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락안받음)
아무쪼록 여러분, 우유입니다.
이번엔 마지막 1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구축 기사를 씁니다

■ 구성 경위 (길기 때문에 관심 없는 사람은 넘어가도 좋다)
레귤레이션G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경에 많이 등장하는 초전설과 그 주변 포켓몬들과 안정적으로 싸울 수 있는가"라고 생각했기에,
이 점을 출발점으로 팀 구성 사고를 시작했다.
환경 상위 초전설들과 기분 좋게 싸울 수 있는 구성을 고민했을 때, 대부분의 팀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약점은 다음과 같다고 느꼈다.
페어리일관성을 끊던 불꽃 오거폰이 약해졌고, 그로 인해 페어리 기술의 일관성이 생기는 팀이 많아졌다. 그래서 페어리 기술을 가장 강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켓몬인 날개치는머리를 시작점으로 팀을 짰다.
날개치는머리를 가장 강하게 보조할 수 있는 초전설로는 코라이돈이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1. 특성 '진홍빛고동'으로 날개치는머리의 특수공격을 서포트할 수 있음
2. 고화력 물리 + 고화력 특수의 조합 → 어중간한 수비 포켓몬에게 강함
3. 날개치는머리가 약한 강철 타입 포켓몬에 강하게 대응 가능
위의 시너지 덕분에 초전설 슬롯은 코라이돈으로 확정했다.
공개된 코라이돈 × 날개치는머리 구축 중에서 가장 완성도가 높다고 생각된 S19 우왓키 구성을 참고했다. 그래서 일단 코라이돈 날개치는머리 어써러셔 다투곰의 4마리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나머지 두 자리는 임의로 채워 랭크배틀을 돌려봤다. 사용해 본 결과, 어써러셔는 사용감이 좋았지만, 기합의띠 다투곰은 여러 문제가 발견되었다.
-
스텔스록 + 구애안경 흑마버드렉스의 사이코키네시스에 취약
-
이 구축의 코라이돈은 테라스탈하지 않은 미라이돈 상대로 불리하기 때문에 첫턴엔 땅타입으로의 교체가 강제되는데, 다투곰은 미라이돈으로 후내밀기가 불가능하다.
-
기합의띠와 유턴의 궁합이 나쁘다. 다투곰은 코라이돈의 유턴으로 나가면서 기띠가 깨지는 경우가 많음
-
코라이돈 날개치는머리 어써러셔 다투곰의 4마리를 보고나면 상대가 스케일샷 코라이돈일 가능성을 무시해버린다.
이러한 이유로 다투곰 대신 스텔스록 딩루를 채택했다. 딩루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스텔스록 + 초고화력 페어리/불꽃 조합 → 사이클 붕괴력이 탁월
2. 코라이돈과 날개치는머리의 압도적 전투력에 방해되는 기합의띠, 멀티스케일, 테라쉘에 강함
3. 미라이돈, 흑마버드렉스 상대로도 유리
4. 코라이돈의 유턴과 스텔스록의 시너지가 뛰어남
앞의 4마리 구성만으로는 다음과 같은 약점이 존재했다.
1. 상태 이상 내성 부족
2. 킬라플로르가 너무 무거움
3. 지진의 일관성에 약함
4. 먹다남은음식 + 방어 백마 버드렉스에게 절대 이길 수 없음
5. 수비형 포켓몬 붕괴 수단 부족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글라이온과 생명의구슬 + 전기 테라스탈 파오젠을 추가했다.
이렇게 팀이 완성되었다.
코라이돈@돌격조끼
테라스탈 타입: 불꽃
특성: 진홍빛고동
성격: 고집
실수치: 201(204)-198(196)-136(4)-94-122(12)-167(92)
플레어드라이브/니트로차지/드레인펀치/유턴
비정상 스펙 초전설
코라이돈은 초고화력 플레어드라이브와 비정상적인 화력의 니트로차지 덕분에, 대면 성능과 붕괴 성능을 모두 높은 수준으로 갖춘 포켓몬이다.
여기에 유턴과 드레인펀치까지 있어 사이클도 뛰어나, 이런저런 면에서 밸런스가 무너진 느낌의 초전설이다.
