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자뻑은 자유. 허나 드러내는 순간 비웃음을 당하지.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4.11.24 13:04:23
조회 782 추천 6 댓글 6

- 계룡산 도사(道士)가 나타나 프로 김태현에게 바둑을 청하다.
[출처 : 조남철 '바둑에 살다'인용]

-道士 출현
김태현 선생이 3단이었던 시절. 김태현 3단은 대전에서 기원을 운영하고 있었다. 프로가 너무 귀하던 시절이니, 당연히 그 지역에서는 내노라하는 국수급 강자가 아니면 감히 대적할 자가 없었다고 보아도 무방하겠다.

기원 원장으로 지내던 어느해 가을, 아주 이상한 차림을 한 계룡산(鷄龍山)의 '신도안'에서 도를 닦던 도인이 기원에 찾아 왔다. 도인은 처음부터 기원 주인을 찾았다. 김태현 3단이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듣고 기원에 나가 도인을 보았는데. 그는 '내성은 강(康)이며 계룡산에서 20년간 수도하는 여가에 바둑의 이치를 터득했소, 대전에 온 김에 세속의 바둑실력은 어떠한지 시험하러 왔으니, 이곳에서 바둑을 제일 잘 두는 사람을 소개해 주시오' 하고 정중히 청하는 것이었다.

-道士 박살
김태현 3단은 일단 호기심이 생겼다. 분명 가소로운 느낌도 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물었다.

-'신도안에는 바둑을 두는 분들이 많습니까?'
-'신도안에는 박도인(朴道人)이란 분이 가장 잘두며 아마 세상 제일 고수일 것입니다. 나는 그분에게 두점을 놓고 상승상부(相承相負)하지요'

결국 김태현 3단은 자기 소개를 하고 도사와 바둑판을 마주 하고 착석했다. 한데 도사가 대뜸 백돌을 자기앞으로 끌어당기는 것이 아닌가. 프로의 입장인 김태현 3단으로서는 저으기 당황스럽고 가소로운 일이 아닐 수 없지만. 속세를 떠난 도사에게 프로의 단위와 권위를 말해 무엇하리오. 결국 흑으로 두어나가기 시작했고 기원의 손님들은 원장인 김태현 3단이 흑으로 바둑을 두니 초야의 굉장한 국수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 떼로 몰려들어 바둑을 구경했다.

김태현 3단이 바둑을 두어보니 도사의 실력은 9급정도, 그 약한 실력으로 호선으로 프로에게 덤볐으니 결과는 당연히 '반상의 홀로코스트'

참패를 한 도사는 이것은 필시 상제신이 노하여 심안(心眼)을 가린것이 분명하다 며 한동안 눈을 감고 주문을 외더니 재차 도전했다. 그러나 상제신도 바둑을 두려면 기초부터 알아야 할 것이다. 상제신의 도움을 받은(?) 도사는 결국 아홉점까지 접히고 말았다.

- 도사의 스승 박도인 복수를 위해 출현. 그러나 역시 박살.
김태현 3단이 가소로운 도사를 바둑으로 박살낸지 얼마후, 박살난 강도사의 스승인 박도사가 김태현 3단을 찾아왔다. 그리고는 '지난번 내 제자인 강도인이 아홉점으로도 졌다고 하니 어찌 이럴수가 있단 말이오. 오늘은 내가 직접 시험하러 일부러 산에서 내려왔소'하고 인사를 하는 것이었다.

김태현 3단은 가소로움을 넘어 귀찮은 생각까지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정중하게 대국을 청하는 상대를 기원주인으로서 야박하게 거절할 수는 없는 일. 대국을 시작했지만 전처럼 처음부터 호선으로 시작하지 않고 박도사는 7점을 깔게 했다. 
'강씨의 바둑실력은 9급정도이고, 선생께선 두점 강하시다니 일곱점부터 두어봅시다' 라고 청했고 스승 도사는 불만스러웠으나 일곱점을 놓고 대국을 시작했다.

하지만 바둑은 도를 닦는 것이 아니니 어찌하랴. 박도사는 일곱점에 두는 족족 박살이 나고 말았다. 그러나 엄청난 고수가 하수를 박살내는 것이 별로 유쾌하지만은 않은것, 김태현 3단은 바둑에 지고 넋이 나가 있는 박도사에게 친절하게 바둑을 복기해주며 바둑의 이론에 대해 설명을 해주었다.

