌀 【경미(粳米)·백미(白米)·세경미(細粳米)·상경미(常粳米)·점경미(粘粳米)·점백미(粘白米)·조미(糙米)가 있다. 】 ·피[稷米]·콩 【녹두·붉은 팥·콩이 있다. 】 ·보리 【찰보리[眞麥]·메밀. 】 ·지마(芝麻) 【향명(鄕名)은 참깨[眞荏子]. 】 ·꿀·밀[黃蠟]·지마유(芝麻油) 【향명(鄕名)은 참기름[眞油]. 】 ·소자유(蘇子油) 【향명은 들기름[法油]. 】 ·겨자[芥子]·모시[白苧布]·명주[紬布]·무명[綿布]·닷새베[正五升布]·솜[綿子]·초쇄자(草刷子) 【국속(國俗)에서 솔[之省]이라 함. 】 ·표주박[瓢子]이다. 【대체로 군읍(郡邑)의 구실[田賦]이 멀든지 가깝든지 모두 같으므로, 다시 군읍 아래에 적지 아니한다. 】


공물[貢]은 범의 가죽·표범가죽·곰가죽·여우가죽·삵괭이가죽·노루가죽·사슴가죽·쇠가죽·말가죽·산수달피(山水獺皮)·표범꼬리·범꼬리·곰털·족제비털·돼지털·잡깃[雜羽]·수돛[雄猪]·말린 사슴고기[乾鹿]·말린 노루고기·말린 돼지고기·거위[天鵝]·포육(脯肉)·쇠뿔[牛角肋]·사슴젓[鹿醢]·토끼젓·가뢰[班猫]·홍어(紅魚)·큰 새우·말린 숭어·상어·어교(魚膠)·칠(漆)·먹[墨]·주토(朱土)·황밤[黃栗]·마름[菱仁]·가시연밥[芡仁]·개암[榛子]·말린 포도[乾葡萄]·오미자(五味子)·조피나무열매[川椒]·호도(胡桃)·배[梨]·연감[紅柿]·참가사리[細毛]·황각(黃角)·청각(靑角)·석이[石茸]·느타리·싸리버섯·소나무그을음[松煙]·송화(松花)·송진[松脂]·세겹줄[三股縄]·두겹줄[兩股縄]·마의(馬衣)·목화[綿花]·모시[苧]·삼[麻]·각색 종이[各色紙]·유둔(油芚)·왕골자리[莞席]·돗자리[草席]·소쿠리[簞]·각색 비[各色尾帚]·각색 사기그릇[磁器]·질그릇[陶器]·각색 나무그릇[木器]·고리[柳器]·자단향(紫檀香)·백단향(白檀香)·애끼찌[弓幹木]·나무활[木弓]·자작나무[自作木]·장작개비[燒木]·건축에 쓰는 큰 나무·서까래[椽木]·잣나무[栢木]·황양목(黃楊木)·대추나무·피나무[椵木]·가래나무·넓은널 대중목[廣板大中木]·피나무널[椵板]·잣나무널[栢板]·해죽(海竹)·그 고을의 박선[仍邑朴船]·숯[炭]·시우쇠[正鐵]이다.