일반적으로 코라이돈은 테라스탈을 사용하지 않으면, 원래 타입의 방어상성문제나 불꽃타입기술에 자속보정 미적용 등으로 인해 전투력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번 팀은 날개치는머리, 딩루, 어써러셔 전부 테라스탈을 사용하지 않아도 강력한 포켓몬으로 구성되었기에, 코라이돈에게 마음껏 불꽃 테라스탈을 투자해도 전혀 부담이 없는 환경을 만들 수 있었다. 이로써 불꽃 테라스탈 플레어드라이브의 초화력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 현 환경 최강 초전설 중 하나인 흑마 버드렉스에 대해서도 높은 대응력을 보인다.
「불꽃 테라스탈 + 플레어드라이브로 대부분의 기합의띠가 없는 흑마 버드렉스를 한방컷 낼 수 있다.」
「구애스카프 아스트랄비트도 2번까지는 버티는 조정으로, 구애스카프형 흑마 버드렉스에도 강하다.」
「구애안경형 흑마 버드렉스에 대해서는 날개치는머리가 날씨 덕분에 선공이 가능하다. 」
「흑마 버드렉스의 주요 공격 타입들(고스트, 에스퍼, 페어리, 풀, 격투, 물)을 코라이돈의 원래 타입 + 불꽃 테라스탈 + 날개치는머리 딩루 조합으로 전부 커버할 수 있다.」
단순히 코라이돈 혼자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팀 전체가 함께 흑마 버드렉스를 제어하는 구조다.
코라이돈은 종종 과소평가되는 초전설이지만, 특성과 테라스탈 타입, 팀 시너지를 충분히 고려한 구성이라면,
그 넘사벽 스펙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는 구축을 만들 수 있다.
하바타쿠카미@구애안경
테라스탈 타입: 페어리
특성: 고대활성
성격: 겁쟁이
실수치: 149(148)-67-93(140)-176(164)-156(4)-178(52)
문포스/섀도볼/드레인키스/멸망의노래
- HB: 무보정 어써러셔의 헤비봄버 확정버팀
구애머리띠 망나뇽의 풀보정 지진 확정버팀
명랑 랜드로스의 비행 테라버스트 87.5% 버팀
고집 파오젠의 악테라 기습 6.25% 제외 버팀
명랑 우라오스의 수류연타 0.68% 제외 버팀
A175 핫삼의 불릿펀치 12.5% 버팀 구성 경위 (길기 때문에 관심 없는 사람은 넘어가도 좋다)
레귤레이션G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경에 많이 등장하는 초전설과 그 주변 포켓몬들과 안정적으로 싸울 수 있는가"라고 생각했기에,
이 점을 출발점으로 팀 구성 사고를 시작했다.
환경 상위 초전설들과 기분 좋게 싸울 수 있는 구성을 고민했을 때, 대부분의 팀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약점은 다음과 같다고 느꼈다.
페어리일관성을 끊던 불꽃 오거폰이 약해졌고, 그로 인해 페어리 기술의 일관성이 생기는 팀이 많아졌다. 그래서 페어리 기술을 가장 강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켓몬인 날개치는머리를 시작점으로 팀을 짰다.
날개치는머리를 가장 강하게 보조할 수 있는 초전설로는 코라이돈이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1. 특성 '진홍빛고동'으로 날개치는머리의 특수공격을 서포트할 수 있음
2. 고화력 물리 + 고화력 특수의 조합 → 어중간한 수비 포켓몬에게 강함
3. 날개치는머리가 약한 강철 타입 포켓몬에 강하게 대응 가능
위의 시너지 덕분에 초전설 슬롯은 코라이돈으로 확정했다.
공개된 코라이돈 × 날개치는머리 구축 중에서 가장 완성도가 높다고 생각된 S19 우왓키 구성을 참고했다. 그래서 일단 코라이돈 날개치는머리 어써러셔 다투곰의 4마리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나머지 두 자리는 임의로 채워 랭크배틀을 돌려봤다. 사용해 본 결과, 어써러셔는 사용감이 좋았지만, 기합의띠 다투곰은 여러 문제가 발견되었다.
스텔스록 + 구애안경 흑마버드렉스의 사이코키네시스에 취약
이 구축의 코라이돈은 테라스탈하지 않은 미라이돈 상대로 불리하기 때문에 첫턴엔 땅타입으로의 교체가 강제되는데, 다투곰은 미라이돈으로 후내밀기가 불가능하다.
