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금융사 말만 믿고 옮겼다간 '낭패'" 퇴직연금 중도해지 손실 폭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4.01 12:10:06
조회 6440 추천 3 댓글 0


금융사 말만 믿고 옮겼다간


금융사들이 퇴직연금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면서 퇴직연금 가입자들이 예상치 못한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일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 등 감독 당국에 따르면 퇴직연금 사업자(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금융사)는 퇴직연금 적립금 유치를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경쟁은 새로운 고객 확보라는 건전한 방향보다는, 이미 다른 금융사에 가입한 고객을 빼앗는 '제로섬 게임'으로 변질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적립금 규모에 따른 수수료, 과도한 이전 경쟁의 원인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런 경쟁 심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금융사들의 수수료 수익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퇴직연금 사업자들은 운용 수익률과 무관하게 적립금 규모에 따라 수수료를 받는다. 따라서 금융사 입장에서는 신규 가입자를 유치하는 것보다 이미 상당한 규모의 적립금을 보유한 타사 고객을 유인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훨씬 유리하다.

게다가 신규 가입자는 적립금이 상대적으로 적고, 사업장별 제도 운용 방식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등 금융사 입장에서 번거로운 측면이 있어 기존 고객 확보에 더욱 열을 올리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최근 5년간 퇴직연금 도입률은 2019년 27.5%에서 2023년 26.4%로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금융사들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보다 기존 고객 쟁탈에 집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신규 가입 실적 대비 과도하게 높은 타사 이전 실적을 보이는 사업자에 대한 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계약 이전의 숨겨진 함정, '중도 해지 이율'의 덫

금융사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것은 결국 퇴직연금 가입자인 근로자다. 사업주는 대출 등 간접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확정기여형(DC형) 가입 근로자는 계약 이전 시 적용되는 '중도 해지 이율'이라는 예상치 못한 함정에 빠져 손실을 볼 수 있다. 계약 이전 시 사업주의 동의 절차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퇴직연금 사업자 선정은 사업주가 주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대다수의 퇴직연금 가입자는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원리금 보장 상품을 선택한다. 만기 또는 퇴직 시 해지할 경우에는 약속된 금리를 받을 수 있지만, 금융사 간 계약 이전은 '중도 해지'로 간주돼 당초 약속된 금리보다 훨씬 낮은 '중도 해지 이율'이 적용된다. 심한 경우 원래 금리의 50∼90% 수준에 그쳐, 높은 금리를 기대했던 가입자에게는 큰 손실로 돌아올 수 있다. 예컨대 가입 시 연 5%의 금리를 약속받았더라도, 계약 이전 시에는 연 2.5∼4.5% 수준의 금리만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금리 하락 추세 속 손실 우려 더욱 커져


금융사 말만 믿고 옮겼다간


최근 도입된 디폴트옵션 상품 역시 계약 이전 시 기존 투자 기간에 대해 낮은 금리가 적용될 뿐만 아니라 새롭게 가입하는 금융기관의 원리금 보장 상품 금리마저 기존보다 낮아 이중으로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 디폴트옵션의 원리금 보장 상품은 대부분 3년 만기 상품으로 만기가 긴 편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디폴트옵션 제도가 도입된 2023년에는 원리금 보장 상품 금리가 4%대 중후반이었으나, 올해는 2%대 후반에 불과하다. 따라서 계약 이전에 따라 기존 원리금 보장 상품을 해지하고 올해 3월에 다른 원리금 보장 상품에 새로 가입한다면 상당한 금리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상당수의 근로자가 퇴직연금 계약 이전 시 발생하는 금리 차이와 손실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거나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금융사의 권유에 쉽게 동의한다는 점이다. 이는 금융사들이 고객의 노후 자산 증식이라는 본래의 목적보다는, 계약 이전을 통한 수수료 수입 확대에만 치중하는 경향을 보여주는 명확한 사례다.

