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지] 입문자 및 바둑뉴비들을 위한 바둑의 룰과 규칙

Godzn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4.12.01 23:47:11
조회 203961 추천 653 댓글 125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d854af3ac4c24eea9864bd40f7441101e143a81998c5b19c5978a067a

안녕? 난 디시 바둑갤에서 Godzney라는 닉을 쓰고 있고 타이젬에서 cksgh91033이라는 닉을 쓰는 바갤러야.

요새 바둑관련 영화도 몇 편 개봉되고 드라마도 나오면서 바둑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어났지만 배우기는 쉽지않지.

이 글에서는 바둑을 둘 때의 룰과 규칙에 대한 내용을 쓸것이고, 다 읽고 나면 룰에 대해선 완벽히 알 수 있을거야.

태클은 환영이고, 반말 및 대화체는 양해부탁바래.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5817272c77fd02018f446fa8d438d8f37c03776f23bdf6a6e9c7d222eb8d00266c7c4a92052581d8633285354

<바둑의 룰>

흑이 먼저 둔 이후 한수씩 교차로 착수하며, 양 대국자가 더이상 둘곳이 없다고 판단되면 종국한다.

종국후 집이 많은 쪽이 승리한다.

 

룰을 읽어도 잘 감이 안올거야.

차차 익히도록 하고, 우선 위 사진을 보자.

이름은 바둑판이지만, 현실은 오목이나 알까기에 더 자주 사용되곤 하지.

가로19줄, 세로19줄로 총 361개의 교차점으로 이루어져있고, 돌은 이곳에 두어야해.

바둑판에 관한 용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c52d229ca4ade8c2dc61fd9

위의 사진을 보면 어느 정도 감이 올거야.

바둑판은 사각형이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은 귀, 변쪽은 변, 나머지 가운데 부분을 중앙이라고 해.

가령 우하귀, 좌변, 상중앙 뭐 이런식으로 부르지.

그리고 바둑판을 보면 굵은 점이 9개 보이지? 이것을 '화점'이라고 해.

특히 한가운데에 있는 화점은 천원이라고 부르기도 하지.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954d274c84bd0817d8648c6

아까전의 룰에 관한 설명에서, '집'이라는 용어가 나왔는데 이 그림을 보면 이해가 갈거야.

집이라는 것은 돌이 둘러싸고 있는 공간의 교차점의 갯수를 의미하지.

위 사진에서 A, B, C 모두 9집임을 알 수 있지.

특히 주목해야 할점은 B, C인데, 모서리쪽엔 돌이 놓여있지 않아도 집이 된다는 점이야.

다음 사진을 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e07d3749c1cd4b5f5d93752

이 사진에서 집계산을 해서 승자를 한번 가려보자.

흑은 A64집+D81집=145집

백은 B72집+C72집=144집

 

이래서 1집 차로 흑승?? 사실 그렇지 않아.

흑은 먼저 두기때문에 그만큼 유리하므로 이건 공정하지 않아.

늦게 두는 백은 6.5집의 보너스를 갖고 시작하지.

따라서 이 바둑은 백승이야.

0.5집은 원래 나올 수 없지만 무승부를 방지하기위해 존재해.

이 6.5집을 덤, 혹은 공제라고 해.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5817272c77fd02018f446fa8d438d8f37c03776f23bdf6a6e9c7d222eb8d05236c792a5335b7118a2bceafefc7dd6335d824bb0253eaf231b53fbe323b7

바둑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룰을 익혔으니 세부적인 룰을 알아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808832fc01b85b2ef0c0375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f53837dcd1ad15a867623d8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a01822ac81fd21fc245d31c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b02d629cc4cd7094701a03d

바둑을 모르는 사람도 상대돌을 둘러싸면 잡을 수 있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지.

왼쪽 사진을 보면 흑이 한 수만 더 둔다면 오른쪽 사진처럼 백 한점을 따낼 수 있겠지?

이때 흑은 백한점을 들어내 갖고 있다가 종국후 백집에 채워넣을 수 있어.