기합의띠와 유턴의 궁합이 나쁘다. 다투곰은 코라이돈의 유턴으로 나가면서 기띠가 깨지는 경우가 많음
코라이돈 날개치는머리 어써러셔 다투곰의 4마리를 보고나면 상대가 스케일샷 코라이돈일 가능성을 무시해버린다.
이러한 이유로 다투곰 대신 스텔스록 딩루를 채택했다. 딩루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스텔스록 + 초고화력 페어리/불꽃 조합 → 사이클 붕괴력이 탁월
2. 코라이돈과 날개치는머리의 압도적 전투력에 방해되는 기합의띠, 멀티스케일, 테라쉘에 강함
3. 미라이돈, 흑마버드렉스 상대로도 유리
4. 코라이돈의 유턴과 스텔스록의 시너지가 뛰어남
앞의 4마리 구성만으로는 다음과 같은 약점이 존재했다.
1. 상태 이상 내성 부족
2. 킬라플로르가 너무 무거움
3. 지진의 일관성에 약함
4. 먹다남은음식 + 방어 백마 버드렉스에게 절대 이길 수 없음
5. 수비형 포켓몬 붕괴 수단 부족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글라이온과 생명의구슬 + 전기 테라스탈 파오젠을 추가했다.
이렇게 팀이 완성되었다.
코라이돈@돌격조끼
테라스탈 타입: 불꽃
특성: 진홍빛고동
성격: 고집
실수치: 201(204)-198(196)-136(4)-94-122(12)-167(92)
플레어드라이브/니트로차지/드레인펀치/유턴
비정상 스펙 초전설
코라이돈은 초고화력 플레어드라이브와 비정상적인 화력의 니트로차지 덕분에, 대면 성능과 붕괴 성능을 모두 높은 수준으로 갖춘 포켓몬이다.
여기에 유턴과 드레인펀치까지 있어 사이클도 뛰어나, 이런저런 면에서 밸런스가 무너진 느낌의 초전설이다.
일반적으로 코라이돈은 테라스탈을 사용하지 않으면, 원래 타입의 방어상성문제나 불꽃타입기술에 자속보정 미적용 등으로 인해 전투력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번 팀은 날개치는머리, 딩루, 어써러셔 전부 테라스탈을 사용하지 않아도 강력한 포켓몬으로 구성되었기에, 코라이돈에게 마음껏 불꽃 테라스탈을 투자해도 전혀 부담이 없는 환경을 만들 수 있었다. 이로써 불꽃 테라스탈 플레어드라이브의 초화력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 현 환경 최강 초전설 중 하나인 흑마 버드렉스에 대해서도 높은 대응력을 보인다.
「불꽃 테라스탈 + 플레어드라이브로 대부분의 기합의띠가 없는 흑마 버드렉스를 한방컷 낼 수 있다.」
「구애스카프 아스트랄비트도 2번까지는 버티는 조정으로, 구애스카프형 흑마 버드렉스에도 강하다.」
「구애안경형 흑마 버드렉스에 대해서는 날개치는머리가 날씨 덕분에 선공이 가능하다. 」
「흑마 버드렉스의 주요 공격 타입들(고스트, 에스퍼, 페어리, 풀, 격투, 물)을 코라이돈의 원래 타입 + 불꽃 테라스탈 + 날개치는머리 딩루 조합으로 전부 커버할 수 있다.」
단순히 코라이돈 혼자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팀 전체가 함께 흑마 버드렉스를 제어하는 구조다.
코라이돈은 종종 과소평가되는 초전설이지만, 특성과 테라스탈 타입, 팀 시너지를 충분히 고려한 구성이라면,
그 넘사벽 스펙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는 구축을 만들 수 있다.