약재(藥材)는 담비쓸개[獺膽]·고슴도치가죽·섣달 여우간[臘狐肝]·사슴뿔·영양뿔[羚羊角]·녹각교(鹿角膠)·토끼대가리[兎頭]·쇠쓸개[牛膽]·아교(阿膠)·범의 정강이뼈[虎脛骨]·우황(牛黃)·이리뼈[狼骨]·녹용(鹿茸)·곰의 쓸개[熊膽]·돼지쓸개[猪膽]·도아조유(島阿鳥油)·오징어뼈[烏骨]·자라껍데기[鼈甲]·거북껍데기[龜甲]·매미허물[蟬脫皮]·찰머구리[蝦蟆]·두꺼비[蟾酥]·뽕나무벌레[桑螵蛸]·등에[蝱蟲]·거머리[水蛭]·잉어쓸개[鯉膽]·말린 잉어[乾鯉魚]·지네[蜈蚣]·뽕나무 겨우살이[桑寄生]·오가피(五加皮)·잣[栢子仁]·닥나무열매[楮實]·회화나무꽃[槐花]·탱자껍데기[枳殼]·오배자(五倍子)·구기자(枸杞子)·복신(茯神)·복령(茯苓) 【붉은 것과 흰 것의 두 종류가 있다. 】 ·괴좆나무뿌리[地骨皮]·모란뿌리껍질[牧丹皮]·고무딸기열매[覆盆子]·함박꽃뿌리[芍藥] 【붉은 것과 흰 것의 두 종류가 있다. 】 ·족도리풀뿌리[細辛]·구리때뿌리[白芷]·현삼(玄蔘)·낭아(狼牙)·수뤼나물[葳靈仙]·지치[紫草]·끼절가리뿌리[升麻]·질경이씨[車前子]·쇠무릎지기뿌리[牛膝]·버들옷[大戟]·대소 삽주[薊草]·시호(柴胡)·배암도랏씨[蛇床子]·고본(藁本)·으름덩굴[木通]·끼무릇뿌리[半夏]·삽주뿌리[蒼朮]·백부자(白附子)·쪽칠[藍漆]·단너삼뿌리[黃耆]·부들꽃[蒲黃]·도라지·창출[蒼朮]·바디나물뿌리[前胡]·쥐방울[馬兜零]·칡꽃[葛花]·범부채[射干]·납가새[蒺藜子]·연밥[蓮子]·연밥송이[蓮房]·연잎[蓮葉]·연꽃술[蓮花蘂]·더위지기[茵陳]·겨우살이풀[麥門冬]·택사(澤瀉)·마뿌리[山藥]·바곳[草烏頭]·수자해좆싹[赤箭]·파랭이꽃이삭[瞿麥穗]·과남풀[龍膽]·가위톱[白歛]·인삼(人蔘)·수자해좆뿌리[天麻]·승검초뿌리[當歸]·파고지(破古紙)·하눌타리[括樓]·매재기뿌리[京三菱]·새박뿌리[何首烏]·외나물뿌리[地楡]·대왕풀[白芨]·창포[菖蒲]·두여머조자기[天南星]·회초미뿌리[貫衆]·호라비좆뿌리[天門冬]·자리공뿌리[商陸]·두릅뿌리[獨活]·감제뿌리[虎杖根]·검산풀뿌리[續斷]·속서근풀[黃芩]·며래뿌리[萆蘚]·새삼씨[兎絲子]·양귀비열매껍질[粟殼]·병풍나물뿌리[防風]·궁궁이[芎藭]·낙석(絡石)·애기풀[遠志]·초결명씨[決明子]·자자(紫子)·왕골뿌리[莞根]·석위(石葦)·모향(茅香)·산골[自然銅]·곱돌[滑石]·산비둘기[班鳩]·백교향(白膠香)·북나무진[安息香]·하국[旋覆花]·겨우살이꽃[金銀花]이다.


재배하는 약재(藥材)는 회향(茴香)·대추[棗]·누에나비[元蠶蛾]·감국화(甘菊花)·부추씨[韮子]·율무씨[薏苡仁]·모과[木瓜]·콩꽃[豆花]·잇[紅花]·정가이삭[荊芥穗]·소야기[香薷]·우엉[惡實]·생지황(生地黃)·영생이[薄荷]·백변두(白扁豆) 【검은 것과 흰 것의 두 가지가 있다. 】 ·장군풀[大黃]·참외꼭지[眞瓜蔕]·나팔꽃씨[牽牛子]· 【흰 것과 검은 것의 두 종류가 있다. 】 누른 국화[黃菊]·누른 해바라기씨[黃葵子]이다.