'바둑이란 것은 포석, 정석, 행마란 것이 있으며 이곳은 이렇게 두는 것이 정석, 이 수는 이렇게 두는 것이 행마입니다'

그때서야 박도사는 머리를 끄덕이며 
'나는 이제까지 계룡산이 세상의 전부인줄 알았는 데 세상은 참으로 넓소, 세상은 참으로 넓어, 헛세상 살았어.' 하며 서글픈 표정으로 떠나갔다.

[도사와 바둑고수와의 에피소드 : IDEA REVIEW]
- 우물안 개구리의 공상은 세상을 바꾸지 못한다.

사건의 도사들이 즐겨찾는 상제신(上帝神)도 바둑을 잘 둘 수 없다. 아마 도사들이 했어야 할 일은 바둑이 아니라 세상살이의 길흉을 점치는 다소 모호한 예언분야가 적격이 아니었을 까 한다. 상제신이라면 다소 점(占)이나 예언이 모호하더라도 부족한 부분을 막아줄 든든한 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사들이 착각한 것은 바둑을 무슨 氣나 道로 인식했다는데에 있다. 바둑은 하루아침에 면벽수도하여 도로 깨우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실질적인 학습에 의해 실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한 귀퉁이의 정석도 결코 공짜로 얻어지는 것이 아닐것인데, 김태현 3단은 도사들과의 실전을 통해 그 현실을 깨우쳐 준 것이고, 도사들은 자신들이 바둑에서 박살이 난 다음에야 몽상에서 벗어나게 된 것이다. 즉 도사들은 바둑으로 도를 닦았다기 보다는 자신둘만의 주관적인 믿음을 계속해서 쌓아나간 것에 불과한 것이다.

도사들의 경우는 현실에서도 종종 나타난다. 즉 도사처럼 속세를 떠나 있는 것도 아니면서도 자신에게 유리한 결과나 현상만을 받아들여서 객관적인 진실을 보지 못하는 현상말이다. 왜 사람들은 에피소득의 도사들처럼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을 받아들여 공상을 확대할까. 이유는 간단하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편하고 즐겁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자신에 유리하거나 옳다고 믿어지는 것만을 보다보면 언젠가 객관적인 현실앞에서 서글픈 표정을 지을 날이 오게 될 것이다.

. 도사들과 김태현 선생의 이야기가 던져주는 메세지는 간단하다. 우물안 개구리의 공상에 빠지지 말것.

자신이 철썩같이 믿고 있는 믿음이 있는가?혹은 상상? 신앙이 아니라면, 그 믿음이 도사들과 같은 유리한 상황만을 학습한 공상인지 혹은 실질적인 꾸준한 학습에 의해 유지되는 것인지 마음에 손을 얹고 가끔씩은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다. 주어진 조건에서 유지되던 꿈과 믿음이, 실제 현실에서 산산 조각 날때의 서글픈 표정은 상상만 해도 정말 처량하지 않은가.