날개치는머리@구애안경
테라스탈 타입: 페어리
특성: 고대활성
성격: 겁쟁이
실수치: 149(148)-67-93(140)-176(164)-156(4)-178(52)
문포스/섀도볼/드레인키스/멸망의노래
- HB: 무보정 어써러셔의 헤비봄버 확정버팀
구애머리띠 망나뇽의 풀보정 지진 확정버팀
명랑 랜드로스의 비행 테라버스트 87.5% 확률로 버팀
고집 파오젠의 악테라 기습 6.25% 제외 버팀
명랑 우라오스의 수류연타 0.68% 제외 버팀
A175 핫삼의 불릿펀치 12.5% 확률로 버팀
- HD: 풀보정 미라이돈의 라이트닝드라이브 14/16 버팀
- C: S > C 조건을 만족하면서 가능한 한 높게 조정
무보정 흑마 버드렉스를 스텔스록 + 페어리 테라스탈 문포스로 확정 처치
스텔스록 2회 + 구애안경 페어리 테라스탈 문포스로 무보정 미라이돈을 약간 여유롭게 처치 가능
- S: 쾌청 상태에서 +2 준속 망나뇽을 확실히 상회
(느린 구애스카프 미라이돈 의식)
패러독스의 신
날개치는머리는 타입, 종족값, 기술 어느 하나 빠짐없이 강력하지만, 특성인 ‘고대활성’은 쾌청 날씨나 부스트에너지를 지니지 않으면 발동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그러나 코라이돈과 함께 사용하면 이 제약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원래도 최강이었던 날개치는머리를 진정한 최강으로 끌어올릴 수 있게 되었다.
원안의 날개치는머리보다 S를 줄이고 B를 올린 조정인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최속 오거폰이 환경에 거의 존재하지 않음
- S 고대활성 날개치는머리는 과도한 스피드가 되기 쉬워서, 내구에 투자하면서 구애스카프 미라이돈만 상회하면 충분함
- 내구 라인을 끌어올림으로써 구애머리띠 망나뇽, 구애스카프 랜드로스, 어써러셔 등에 대해 안정성이 증가함
환경에 맞춰 디테일한 조정을 가미하는 것은 구성의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코라이돈과 함께 출전시킬 때는, 불꽃 또는 페어리 기술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의식하며 운용하였다. 테라스탈 타입은 붕괴능력 향상과 방어상성 변화 측면에서도 뛰어난 페어리.
어써러셔@먹다남은음식
테라스탈 타입: 불꽃
특성: 천진
성격: 장난꾸러기
실수치: 257(252)-120-176(196)-76-93(60)-55
웨이브태클/땅가르기/하품/방어
여러모로 말이 안 되는 메기
포켓몬 대전 최강 특성 중 하나인 천진을 가지면서, 우라오스의 구애머리띠 인파이트를 2번 견디는 물리내구와, 날개치는머리의 구애안경 페어리 테라스탈 문포스를 1번 버티는 특수 내구를 겸비. 거기에 더해 웨이브태클, 땅가르기, 하품 덕분에 붕괴 역할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누가 봐도 이건 술쳐먹다 만든 포켓몬이라는 느낌.
물리 초전설로 맹위를 떨치고 있는 코라이돈, 자시안, 백마 버드렉스를 주로 의식해 채용했지만, 그 외의 포켓몬들과의 대전에서도 '하품 + 천진 + 고내구'를 활용해 어써러셔의 선택이 역효과를 내는 경우가 거의 없었기에, 매우 사용감이 좋았다.
기술 구성은 하품, 방어는 확정이며, 범용 공격기로 강한 웨이브태클, 오만한 수비형 운영을 징벌할 수 있고, 역전 수단으로 최고의 성능을 가진 땅가르기의 어느 것도 뺄 수 없는 최강 기술 구성이다.
일격기는 기술 슬롯과 팀 구성 밸런스를 고려한 끝에 채용된 것이며, 뇌빼고 누르다가 자멸하는 일이 없도록 다짐함으로써, 다른 요소에서 승률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불리한 전개에서 역전할 확률을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는 최고의 기술이었다.