즉 상대돌을 하나 잡으면 기본적으로 두 집의 이득을 보는 셈이지.

 

3번째 사진을 보면 1번째 사진과 마찬가지로 흑이 한번만 더 두면 백을 따내게 되지?

한번만 더 두면 상대돌을 따낼 수 있도록 만드는 수를 '단수'라고 해.

단수를 당했을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아래 사진을 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d01d929c11982f6206b0acb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801842a9a1dd0f1e1248c5d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902d22fc11c817558a226d1

1번째 사진을 보면 백돌들이 단수되어 있어.

A, B, C의 곳을 흑이 둔다면 두번째 사진처럼 따내지게 되고 흑이 큰 이득을 보겠지?

따라서 백은 세번째 사진처럼 두어서 탈출한다면 흑은 백을 잡지 못하게 되지.

바둑은 흑백이 한수씩만 둘 수 있기때문에 상대돌을 잡기란 쉽지않아.

그런데 다음 사진을 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b55d57f9948d016b31b6ac6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9098478cd1ad00d12c635d5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a05d0759c1bd3a37a3ea7a1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c55d728ce4cd1ec105ce114

1번째 사진에서는 흑4점이 서로 떨어져있기 때문에 2번째 사진처럼 각각 따내어졌어.

하지만 3번째 사진에서처럼 A, B, C를 이용해 연결하자 4번째 사진처럼 한꺼번에 따내야만 하게 되었지?

이처럼 돌들을 이어나가면 서로서로 연결이 가능해.

그런데 세번째 사진에서 B의 돌이 없다면 연결이 되지 않아.

즉, 바둑에서는 대각선으로는 연결이 안된다는 것이지.

아래 사진을 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905847cc91dd63f753f5f09

위의 사진에서 돌들이 연결된 것은 어떤것일까?

D를 제외하면 나머지 A, B, C는 돌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돌이 연결되면 따내기위해 많은 돌이 필요하고, 따라서 상대가 공격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을거야.

아래 사진을 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c03d0289e1e82dd289e336b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f51832dc81b84f5cef3b31a

왼쪽 사진에는 단수되어있는 흑돌이 있어.

살리기 위해서는 알파벳에 흑돌을 놓아야겠지?

흑돌을 서로 연결하는순간 수수가 아주 많아져서 더이상 잡힐 돌이 아니게 돼.

오히려 제대로 연결되어있지 않은 백돌들이 약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연결은 돌들을 강하게 해준다는 점을 잘 기억해두도록 하자.

다음은 따냄에 관한 다른 룰을 설명할게.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f02877bcb4d85558035c567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e03d87ac01f8124887fda87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806d078ce19deb3d5b85247

1번째 사진에서 백은 A에 둘 수 있을까 없을까?

두자마자 따내지는 곳은 둘 수 없어.

이른바 '금지수'지.

 

하지만 2번째 사진은 상황이 조금 달라.

A자리에 백이 두는 순간 흑돌을 따낼 수 있지?

금지수지만 두었을때 상대의 돌을 따낼 수 있을때에는 둘 수 있어.

 

그런데 이렇게 서로 돌을 하나씩 따내면 바둑은 언제 끝나지?하는 의문이 들꺼야.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위해 2번째 사진과 같은 상황에서 백이 내 돌을 따낸 후에는

흑이 바로 상대의 백돌을 따낼 수 없고, 다른 곳에 일단 둔 후에 다음 내 차례가 되면 따낼 수 있어.

이것을 '패'라고 해.

 

다만 이것은 한점씩 따낼때만 통용되는 말이고 아래의 상황은 조금 달라.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402d17e9b4c85f4af4e1832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900847fca4b85e4c438f2ee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500802dc048d60909504076

1번째 사진에서 단수된 백돌 2점을 흑이 따내서 2번째 사진이 되었어.

하지만 이것은 서로 한점씩 따내는 패가 아니기 때문에 3번째 사진처럼 백이 바로 다시 따낼 수 있어.