오늘의 생각할 거리. 대개의 뇌내망상은 하나하나 쌓아가는 과정 없이 내가 큰 틀을 파악했다는 근자감, 또는 그렇게 하고 싶은 욕망에서 나온다. 이런 뇌내망상은 자신에게 망신을 주거나 또는 다른 이들에게 피해를 주기 마련이다. 잊지 말자. 세상에 공짜는 없다.  ---  - 계룡산 도사(道士)가 나타나 프로 김태현에게 바둑을 청하다. [출처 : 조남철 '바둑에 살다'인용]  -道士 출현 김태현 선생이 3단이었던 시절. 김태현 3단은 대전에서 기원을 운영하고 있었다. 프로가 너무 귀하던 시절이니, 당연히 그 지역에서는 내노라하는 국수급 강자가 아니면 감히 대적할 자가 없었다고 보아도 무방하겠다.   기원 원장으로 지내던 어느해 가을, 아주 이상한 차림을 한 계룡산(鷄龍山)의 '신도안'에서 도를 닦던 도인이 기원에 찾아 왔다. 도인은 처음부터 기원 주인을 찾았다. 김태현 3단이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듣고 기원에 나가 도인을 보았는데. 그는 '내성은 강(康)이며 계룡산에서 20년간 수도하는 여가에 바둑의 이치를 터득했소, 대전에 온 김에 세속의 바둑실력은 어떠한지 시험하러 왔으니, 이곳에서 바둑을 제일 잘 두는 사람을 소개해 주시오' 하고 정중히 청하는 것이었다.  -道士 박살 김태현 3단은 일단 호기심이 생겼다. 분명 가소로운 느낌도 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물었다.  -'신도안에는 바둑을 두는 분들이 많습니까?' -'신도안에는 박도인(朴道人)이란 분이 가장 잘두며 아마 세상 제일 고수일 것입니다. 나는 그분에게 두점을 놓고 상승상부(相承相負)하지요'  결국 김태현 3단은 자기 소개를 하고 도사와 바둑판을 마주 하고 착석했다. 한데 도사가 대뜸 백돌을 자기앞으로 끌어당기는 것이 아닌가. 프로의 입장인 김태현 3단으로서는 저으기 당황스럽고 가소로운 일이 아닐 수 없지만. 속세를 떠난 도사에게 프로의 단위와 권위를 말해 무엇하리오. 결국 흑으로 두어나가기 시작했고 기원의 손님들은 원장인 김태현 3단이 흑으로 바둑을 두니 초야의 굉장한 국수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 떼로 몰려들어 바둑을 구경했다.   김태현 3단이 바둑을 두어보니 도사의 실력은 9급정도, 그 약한 실력으로 호선으로 프로에게 덤볐으니 결과는 당연히 '반상의 홀로코스트'  참패를 한 도사는 이것은 필시 상제신이 노하여 심안(心眼)을 가린것이 분명하다 며 한동안 눈을 감고 주문을 외더니 재차 도전했다. 그러나 상제신도 바둑을 두려면 기초부터 알아야 할 것이다. 상제신의 도움을 받은(?) 도사는 결국 아홉점까지 접히고 말았다.  - 도사의 스승 박도인 복수를 위해 출현. 그러나 역시 박살. 김태현 3단이 가소로운 도사를 바둑으로 박살낸지 얼마후, 박살난 강도사의 스승인 박도사가 김태현 3단을 찾아왔다. 그리고는 '지난번 내 제자인 강도인이 아홉점으로도 졌다고 하니 어찌 이럴수가 있단 말이오. 오늘은 내가 직접 시험하러 일부러 산에서 내려왔소'하고 인사를 하는 것이었다.  김태현 3단은 가소로움을 넘어 귀찮은 생각까지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정중하게 대국을 청하는 상대를 기원주인으로서 야박하게 거절할 수는 없는 일. 대국을 시작했지만 전처럼 처음부터 호선으로 시작하지 않고 박도사는 7점을 깔게 했다.  '강씨의 바둑실력은 9급정도이고, 선생께선 두점 강하시다니 일곱점부터 두어봅시다' 라고 청했고 스승 도사는 불만스러웠으나 일곱점을 놓고 대국을 시작했다.  하지만 바둑은 도를 닦는 것이 아니니 어찌하랴. 박도사는 일곱점에 두는 족족 박살이 나고 말았다. 그러나 엄청난 고수가 하수를 박살내는 것이 별로 유쾌하지만은 않은것, 김태현 3단은 바둑에 지고 넋이 나가 있는 박도사에게 친절하게 바둑을 복기해주며 바둑의 이론에 대해 설명을 해주었다.   '바둑이란 것은 포석, 정석, 행마란 것이 있으며 이곳은 이렇게 두는 것이 정석, 이 수는 이렇게 두는 것이 행마입니다'  그때서야 박도사는 머리를 끄덕이며  '나는 이제까지 계룡산이 세상의 전부인줄 알았는 데 세상은 참으로 넓소, 세상은 참으로 넓어, 헛세상 살았어.' 하며 서글픈 표정으로 떠나갔다.  [도사와 바둑고수와의 에피소드 : IDEA REVIEW] - 우물안 개구리의 공상은 세상을 바꾸지 못한다.  사건의 도사들이 즐겨찾는 상제신(上帝神)도 바둑을 잘 둘 수 없다. 아마 도사들이 했어야 할 일은 바둑이 아니라 세상살이의 길흉을 점치는 다소 모호한 예언분야가 적격이 아니었을 까 한다. 