지금 내 개인적인 신념으로는, 포켓몬이라는 게임은 본질적으로 확률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멘탈을 흔들지 않고 절대적인 승률을 높이는 것이 승리를 추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테라스타입은 불꽃으로, 코라이돈과 날개치는머리 조합에 강하게 나가면서, 후반부에 증가한 자시안 + 버섯모 조합에도 강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딩루@자뭉열매
테라스탈 타입: 독
특성: 재앙의 그릇
성격: 장난꾸러기
실수치: 261(244)-131(4)-165(36)-67-127(212)-67(12)
지진/카타스트로피/날려버리기/스텔스록
- HB: 11n
명랑 파오젠의 고드름떨구기 두 번을 자뭉열매 포함 확정 버팀
- HD: 풀보정 미라이돈의 약점 테라버스트를 61.32% 확률로 버팀
- A : B4 파오젠을 지진 두 번으로 87.5% 확률로 잡을 수 있음
- S: 미러 의식
재앙의 사슴
비정상적인 내구력으로 스텔스록을 뿌리며, 재앙과 날려버리기를 통해 판을 흐트러뜨리는 운영은 전설 환경에서도 충분히 강력하다. 특히 현재 환경에서 대책이 반드시 필요한 초전설인 미라이돈과 흑마 버드렉스에 대해, 자속기를 맞고도 후속 행동을 비교적 자유롭게 할 수 있어, 경기 전개를 안정적으로 짤 수 있는 매우 강력한 포켓몬이었다.
형태나 조정 자체는 특별한 기교가 없지만, 이 형태와 본 팀의 궁합은 매우 뛰어났으며, 구체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 스텔스록이 코라이돈과 날개치는머리의 대면 성능과 압박력을 비약적으로 높여준다.
- 높은 내구력 덕분에 필드에 오래 머물 수 있어, 날씨인 '쾌청'의 턴 관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이처럼 코라이돈-날개치는머리 조합이 필요로 하는 요소들을 모두 만족하며, 사용감도 매우 좋았다.
또한 미라이돈을 상대할 때, 기본적으로 돌격조끼 미라이돈은 이 팀의 코라이돈보다 느리고, 이보다 빠른 미라이돈은 대부분 구애스카프를 들고 있기 때문에, 쾌청 + 불꽃 테라스탈 코라이돈 + 딩루 조합으로 기술의 일관성을 끊을 수 있었다. 이런 구조적인 강점을 살려 미라이돈을 사용하는 팀 상대로도 안정적으로 코라이돈과 날개치는머리를 운용할 수 있었다.
이 형태의 딩루는 기술 구성상 명확히 무력화되는 상황이 거의 없어, 항상 이후 전개를 염두에 두고 기술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딩루의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운영하였다.
테라스탈 타입은 페어리 반감, 독 면역을 동시에 만족시키며, 쾌청과 조합했을 때 물타입 우라오스의 기술 일관성도 끊을 수 있는 독으로 설정하였다.
글라이온@맹독구슬
테라스탈 타입: 강철
특성: 포이즌힐
성격: 장난꾸러기
실치: 179(228)-115-165(36)-58-126(244)-115
지진/맹독/방어/대타출동
존나 위험한 전갈
상태이상과 땅가르기를 무효화하면서, 상대가 빈틈을 보이는 단 한 턴으로 그대로 게임을 끝내는 앰창 포켓몬.
이 팀에서는, 팀 단위에서 무거운 킬라플로르에 매우 강하다는 점과, 지진 일관성을 끊을 수 있는 포켓몬 중에서도 성능이 뛰어나다는 점을 평가받아 채용되었다.
특히 킬라플로르 상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강점을 살려 높은 승률을 기록했다
- 지진으로 한방에 잡을 수 있다
- 대타출동 + 방어를 통해 TOD를 밀어붙일 수 있다
- 맹독, 독압정 무효
또한 백마 버드렉스 팀 상대로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어느 정도 강하게 나올 수 있어, 선택에서 밀릴 일이 적었다:
- 대타출동 + 방어으로 트릭룸 턴을 조절할 수 있다
- 트릭룸의 다투곰에 대해, 강철 테라스탈 글라이온이 내성이 생긴다
- 씨뿌리기 백마 버드렉스에 대해서도 맹독이 유효하게 작용한다
테라스탈 타입은 강철로 방어상성 변화 측면에서도 우수하며, 대타출동을 무력화하는 기술인 스케일샷, 하이퍼보이스, 고드름침, 씨기관총 등에 강하게 나올 수 있다.