서로 하나씩 따내는 상황이 아니라면 패가 아니므로 착각하지 않도록 하자.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5817272c77fd02018f446fa8d438d8f37c03776f23bdf6a6e9c7d222eb8d0023dc6c5a3f4219a7b00d2a8609845c046c9cff59b8c5c753a94b4ad0f76f8f45e40f2c087

다 끝난줄 알았지?

아직 조금 남았어. 인내심을 가지고 끝까지 익혀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8018778c81ad5f030b87558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e54d47acd18d6fca7047092

방금 전에 설명한 룰에 따라 A자리는 금지수지만 백이 두어서 흑을 따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을거야.

따라서 왼쪽 사진에서의 흑돌은 아직 따내지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죽은돌이지.

그런데 아래 사진을 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e56d2799d4ad5a410ea4c72

이 사진에서의 흑돌이 뭐가 다른지 이해할 수 있겠지?

백은 A와 B를 동시에 둘 수가 없기때문에 이 흑돌은 완전히 살아있어.

여기서 아주 중요한 바둑의 원리를 깨달을 수 있지.

돌이 완전한 삶을 확보하기 위해선 최소한 2집이 필요하다는 점이야.

 

다만 아래의 상황은 조심해야해.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e54d92fc81bdeddf397be26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801d52ecd1cd35f246147c8

왼쪽 사진의 흑돌은 2집을 확보하고 있지? 따라서 살아있을까?

그렇지 않아.

오른쪽 사진처럼 백이 A자리에 둔다면 단수가 되는데, 흑은 따내는순간 1집이 되지?

따라서 이도저도 못하게 돼.

여기서 돌의 삶에 대한 또 하나의 원리가 도출돼.

돌이 완전히 삶을 확보하기 위해선 최소한 따로 떨어진 2집이 필요하다는 것!

꼭 기억해두도록 하자.

아직 삶이 갖춰지지 않았다면 '미생', 있다면 '완생'이라고 해.

 

최근 미생이라는 드라마가 유행인데 미생인 돌이 완생이 되기 위해선 따로 떨어진 2집이 필요한 셈이야.

떨어진 2집만 갖추게 되면 이 돌은 상대가 어떠한 수를 두어와도 결코 죽지않아.

 

지금까지의 내용을 잘 숙지했다면 아래 사진에서 어디를 두어야할지 알 수 있어.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906d57bcf1bd3c60dc2702a

A자리에 두게 되면 떨어진 두 돌이 연결이 되면서 돌 전체가 갖춘 집이 2집이 되면서 완생이 돼.

이게 이해가 된다면 지금까지 써내려온 모든 내용을 잘 이해한 셈이야.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5817272c77fd02018f446fa8d438d8f37c03776f23bdf6a6e9c7d222eb8d0563695c0a2411e68997375e90da7b9b6e7fa59093d9da165a123c200a2803f

그런데 드디어 끝난줄 알았더니 아직도 설명할게 남았어..

도대체 이게 게임인지 공부인지 알 도리가 없어.

하지만 끝까지 집중해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e53d075ce1c82e401b65e4a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b56d47cc918d173c3e26c40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f54802fcc4fd5eb69dedcad

위의 세 사진을 보자.

1번째 사진에서 흑이 9집을 확보하고 있었는데, 2번째 사진에서 백이 한가운데에 착점했어.

세번째 사진처럼 흑이 네 수를 들여서 백 한점을 따냈다고 생각해보자.

처음에는 9집이었는데 3번째 사진처럼 되고보니 따낸 한점을 포함해도 6집밖에 되지않아.

 

으잉? 백은 한점잡히고도 이득이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사석'의 룰이 존재해.

즉, 완전히 죽었다고 서로가 인정하는 돌은 굳이 따낼 필요없이 종국후 들어낸다는 점이야.

 

아래의 사진을 보자.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e00d578cc1f85a30d400b4c

바둑이 끝난 장면이야.