상제신이라면 다소 점(占)이나 예언이 모호하더라도 부족한 부분을 막아줄 든든한 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사들이 착각한 것은 바둑을 무슨 氣나 道로 인식했다는데에 있다. 바둑은 하루아침에 면벽수도하여 도로 깨우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실질적인 학습에 의해 실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한 귀퉁이의 정석도 결코 공짜로 얻어지는 것이 아닐것인데, 김태현 3단은 도사들과의 실전을 통해 그 현실을 깨우쳐 준 것이고, 도사들은 자신들이 바둑에서 박살이 난 다음에야 몽상에서 벗어나게 된 것이다. 즉 도사들은 바둑으로 도를 닦았다기 보다는 자신둘만의 주관적인 믿음을 계속해서 쌓아나간 것에 불과한 것이다.  도사들의 경우는 현실에서도 종종 나타난다. 즉 도사처럼 속세를 떠나 있는 것도 아니면서도 자신에게 유리한 결과나 현상만을 받아들여서 객관적인 진실을 보지 못하는 현상말이다. 왜 사람들은 에피소득의 도사들처럼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을 받아들여 공상을 확대할까. 이유는 간단하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편하고 즐겁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자신에 유리하거나 옳다고 믿어지는 것만을 보다보면 언젠가 객관적인 현실앞에서 서글픈 표정을 지을 날이 오게 될 것이다.   . 도사들과 김태현 선생의 이야기가 던져주는 메세지는 간단하다. 우물안 개구리의 공상에 빠지지 말것.  자신이 철썩같이 믿고 있는 믿음이 있는가?혹은 상상? 신앙이 아니라면, 그 믿음이 도사들과 같은 유리한 상황만을 학습한 공상인지 혹은 실질적인 꾸준한 학습에 의해 유지되는 것인지 마음에 손을 얹고 가끔씩은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다. 주어진 조건에서 유지되던 꿈과 믿음이, 실제 현실에서 산산 조각 날때의 서글픈 표정은 상상만 해도 정말 처량하지 않은가.
친구 페북에서 퍼옴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술 마시면 실수가 많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14 - -
29639 랭킹전 탈퇴합니다~ [1] 큰곰유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204 1
29638 주문하신 이소룡짤 나왔습니다.gif [6] 무투님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633 7
29637 지나가다님 덕분에 젠 받았는데 [1] 무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328 0
29636 바둑리그 해설자 다섯 명이 리그전 한다면? [8] ㅇㅇ(58.75) 14.11.24 694 0
29635 이창호는 노력 끝에 나온 천재. 조훈현은 진정한 천재. [8] ㅇㅇ(112.157) 14.11.24 554 0
29634 11/28~12/2 올레배 최강-신예 기기열전 [6] 삼연성(14.39) 14.11.24 306 2
29633 바둑이론님 오늘 랭킹전 어려울것같습니다 [4] rndtkd(223.62) 14.11.24 577 0
29632 젠 사범님이나 은성위기 사범님 어디서 구하시나요? [1] 무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458 0
29631 5단 사활문제 해답 [4] 출제자(119.65) 14.11.24 539 3
29630 일본 기전에서 나온 괴초식 [3] .(14.39) 14.11.24 576 1
29629 Ragradia님 방금 댓글 봤습니다 [3] 망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143 0
29628 5단 사활문제 [4] ㅇㅇ(119.65) 14.11.24 269 0
29626 장장 404수끝 혈투끝에 승리했네요 ㅎㅎ [7] 4급초보(125.180) 14.11.24 586 0
29625 이런 바둑 TV 프로그램이 있다면 재밌을것 같네요 [2] 망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197 0
29624 신의 바둑 [7] 돌바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543 2