병마 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는 해미현(海美縣)에 두었는데, 바다 어귀에 이르기 6리요, 【군관(軍官)이 5백 명, 신백정(新白丁)이 1백 48명, 수성군(守城軍)이 2백 7명이다. 】 병마 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의 지키는 곳[守禦處]이 둘 있으니, 순성진(蓴城鎭)은 바다 어귀에 쑥 들어가 있고, 【유방군(留防軍)이 61명, 패속군(牌屬軍)이 3백명, 신백정(新白丁)이 58명, 수성군이 50명이다. 】 남포진(藍浦鎭)은 바다 어귀에 이르기 8리이며, 【유방군(留防軍)이 63명, 진속군(鎭屬軍)이 3백 명, 신백정(新白丁)이 39명, 수성군이 51명이다. 】 수군 도안무 처치사(水軍都安撫處置使)는 보령현(保寧縣) 서쪽 대회이포(帶回伊浦)에 머무르며, 【거느린 것이 중대선(中大船)이 6척, 중맹선(中孟船)이 18척, 쾌선(快船)이 4척, 군사 없는 중대선이 6척, 추왜별맹선(追倭別孟船)이 6척, 선군(船軍)이 1천 7백 66명, 선직(船直)이 1백 14명이다. 】 수군 만호(水軍萬戶)가 지키는 곳이 7이니, 좌도 도만호(左道都萬戶)는 태안군(泰安郡) 서쪽 오근이포(杇斤伊浦)에 머무르고, 【거느린 것이 병선(兵船)이 11척, 추왜별선(追倭別船)이 2척, 무군선(無軍船)이 2척, 선군(船軍)이 1천 4백이다. 】 우도 도만호(右道都萬戶)는 남포현(藍浦縣)이 구정(龜井)에 머무르며, 【거느린 것이 병선(兵船)이 16척, 별선(別船)이 2척, 무군선(無軍船)이 1척, 선군(船軍)이 1천 3백 2명이다. 】 서천포 만호(舒川浦萬戶)는 장암포(長巖浦)에 머무르고, 【거느린 것이 병선이 16척, 선군이 7백 97명이다. 】 고만량 만호(高巒梁萬戶)는 보령현(保寧縣) 서쪽 송도포(松島浦)에 머무르며, 【거느린 것이 병선이 10척, 선군이 6백 61명이다. 】 파치도 만호(波治島萬戶)는 서산군(瑞山郡) 북쪽 대산포(大山浦)에 머무르고, 【거느린 것이 병선이 13척, 별선(別船)이 2척, 무군선 1척, 선군이 7백 90명이다. 】 당진 만호(唐津萬戶)는 당진현(唐津縣) 북쪽 박지포(朴只浦)에 머무르며, 【거느린 것이 병선이 13척, 선군이 7백 90명이다. 】 대진 만호(大津萬戶)는 홍주(洪州) 임내(任內) 신평현(新平縣) 북쪽 대진(大津)에 머무른다. 【거느린 것이 병선이 13척, 선군이 7백 94명이다. 】


감목관(監牧官)이 1명이요, 역승(驛丞)이 9명이다. 율봉도(栗峯道)의 관할 역이 7이요, 【쌍수(雙樹)·덕류(德留)·금사(金沙)·저산(楮山)·태랑(台郞)·장양(長楊)·시화(時化). 】 일신도(日新道)의 관할 역이 5요, 【경천(敬天)·광정(廣程)·평천(平川)·단평(丹平)·유구(帷鳩). 】 연원도(連原道)의 관할 역이 6이요, 【단월(丹月)·용안(用安)·안부(安富)·가흥(可興)·감원(坎原)·인산(仁山). 】 성환도(成歡道)의 관할 역이 4요, 【신은(新恩)·김제(金蹄)·연춘(延春)·장명(長命). 】 황강도(黃江道)의 관할 역이 6이요, 【수산(水山)·장림(長林)·영천(令泉)·천남(泉南)·안음(安陰)·의풍(義豐). 의풍의 속칭은 오사호(吾賜乎)라 한다. 】 증약도(增若道)의 관할 역이 9이요, 【가화(嘉禾)·화인(化仁)·원암(原巖)·함림(含林)·토파(土坡)·순양(順陽)·회동(會同)·신흥(新興)·전민(田民). 】 시흥도(時興道)의 관할 역이 4이요, 【창덕(昌德)·일흥(日興)·장시(長時)·화천(花川). 】 금정도(金井道)의 관할 역이 11이요, 【광시(光時)·세천(世川)·용곡(龍谷)·급천(汲泉)·순성(順成)·흥세(興世)·풍전(豐田)·하천(下川)·몽웅(夢熊)·해문(海門)·청연(靑淵). 】 이인도(利仁道)의 관할 역이 9이다. 【용전(龍田)·은산(銀山)·유양(楡楊)·숙홍(宿鴻)·남전(藍田)·청화(靑化)·두곡(豆谷)·신곡(新谷)·영유(靈楡). 분행(分行)·좌찬(佐贊) 2역(驛)은 경기 찰방도(京畿察訪道)를 관할한다. 】