현물 이전 제도 도입에도 여전히 과제…가입자 스스로 꼼꼼히 따져봐야

정부는 이런 중도 해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년 10월 31일부터 현물 이전 제도를 시행했지만, 아직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물 이전은 기존 상품을 해지하지 않고 그대로 다른 금융기관으로 옮기는 방식이지만, 신탁계약과 보험계약 간 현물 이전은 가능하지 않는 등 모든 상품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퇴직연금 가입자들이 금융기관의 계약 이전 권유에 섣불리 따르기보다는 자신의 노후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더욱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계약 이전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해당 금융기관에 중도 해지 이율을 문의하고 기존 상품과 이전할 상품의 금리 및 조건을 꼼꼼히 비교 분석해야 한다.

특히 사업장 단위로 계약 이전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동조합 등 근로자 대표를 통해 집단적인 의사 결정을 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제도 개선 및 금융사의 정보 제공 강화 시급

전문가들은 나아가 모든 금융상품에 대한 중도 해지 페널티 완화 또는 면제와 같은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 금융사들이 계약 이전을 권유할 때 가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명확하게 알리고, 중도 해지 시 적용되는 이율과 예상 손실액을 구체적인 수치로 제시하며, 이를 가입자가 충분히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의 적립금 규모 기반 수수료 체계를 운용 성과 연동형으로 전환해 금융사들이 가입자의 수익률 증가에 더욱 집중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아울러 감독 당국이 특별 이익 제공이나 가입자 손실 미고지 같은 불완전 판매 행위를 철저히 감시하고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강조한다.