A~F에는 모두 사석이 있어.

A에는 커다란 흑집 안에 백돌 3점이 있지?

B에는 흑돌이 2점, C에도 2점, 이런 식으로 각각의 집마다 사석이 있지?

 

이런 돌은 따낼 필요가 없고 종국후 그냥 들어내면 돼.

따낸 돌과 똑같은 취급을 하기때문에 이 돌로 상대의 집을 메울 수 있어.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5817272c77fd02018f446fa8d438d8f37c03776f23bdf6a6e9c7d222eb8d00f369ac1a28d1c67cebf8f22e195567878eb2717

여기까지 왔다면 바둑의 모든 룰은 다 배운셈이야. 정말 축하해!

하지만 막상 룰과 규칙을 모두 배웠어도 바둑판 앞에서는 한 수도 두기 어려울거야.

따라서 아주 기본적인 이론만 설명해줄게.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bc01842aca488398146dfc81

위의 사진을 보면 A, B, C의 한 집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돌이 몇 개인지 알 수 있어.

귀는 2점, 변은 3점, 중앙은 4점의 돌이 쓰이고 있지?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집짓는 것에는 귀가 가장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따라서 아래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진행을 예상해 볼 수 있지.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277a16fb3dab004c86b6fbdfe40db5e1cba5cfe854af3ac4c24ee6b29143c5aa1c826e8e507d17dcb4d84799bca793e

흑1~백4까지는 집짓기가 가장 유리한 귀를 흑백이 서로 선점했어.

흑5~백8까지는 그다음으로 집짓기에 유리한 변을 서로가 차지했지?

마지막으로 흑9를 두어 우변과 우중앙을 아우르는 큰 집모양을 만드려고 하고 있어.

이렇게 초반에 집모양의 뼈대를 만들어가는 것을 '포석'이라고 하지.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5817272c77fd02018f446fa8d438d8f37c03776f23bdf6a6e9c7d222eb8d054339a91a174f25a066d6b7df3ba096ffa4cbb98101dad17b0a96eff66c716

정말 수고했어.

이로써 바둑의 모든 룰을 완전하게 습득한 셈이야.

여기까지 읽었다면 바둑이 지나치게 어려워서 재미없다고 생각하기 쉬워.

하지만 게임의 특성상 입문장벽이 지나치게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후는 오히려 순탄한 편이야.

바둑이라는 게임은 알면 알수록 그 재미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처음만 조금 고생하면 크게 재미를 느낄 수 있을거야.

 

입문 이후의 공부법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설명할 예정이야.

모두 즐갤, 즐바둑하길 바래!

 

