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개념글 리스트
1/3
- 이탈리아 총리와 회담 중, 미 대선 언급하는 트럼프 ㅇ
- 바니걸 때문에 부상자가 속출한다는 일본 육회비빔밥1
- 공주익산 여행간 만화 完 (미륵사지 편).manhwa 무이야
- 오만추 보고 열 받았던 허경환.......... ㅇㅇ
- KE 188 TPE - ICN 비즈니스 & 중화항공 퍼스트 라운지 후기 카소봉박사
싱글벙글 창씨개명 당시.....개드립 모음.....JPG
다들 알다시피 창씨개명은조선인의 이름을 일본식으로 갈아치우는 정책이였다 이때 인생걸고 개드립을 친 조선인들을 알아보자'이누쿠소 쿠라에' (犬糞食衛, 견분식위)문인 김문집이 바꾼 이름"개똥이나 처먹어라"라는 의미이며 퇴짜맞고 옥살이를 했다 '이누코 쿠마소' (犬子熊孫, 견자웅손)단군의 자손이 개자식이 되었다는 의미다 역시 퇴짜를 맞았다.'전농병하' (田農炳夏)'전병하(田炳夏)'라는 이름을 가진 한 농부는자신의 이름에 농(農)을 붙여서 신고하였다.이를 일본어로 읽으면 덴노헤이카(天皇陛下)....덕분에 경찰서로 끌려갔다.'미치노미야 히로히토' (迪宮裕仁, 미친놈이야 히로히토)한 고등학생이 이걸로 개명하겠다고 우기다가역시 경찰서에 끌려갔다.'덴노조쿠 미나고로시로' (天皇族 皆殺郞, 천황족개살랑)천황 왕족을 모조리 몰살하자는 단어에, 일본 이름에 자주 붙는 郞(로)를 붙인 것이다즉, 일본 왕족을 다 죽이는 남자라는 뜻...ㄷㄷ조선총독부로 이걸로 개명해도 괜찮냐는 편지를 보내 어그로를 끌었다고 한다 '쇼와 보타로' (昭和 亡太郞, 소화망태랑)"쇼와 천황 망해라"라는 단어에, 장남에게 붙이는 太郞(타로)를 붙였다. 또 조선총독부에 괜찮냐는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미나미 타로' (南太郞)조선총독부 제 7대 총독인 '미나미 지로'(南次郞)에게서 본딴 이름이다 次郞(지로)는 둘째에게 붙이는 이름인데, '내가 양반보다 형이다'라는 의미로 太郎(타로)를 붙였다고 한다 물론 퇴짜 맞았다'구로다 규이치' (玄田牛一)일제시대 유명한 조선인 만담가 '신불출'이 지은 이름이다畜生을 파자한 것으로, 세로로 써서 읽으면 畜生(칙쇼)가 된다 역시 퇴짜 맞았다.이는 드라마 <야인시대>에서도 개그소재로 언급된다 '강원야원' (江原野原)'구로다 규이치'가 퇴짜 맞은 후에 신불출이 지은 2번째 이름이다일본식으로 읽으면 '에하라 노하라'고 한국 추임새인 '에헤라 놓아라'와 발음이 비슷하게 만든 것이며이는 "에이 될대로 돼라"는 자포자기의 뜻이였다참고로 조선이름인 불출(不出)자체도 "일본세상이였으면 태어나지 말걸 그랬다"는 뜻을 담았다고 한다 '가나다' (加那多)시인 이영철이 지은 이름이며일부러 한국어의 '가나다' 어순을 내포하여 지었다고 한다'도요토미' (豊臣)'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잊지 말자는 의미로 지었다고 한다정황상 가문의 조상이 임진왜란 시절 왜군에게 맞서 싸운 장수였던 것으로 보인다.일본은 이를 금지하진 않았으나, '도쿠가와' 만큼은 못 쓰게 했다 '마을 이름 통일'한 마을 전체가 짜고 주민 전원이 같은 성 + 이름으로 통일해 버리는 사례도 있었다.이러면 조선총독부 입장에서는 세금 징수나 행정 절차상 귀찮은 일이 많아지므로 일부러 의도한 것이다.하지만 일본 현지에서도 현재까지 시골 집성촌들이 수두룩한지라총독부가 딱히 뭐라 하지는 못했다 '이누노코 스즈토' (犬之子錫斗, 개자식석두)부산 동래부에 거주하던 50대 남성의 이름이며"조선에서는 성을 팔아먹으면 개새끼다"라는 말을 적어 신고서를 냈다경찰은 '히야마'(檜山)로 바꾸라고 했으나 계속 개기다가 조선총독부 모욕혐의로 징역 6개월을 살았다고 한다 '고고고고' (高高高高)'4번이나 높은 사람'이라는 뜻이며,창씨개명 하기 싫다는 티를 팍팍 낸 이름이였다 '엄이섭야' (嚴珥燮也)경상남도 양산군의 금융조합 직원 엄이섭(嚴珥燮)은자신의 엄이섭이란 이름 끝에 야(也)자만 붙여서 '엄이섭야'로 개명했는데이는 일본어로 "엄이섭이다"라는 뜻이였고, 모든 가족의 성이 '엄이'로 변하게 되었다 '청산백수' (靑山白水, 아오야마 시라미즈)짓기 귀찮아서 대충 지은 이름이다 '산천초목' (山川草木, 야마카와 구사키)마찬가지로 대충 지은 이름이다.'잇쇼겐메이 하야시겐메이' (一生懸命 林憲命)'림헌명'(林憲命)이라는 조선인이 지은 이름이다림헌명을 일본식으로 읽으면 '하야시 겐메이'가 되는데,여기에 "열심히 일한다"는 일본어인 '잇쇼겐메이'가 발음이 비슷해 성으로 정했다고 한다 실제로 동창에 의하면 공부를 열심히 했다고 한다 '카나우미 친포'김진표(金鎭杓)라는 조선학생이 지은 이름이다'친포'는 일본어로 꼬추를 뜻하는 속어였다... 당시 담임이였던 요코다니 선생은 "센징 이름은 왜 이렇냐"며 한탄했다고 한다 '텐노 헤이카' (田農丙下)한자만 보면 평범한데발음이 '천황 폐하'랑 똑같았다....당연히 퇴짜 맞았다'와카마츠 히토' (若松仁)겉보기엔 아무 문제 없는 이름이지만일본 황가인 와카마츠노미야(若松宮)와천황 이름에 흔히 붙는 글자인 히토(仁)를 합쳤다교묘하게 왕족의 이름을 쓴 것...창씨개명 한정으로 히로히토가 동네북이 됐다...당시 조선인들은 성씨, 가문, 족보를 굉장히 귀중히 여겼으나어쩔수 없이 80%는 창씨개명을 했으며일본식 이름을 쓰며, 일본어를 쓰면서 살았다고 한다... 짤은 1983년 이산가족 상봉 방송....출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성자 : ㅇㅇ고정닉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