수조처(收租處)가 8이니, 연천(淵遷)은 충주(忠州) 서쪽 10리에 있고, 【본주(本州) 및 단양(丹陽)·청풍(淸風)·괴산(槐山)·연풍(延豐)·제천(堤川)·영춘(永春)·음성(陰城) 등 고을은 〈구실을〉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양진(楊津)을 따라 앙암(仰巖)을 지나 서울에 다닫는데, 물길[水路]이 2백 60리이다. 】 앙암(仰巖)은 충주(忠州) 서쪽 60리에 있으며, 【본주 및 단양(丹陽)·청풍(淸風)·괴산(槐山)·연풍(延豐)·제천(堤川)·영춘(永春) 등 고을은 〈구실을〉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양진을 따라 여흥(驪興)을 지나 서울에 다닫는데, 물길이 2백 20리이다. 】 우음안포(亐音安浦)는 경기(京畿) 여흥(驪興) 동쪽 10리에 있으며, 【옥천(沃川)·영동(永同)·황간(黃澗)·청산(靑山)·보은(報恩)·청안(靑安) 등 고을은 〈구실을〉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여강(驪江)을 따라 서울에 다닫는데, 물길이 2백 10리이다. 】 추호포(推乎浦)는 여흥 서쪽 1리에 있고, 【청안(靑安)·음죽(陰竹) 2현(縣)의 구실은 〈이곳에 바쳐서〉 여강을 따라 이포(梨浦)를 지나 서울에 다닫는데, 물길이 1백 94리이다. 】 이포(利浦)는 경기 천령현(川寧縣) 동쪽 5리에 있으며, 【죽산(竹山)·진천(鎭川) 2현(縣)의 구실을 이곳에 바치는 데, 물길이 1백 60리이다. 】 경양포(慶陽浦)는 직산현(稷山縣) 서쪽 1리에 있고, 【본주 및 평택(平澤)의 구실은 이곳에 바쳐서 〈배로〉 공세곶(貢稅串)을 지나 서해(西海)를 거쳐서 서강(西江)에 다닫는데, 물길이 5백 40리이다. 】 공세곶(貢稅串)은 아산현(牙山縣) 서쪽 8리에 있으며, 【본주 및 청주(淸州)·목천(木川)·전의(全義)·연기(燕岐)·온수(溫水)·신창(新昌)·은진(恩津)·연산(連山)·회덕(懷德)·공주(公州)·정산(定山)·회인(懷仁)·천안(天安)·진잠(鎭岑)·이산(尼山)·문의(文義)의 구실은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범근천(犯斤川)을 지나 서해를 거쳐서 서강(西江)에 다닫는데, 물길이 5백 리이다. 】 범근천(犯斤川)은 면천(沔川) 동쪽 30리에 있다. 【본주 및 임천(林川)·한산(韓山)·서천(舒川)·남포(藍浦)·비인(庇仁)·홍산(鴻山)·홍주(洪州)·태안(泰安)·서산(瑞山)·해미(海美)·당진(唐津)·덕산(德山)·예산(禮山)·청양(靑陽)·보령(保寧)·결성(結城)·대흥(大興)·석성(石城)·부여(扶餘) 등 고을의 구실은 모두 이곳에 바쳐서 〈배로〉 대진(大津)을 지나 서해를 거쳐서 서강에 다닫는데, 물길이 5백 10리이다. 】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공지 도시 갤러리 이용 안내 [253] 운영자 09.11.12 224754 156
2442970 나보다 도잘알인놈 솔직히 없잖아 [2] 부산촌놈(118.235) 13:46 21 0
2442969 난 이번주 금요일에 전주 가보려고 생각중 [3] ㅇㅇ(118.235) 13:42 19 0
2442968 할게 없다 [2] 피자2021(58.235) 13:31 41 1
2442967 그리운 전라남도 광주촌구석 열등감 신의 행복하던시절 ㅠ [1] ㅇㅇ(211.235) 13:26 38 4
2442966 입안에 벌레 들어갔다 나갔는데 [2] 오렌즈네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9 35 0
2442965 3년만에 서울 갔는데 도갤러(59.0) 13:16 23 1
2442964 부산대 >> 경북대 [1] 오렌즈네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 50 3
2442963 방금 시험 은메달 땄다 오렌즈네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 33 3
2442962 부산이랑 관련해서 팩폭하면 천안문되는 갤인거 ㅇㅇ(118.235) 13:03 34 0
2442960 시험끝났다 뭐하지 [2] 피자2021(58.235) 12:56 39 1
2442959 알바십새끼야 와삭제하노 [1] 피자2021(58.235) 12:48 49 1
2442957 부산 [1] 도갤러(223.39) 12:41 31 2
2442956 무주택자 자식찿는 전북 집값 10퍼로 집사는 정책 에테르노청담사겠네 ㅇㅇ(211.234) 12:41 25 1