추천 비추천

653

고정닉 33

53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입문자 및 바둑뉴비들을 위한 바둑의 룰과 규칙 [125] Godzn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2.01 203961 653
공지 바둑 갤러리 이용 안내 [107] 운영자 05.07.29 81221 42
945299 탄샤오는 어느정도선수임? 신진서한테 한판이라도이겨봄? 바갤러(220.87) 11:56 9 0
945298 김은지 포석깐 급따리 75% 바갤러(175.208) 11:45 29 1
945297 한국기원 공직자 공인들 지금 다들 안동에 간거냐? ㅇㅇ(121.162) 11:33 20 1
945296 신진서 인공 연구방법 아시는분? [1] 바갤러(58.225) 11:31 41 0
945295 김은지 포석가지고 또저러네 [1] 바갤러(58.225) 11:30 49 0
945294 김은지, 포석에서 또 방향착오. [2] 7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8 52 0
945293 김은지는 또 실리 뺏기고 시작하네. [3] 7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6 56 0
945292 신진서 요즘 개빠졌네 바갤러(58.225) 11:25 39 0
945291 신진서도 좀 쉬자. 7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4 34 1
945289 을조리그 바둑 보는 이유 ㅇㅇ(125.176) 11:15 87 2
945288 조혜연9단 여바리 개막식 불참 선언 ㄷㄷ [9] ㅇㅇ(110.70) 11:05 132 4
945287 오늘 최정 상대 구이쓰윈(桂诗云)은 그래도 프로기사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2 46 0
945285 김은지 컴이 좋을까? 스미레 컴이 좋을까? 아직도 컴 사양으로 실력 향상 바갤러(116.127) 10:44 44 1
945284 최정 을조리그 양학방송 그만해야됨 [1] 바갤러(175.208) 10:15 109 9
945283 우리가 몰랐던 의외의 사실 ㅇㅇ(118.235) 10:15 84 0
945282 뻔뻔스런 열 명의 왕을 잡아라! [1] 별수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8 62 2
945281 타이젬 매칭 뒤지게 안잡히네ㅉ [1] 바갤러(58.225) 08:47 76 3
945280 한종진 회장 생일 케이크 준 한귀 공인 '허크' 맞냐?? [5] ㅇㅇ(223.38) 07:32 168 5
945279 바갤 보면서 느끼는건 남의 인생에 관심이 무쟈 많다는것 [7] 바갤러(223.38) 06:54 131 5
945276 카시오 흑새치 우레탄 [1] xdxd33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5 123 2
945274 ★오예 내일 바둑TV 일정표 을조리그에서 바꼈다 [3] ㅇㅇ(58.227) 02:19 278 14
945273 아직도 최정 타령이라니 바갤러(121.169) 02:14 96 2
945272 타피셜) 최정 통산승률 69% , 누적상금 약 29억 ㅇㅇ(110.70) 01:34 140 0
945271 최정 김은지 남녀 상대 성적. [1] 바갤러(58.29) 01:30 132 5
945270 80년대 바둑 기사들은 맞으면서 했다던데 [1] 바갤러(58.225) 01:29 129 0
945269 이거 누가 이긴거임? [4] 바갤러(58.225) 01:28 123 0
945268 오늘 김은지가 조한승 이길 수 있을까? [2] ㅇㅇ(110.70) 01:28 112 0
945267 한게임바둑 정회원 하는 사람 있음? [1] 바갤러(124.61) 01:27 60 0
945264 최정이 연애하는지 아닌지 알수있는 방법 바갤러(112.185) 00:23 205 5
945263 타이젬 4단 정도면 [2] 바갤러(138.199) 06.02 137 0
945262 이 시간까지 바갤하는 닝겐들 [3] 바갤러(175.195) 06.02 114 3
945261 진지하게 내가아는 노숙자 할배가 신진서 이김 바갤러(58.225) 06.02 94 2
945260 내일 신진서vs탄샤오 박정환vs천야오예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29 0
945259 설현준이 송송박박 누구 대타야? [1] ㅇㅇ(118.235) 06.02 183 0
945257 구라 아니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15 0
945256 최정 설현준 진짜냐? [3] 바갤러(175.195) 06.02 353 3
945255 하나은행배 선수들이 하나은행 유니폼 입긴 하지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69 0
945254 바둑춘향대회 복장에 문제 있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92 1
945253 29살 여자가 26살 남자 만족시키기 힘들 수도 바갤러(118.235) 06.02 194 0
945252 바둑둘사람 없나여 [1] 바갤러(1.240) 06.02 67 1
945251 최정이랑 설현준 사귀는 듯 [2] ㅇㅇ(110.70) 06.02 446 13
945250 춘향바둑대회 프로부문 우승상금 천만원 ㄷㄷㄷ [3] 7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49 4
945249 근데 김은지 요즘 컨디션 안좋나? [1] ㅇㅇ(220.65) 06.02 153 3
945248 6월 초 일정 대강 소개 [13] 바갤러(175.195) 06.02 349 10
945247 대은지, 내일 백암배에서 통산 300승 도전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41 7
945246 타이젬 채널에 김성룡 한번 언급했다가 차단당했다 [8]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352 6
945244 남자 을조리그 한국선수 결과 [1] 바친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243 7
945243 6.2중국리그 [3] squea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2 191 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