파오젠@생명의구슬
테라스탈 타입: 전기
특성: 재앙의검
성격: 고집
실수치: 179(188)-189(252)-101(4)-99-86(4)-163(60)
고드름떨구기/테라버스트/기습/도발
- H: 10n-1
- A: 풀보정
- S: 준속 오거폰, 최속 따라큐 추월
- BD: 나머지
재앙의 표범
이 자리는 '붕괴 성능이 높을 것', '선출 화면에서 파오젠이 더 무거워지지 않을 것'을 고려해 시즌 내내 여러 포켓몬을 실험했던 자리였다.
(불꽃 오거폰, 물 오거폰, 위유이, 구애 머리띠 핫삼 등)
그 결과 최종적으로 선택된 것이 바로 이 생명의구슬 + 전기 테라스탈 파오젠이었다.
이 파오젠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높은 평가를 받아 채용되었다:
- 전기 테라스탈로 어써러셔를 포함한 막이루프를 무너뜨릴 수 있다
- 흑마 버드렉스 + 랜드로스의 조합에 대해 파오젠 대응을 강제로 요구할 수 있다
- 선출 화면에서 붕괴역인지 판단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기술 구성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선택되었다:
- 고드름떨구기, 테라버스트는 확정
- 빠른 속도로 마무리할 수 있는 고화력 선제기 ‘기습’
- 현재 환경에서 파오젠을 막으려는 물리 쿠션 대부분이 어써러셔라 칼춤이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붕괴능력을 유지하면서 기믹 계열에 강하게 나올 수 있는 ‘도발’
조정은 주로 막이루프에 내보내는 것을 상정하고, 스피드는 최대한 줄이고 그만큼 내구에 투자했다. 이 조정이 실제로 자주 효과를 발휘해, 거의 완벽에 가까운 조정이었다.
테라스탈 타입은 전기를 선택해 전기자석파 내성도 확보하고, 어써러셔를 중심으로 한 수비 조합을 무너뜨릴 수 있도록 설정했다.
구성의 핵심 요점
포켓몬 간의 조합 강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코라이돈X날개치는머리의 궁합, '쾌청 × 땅 타입'의 시너지, '스텔스록 × 코라이돈 X 날개치는머리'의 조합 등, 포켓몬 각각의 강한 성능과 팀 구성의 조화로 절대적인 구조적 강점을 만들어냈다.
최대한 승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세밀하게 조정
날개치는머리와 파오젠의 노력치 조정, 어써러셔의 땅가르기, 파오젠의 도발 등, 실제 대전 상황을 철저히 상정하여 세부적인 부분까지 신경 쓴 것이 절대적인 승률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확률 요소와의 타협이 아닌 직면
포켓몬 대전은 운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게임이다.
예를 들어 '돌격조끼 코라이돈이 전자파 날개치는머리의 병상첨병을 두 번 버틴다'
'핵심 축인 코라이돈X날개치는머리가 명중 안정 기술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글라이온으로 땅가르기 무효화 루트를 확보' 등의 판단을 통해,
운의 요소에 단순히 의존하거나 피하기보단 그것과 마주하면서 재현성과 승률의 총합을 최대화하려는 방향이 중요했다.
후기
드디어 두 번째 1위를 달성했다~!
지금까지 나는 일격기나 운빨 기술을 싫어했던 쪽이었지만, 레귤레이션C와 첫 번째 G 시즌에서 정말 말도 안 되게 참패하면서, 사고방식을 바꿔야겠다는 자각이 생겼다.
그래서 두 번째 G 시즌에서는 운의 요소와 마주하는 걸 의식하며 플레이했고, 그런 의미에서 이 1위는 정말 기쁘다.
두 시즌동안 4위 → 1위라는 결과는 단순히도 너무 안정적이고 강력하다고 느껴졌다.
레귤레이션 G는 지금도 여전히 일격기, 전자파가 난무하는 말 그대로 지옥 같은 환경이라 생각하지만, 그런 환경에서도 끝까지 마주하며 싸운 덕분에 확실히 성장할 수 있었다고 믿는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즌을 돌았던 건 정말 잘한 선택이었다.
S29는 최종일에 참여가 어려워서 쉬게 되지만, 다음 시즌인 S30 레귤레이션 I에서는 다시 꼭 정상에 도전할 것이다.
레귤레이션 I에서도 이길 수 있도록 노력은 아끼지 않고 전력을 다할 예정이니, 꼭 다시 한번 우승을 노려보겠다! 레귤 I도 이겨보자~!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