▶ "연금보험 계약에서 보험계약대출 미상환시 연금 수령 제한"▶ "금융사 말만 믿고 옮겼다간 '낭패'" 퇴직연금 중도해지 손실 폭탄▶ "오락가락 트럼프" 더티 15? 특별관심 21개국? 모든국가? 美상호관세 오리무중▶ "주가 반토막 나때문" 머스크, 테슬라 지금이 매수 기회? '위풍당당'▶ "2030 입맛 공략" CJ제일제당, '30배 매운맛' 실비김치 출시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12295 "전통시장 16곳에서 농산물 할인지원"…정부, 14일부터 시범사업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109 0
12294 "트럼프 상대 소송 검토" 관세 타격 입은 미국 기업들 단단히 뿔났다 [16]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7187 9
12293 "등하교 안전하게" 서울시 '초등학생 휴대용 안심벨' 11만개 보급... 신청방법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117 0
12292 "청년 마음 돌본다"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107 0
12291 "88% 정년연장 동의"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노인 나이 70.2세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169 0
12290 "협상시까지 中에 104% 관세" 트럼프, 이제 미국이 갈취할 차례?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104 0
12289 "조용하게 강하다" LG전자 사상 최대 매출 달성 순이익도 1조 분석 전망 [4]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080 1
12288 "아이폰 500만원 되나" 경제 전문가, 트럼프 관세전쟁 영향 분석 전망 [5]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210 0
12287 "집값 떨어진다던데" 10년간 마음 편히 살 수 있는 '장기임대주택' 조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209 0
12286 "이재명이 1위인줄 알았는데" 예상 빗나간 정치 테마주, 상위 종목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92 0
12285 "이럴 줄 알았어" 삼성전자 실적에 개미들 매수 행진... 외인·기관은 매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201 0
12284 "트럼프 관세 불만 표출?" 머스크 동생, '형 대신' 작심 발언 뭐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45 0
12283 "1년 이자 원금 초과시 대출계약 무효" 법령상 첫 도입, 내용 뭐길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21 0
12282 "장애인 생산품 최대 25%할인" 우체국쇼핑몰, 장애인의날 특별전 열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5033 0
12281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익 6.6조" 갤S25 효과에 시장 기대 웃돌아... 주가는?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60 0
12280 "5년 만에 증가세 전환" 작년 청년층 장기 실업자 6만 9천명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42 0
12279 "90일 관세유예 가짜뉴스" 백악관, 오보에 시장 요동치자 결국...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16 0
12278 "정년 연장보다는 퇴직 후 재고용" 고령층 오래 일하게 하려면... [6]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5796 0
12277 "실망 드려 죄송, 박나래에 사과" 보아, 전현무와 취중 라방에 사과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26 0
12276 "GDP 대비 4% 웃돌아" 나라살림 적자 또 100조 넘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00 0
12275 "임시공휴일 지정" 제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 화요일' 확정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122 0
12274 "폭탄관세 공방 가속" 치킨게임 미중, 무역전쟁 전면 충돌하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8 91 0
12273 "워런 버핏이 또 맞았네" 테슬라 붕괴 속 'BYD 주가' 대박 전망 분석 [1]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84 0
12272 "성동구가 31억" 서울 아파트, 부동산 매매가격 5개월만 '상승'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35 0
12271 "대폭락은 이제 시작" 유명 경제 전문가, 저가 매수 '매우 위험'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52 0
12270 "대통령실 이전한다는데" 반값 폭락했던 세종 아파트 부동산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40 0
12269 "공포에 사라" 삼성전자, 5만원대 '순매수' 1위 등극... 지금 매수 기회? [18]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6154 3
12268 "코인도 무너졌다" 트럼프 발 '관세 쇼크'에 시장은 '패닉' 상태 [2]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232 1
12267 "AI로 생성한 지원서·포트폴리오" 기업 인력채용시 새 골칫거리 됐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41 0
12266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약 접수하세요" LH, 3천 3가구 모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42 0
12265 "80대 자산가 재혼 2개월 뒤 사망" 재혼녀 56억 인출 사기 무혐의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57 0
12264 "본과 3·4학년 출석률 높아…종합 판단해 의대 모집인원 발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19 0
12263 "S&P500, 2차대전 후 4번째 폭락"…서머스 전 美재무 경고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37 0
12262 "경기 27~39세 청년 57% 미혼" 남성 65%로 여성 48% 보다 높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33 0
12261 "고혈압환자 입원기간 대폭 줄었지만…병의원 비효율 치료 여전" [3]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5339 1
12260 "최대 70% 할인" 쿠팡, 28일까지 '메가뷰티쇼' 세일 진행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24 0
12259 "추세적 반등 쉽지 않다" 팬데믹급 폭락장에 코스피 그로기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22 0
12258 "주가폭락·전국시위에도 보란듯이" 트럼프, SNS에 티샷 영상 올려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7 114 0
12257 "이제 곧 경기침체 온다" 유명 글로벌 투자은행, 안전자산 '엔화'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50 0
12256 "반값됐던 그때와 똑같아" 비트코인, 49% 떨어졌던 하락장 움직임 전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58 0
12255 "큰손들 심상치 않아" 리플 XRP, 미결제 약정 36억 달러 돌파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28 0
12254 "시진핑이 웃는다" 미국 트럼프 '관세 폭탄' 중국 ETF 전망 분석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26 1
12253 "91% 급등" 출산·취업 관련주 대체 뭐길래? 탄핵 되자마자 정책주 '화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32 0
12252 "코인 강세장 드디어 온다VS추가 하락 올 걸?" 코인 전망 분석 분분해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26 0
12251 "갈치·삼겹살 가격 개선"…'가성비 제주 관광 만들기' 추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19 0
12250 "초 5학년부터 신청 가능"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생 모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19 0
12249 "美전역서 '트럼프 반대' 시위" 워싱턴기념탑 주변 수만명 운집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12 0
12248 "부동의 테무 제쳐" 네이버 쇼핑앱 지난달 모바일 신규 설치 1위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03 0
12247 "최고가 매주 경신" 상승세 이어가는 강남3구·용산·성동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04 0
12246 "북미 시장 공략" 삼성전자, 美서 '비스포크 AI 벤트 콤보' 출시 나남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6 144 0
뉴스 [줌인] 중년 로맨스 통했다...반환점 ‘독수리 5형제’, KBS 주말드라마 부활 기세 잇나 디시트렌드 04.2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