2442955 창원 vs 전라도 광주 [3] 오렌즈네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7 43 0
2442954 E-book 불편하다 오렌즈네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5 21 0
2442953 곧 오픈하는 람보르기니 부산 전시장.jpg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1 56 1
2442952 2025 보그뉴진스 엘르코리아 샤넬민지 엘르재팬 디올해린   ㅇㅇ(223.39) 12:30 44 0
2442951 농약살포기 [1] コゾロゾッとする(118.235) 12:07 37 0
2442950 인구와 자원을 서울에 집중해야 한국이 경쟁력을 얻는다. [1] ㅇㅇ(112.160) 11:54 46 1
2442949 화염방사기 吾만원의 절규 コゾロゾッとする(118.235) 11:50 32 0
2442948 이번달 광주인구 140무너지면 개웃길듯 도갤러(118.235) 11:34 46 1
2442947 서양애들 눈에는 서울의 빌라촌이 그렇게 이쁘게 보인다고함 도갤러(121.66) 11:20 42 0
2442946 장례 頓 생각하니 安㘒聖 [6] コゾロゾッとする(118.235) 11:13 38 0
2442944 과천이 경기도 웬만한 도시 씹어먹는 이유 도갤러(14.35) 10:53 65 0
2442943 지방 gtx??? ㅋㅋㅋ [1] ㅇㅇ(223.39) 10:14 83 1
2442942 부산에 2.2조 투입하여 랜드마크 조성한다 [1] 도갤러(91.230) 09:45 112 3
2442941 👹. 50% 돌파…, 그리고 90.81% 도갤러(1.229) 09:40 32 1
2442940 혹시 이게 뭔지 아시나요...? 도갤러(211.234) 08:00 52 1
2442939 영도가면 눈빛부터 다르나? 피자2021(58.235) 07:59 56 0
2442938 지식산업센터 이건 사기임 절대 투자금지 ㅇㅇ(211.235) 07:54 49 0
2442937 '12억 새 아파트'가 반토막 났다…송도에 대체 무슨 일이 ㅇㅇ(221.139) 07:53 56 1
2442936 송도국제도시 길거리 회장(223.38) 07:51 70 0
2442934 門海礫 コゾロゾッとする(118.235) 07:43 48 0
2442933 좆박은 부산 해운대 경동리인뷰 시리즈 ㄷㄷ 회장(223.38) 07:43 82 1
2442932 朝曝 コゾロゾッとする(118.235) 07:39 40 0
2442931 지역유지 조심 특히 慶州 한동훈 コゾロゾッとする(118.235) 07:36 50 0
2442930 밥 갤러리에 음식 사진 올려주세요 ㅇㅇ(183.91) 07:21 26 0
2442929 부산 동아대학교 충격 근황 [1] ㅇㅇ(221.139) 06:36 150 0
2442928 "신분당선 타는 여성들 조심"···경찰, 바지 지퍼 내린 군복남 추적 중 ㅇㅇ(221.139) 05:56 85 0
2442927 2025 보그뉴진스 엘르코리아 샤넬민지 엘르재팬 디올해린   도갤러(223.39) 05:51 68 0
2442926 전라도새끼들 1인당gdp,근로소득,종합소득 경상도한테 쳐발리면서 도갤러(118.235) 02:55 57 1
2442925 전라도남들이 동남아 원숭이들이랑 결혼하는 이유.reason 도갤러(211.107) 02:48 71 2
2442924 2025 보그뉴진스 엘르코리아 샤넬민지 엘르재팬 디올해린   도갤러(223.39) 02:34 45 0
2442923 김대중 같은 전라남도 새끼들 전라도 광주(211.237) 01:41 60 1
2442922 저 취업했어요 !! 축하 한마디만 해주세요 ㅇㅇ(183.109) 01:07 90 0
2442921 통라도 정치인들은 왤케 깨시민인척 하는거임?? 도갤러(218.146) 01:00 49 1
◈ 충청도(忠淸道) ㅇㅇ(112.218) 00:51 80 1
2442918 지방 촌놈인데 확실히 천성이라는게 있는듯 도갤러(211.234) 00:16 86 1
2442917 결혼 관련 세 가지, 지난 10년의 글쓰기 중... ACADEMIA(119.196) 00:05 53 0
뉴스 현아♥용준형, 결혼 후 더 과감해진 일상 공개…길거리 셀카+뽀뽀까지 ‘달달 신혼’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