29623 내달부터 유투브서 SBS 방송 못 본다 (바둑TV는?) [2] .(14.39) 14.11.24 352 0
29620 바둑이 생각 싸움인 만큼 중계를 할 때 [4] 진신두(223.62) 14.11.24 202 0
29619 오로돈은 시세가 어떻게 되오? ㅇㅁ(162.157) 14.11.24 123 0
29618 갑조리그 21Round 이동훈 ㅇㅇ(119.65) 14.11.24 157 2
29616 바둑 행마 용어 그림으로 정리중인데 뭐가 더 있나요 [11] 초보(218.48) 14.11.24 259 0
29615 이 분위기에서 미인아의 타이젬 대화를 인용해본다. [14] ㅇㅇ(175.206) 14.11.24 1000 4
29614 바둑 초보자입니다. 한수 두어주실분 계십니까??? [3] 치우대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707 0
29613 좀 독특한 행마을 공부하고싶습니다 [3] 바둑왕(121.152) 14.11.24 220 0
29612 오프바둑 힘드네 [1] 나1단이야(175.223) 14.11.24 150 0
29611 조훈현 젊은시절 잘생긴거 보소 [1] ㅣㅏㅓㄴ(75.80) 14.11.24 403 0
29610 수지로 추정되는 사람의 기보 [6] 소인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414 3
29609 바둑이론님 오늘 랭킹전 10:30분 맞죠? [1] rndtkd(125.142) 14.11.24 339 0
29608 아 억울?합니다 이바둑을 지네요 ㅎㅎ [9] 초보(218.48) 14.11.24 324 0
29607 꼭 바둑 실력 갖고 허세 떨어야 하나 모르겠다 [7] ㅇㅇ(218.155) 14.11.24 584 10
29606 기사들 상향 평준화 논쟁이 있었네요 [6] 아리야(121.164) 14.11.24 399 3
29605 맞끊는거랑 맞젖히는거 대응 정리된거 없을까요? [5] 초보(218.48) 14.11.24 199 0
29604 흠...이 하는 말을 귀담아 들을 가치가 없는 이유2 [4] 아마강자(175.223) 14.11.24 284 0
29603 흠...이 하는말을 귀담아 들을 가치가 없는 이유 [2] 아마강자(110.70) 14.11.24 235 0
29602 [랭킹표 업데이트.] [7] 라오스향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288 0
29601 최근 중계를 보면서 재밌었던 장면(바둑이 세지려면) [3] ㄴㅇㅇㄴ(218.234) 14.11.24 372 0
29598 근데 프로기사가 일베하든 오유하든 [15] 나1단이야(39.7) 14.11.24 374 1
29597 수지 vs 원술랑 [1] 나1단이야(39.7) 14.11.24 236 0
29595 일베하는 프로가 누구냐? [4] ㅅㅅ(39.7) 14.11.24 313 0
29594 초보 단기간 기력 상승비법! [1] 낚시왕바둑이(61.141) 14.11.24 212 0
29593 오프에서 둘때요 [7] dd(180.71) 14.11.24 221 0
29592 젠이랑 한 6달두다가 다시 인터넷바둑 시작했는데 기력이 ㅎㄷㄷ [10] ㅇㅇ(110.70) 14.11.24 795 1
29591 잘두는사람 바갤에 많다 [11] dd(117.53) 14.11.24 722 0
자뻑은 자유. 허나 드러내는 순간 비웃음을 당하지. [6] 털없는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782 6
29589 수지님 저와 한수 하실래요? [2] dm(106.185) 14.11.24 301 0
29586 [랭킹전 도전] 큰곰유니님께 [3] 라오스향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1.24 105 0
29584 여기 최강자가 누구냐? 도전신청한다 [7] ㅇㅇ(223.62) 14.11.24 285 0
29583 여기 있는 수지는 [1] 나1단이야(121.180) 14.11.24 162 0
29582 판팅위는 좀 중2병 느낌은 들지만.. [4] 흠...(218.235) 14.11.24 370 2
29581 인공지능 떡밥이라 궁금한게있는데 9줄바둑에서는 [2] ㅇㅇ(223.62) 14.11.24 338 0
29580 박정상은 프로기사들 끝내기 실력을 높이 평가하지만... [14] 흠...(218.235) 14.11.24 691 0
뉴스 “돌아갈 곳 없어졌다”…추성훈, 日서 안타까운 소식 전했다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