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김민수 비로보틱스 “모든 사람이 로봇과 함께하도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8.27 09:49:29
조회 180 추천 0 댓글 0
[IT동아 차주경 기자] 자동화 기술은 요식업을 포함한 자영업계의 양상을 송두리째 바꿨다. 이 가운데에서도 로봇은 유독 두드러지게 활약했다. 로봇은 자영업자가 노동력과 매장의 운영 비용을 절약하도록, 매장을 오랜 시간 실수 없이 운영하도록 도왔다. 덕분에 로봇을 매장에 들여놓는 자영업자는 매년 늘어난다.

하지만, 로봇을 사용하지 못하는 자영업자도 많다. 매장 크기가 작아서, 업종이나 사업 특성상 로봇을 운용하기 곤란해서 등 이유는 여러 가지다. 이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이유를 하나 꼽으라면, 단연 ‘로봇의 가격이 비싸서’를 들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내외에서 이뤄진 설문조사 여러 건에서도 이 이유가 나타난다.

배달 앱 ‘배달의민족’이 자체 커뮤니티 배민외식업광장에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도 그렇다. 이 설문조사에 참가한 자영업자 가운데 62.4%는 ‘로봇의 가격 부담이 줄어들면 도입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지금은 로봇의 가격 부담이 크다는 이야기다. 이 고민을 해결하려 나선 곳이 로봇 기술 스타트업 ‘비로보틱스’다.


서빙 로봇과 함께 선 김민수 비로보틱스 대표 / 출처=비로보틱스



비로보틱스는 원래 배달의민족의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의 자회사였다. 서빙 로봇과 자율 주행 배송 로봇, 물류 로봇을 연구 개발하던 이들은 2019년 서빙 로봇 ‘딜리’를 상용화했다. 딜리는 성능과 가격의 균형이 우수해 자영업자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를 토대로 비로보틱스는 사업의 방향을 서빙 로봇으로 좁혀 연구 개발에 집중하려고 분사, 독립한다. 김민수 비로보틱스 대표는 분사한 덕분에 의사 결정 구조를 간결하게 만들었고, 소비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아이디어를 현실화했다고 말한다.


비로보틱스 서빙 로봇이 매장에서 활동하는 모습 / 출처=비로보틱스



그는 서비스 대상을 ‘우리나라의 모든 사장님’으로 정했다. 모든 자영업자들이 로봇을 원활히 쓰도록, 부담 없이 쓰도록 도울 방법을 궁리했다. 이윽고 김민수 대표는 ‘로봇의 완성도와 내구성을 높여 오래 쓰도록 설계할 것’, ‘로봇 자체의 가격을 낮춰 도입 부담을 줄일 것’, ‘새로운 유형의 상품을 만들어 자영업자들이 로봇을 쉽게 체험하고 받아들이도록 할 것’ 등 여러 전략을 세운다.

비로보틱스는 먼저 로봇, 그 가운데에서도 자영업자들이 가장 선호하고 쓰임새도 많은 서빙 로봇의 고도화에 나선다. 로봇 부품과 제조 기술은 상향 평준화됐다. 그래서 서빙 로봇들의 기계 성능은 대동소이하다. 이들의 실력과 성과를 판가름하는 것, 비로보틱스가 가장 먼저 강화한 것은 ‘소프트웨어 설계와 최적화’ 능력이다.


비로보틱스 서빙 로봇이 당구장에서 활동하는 모습 / 출처=비로보틱스



아무리 기계 성능이 좋은 서빙 로봇이라도, 소프트웨어의 완성도가 낮으면 효용을 발휘하지 못한다. 매장 안을 자유롭고 매끄럽게 움직이지도, 장애물을 구분하지도 못한다. 김민수 대표는 서빙 로봇의 실제 운용 환경을 분석해서 가장 좋은 효율을 발휘할 센서의 검출 범위, 동작 알고리듬을 설계했다.

덕분에 비로보틱스의 서빙 로봇은 매장 내 사물들의 속성을 섬세하게 파악해서 대응 방안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사람을 감지하면 충돌을 막으려고 조금 멀리 떨어진 곳에서 미리 위치를 바꾼다. 반면, 움직이지 않는 식탁이나 화분을 감지하면 충돌 위험이 적다고 판단하고 가장 알맞은 이동 경로로 움직인다.


비로보틱스 서빙 로봇이 스크린골프장에서 활동하는 모습 / 출처=비로보틱스



사람이나 식탁이나 화분 등 모든 사물을 똑같은 기준으로 판단하는 서빙 로봇이라면, 멈추고 피하고 움직이기를 여러 차례 반복할 것이다.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고 정해진 이동 경로로만 움직이기에 운용 효율이 떨어질 것이다. 비로보틱스는 이 점에 착안해 서빙 로봇이 사물을 감지해 가장 알맞은 이동 경로를 짜도록, 나아가 서빙 로봇 여러 대가 함께 움직일 때 이 알고리듬을 기준으로 군집 활동하도록 설계했다.

이어 김민수 대표는 서빙 로봇의 ‘내구성’을 강화했다. 자영업자들이 서빙 로봇을 오래 쓰면서 효용을 누리도록 도울 목적에서다. 비로보틱스는 새 로봇을 개발할 때, 기존 로봇의 개선 방안을 함께 고려한다. 기존 로봇의 부품 일부와 소프트웨어만 바꾸면 최신 로봇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한다. 이 덕분에 중고 로봇과 리퍼 로봇, 보상 판매 제도도 운영한다.


자영업자에게 서빙 로봇을 설명하는 비로보틱스 임직원 / 출처=비로보틱스



덕분에 비로보틱스 서빙 로봇을 선택한 자영업자들은 여러 선택지를 얻는다. 수 년 전에 들인 서빙 로봇이 고장나도 원활하게 수리 받는다. 원하면 리퍼나 중고 로봇을 사도 된다. 보상 판매를 이용해 최신 서빙 로봇을 들여놔도 된다. 김민수 대표는 이 전략 덕분에 자영업자들의 서빙 로봇 운용 부담을 줄인데다 잠금 효과(특정 브랜드의 상품과 서비스를 체험한 소비자가 반복해서 해당 브랜드의 상품과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이끄는 효과)까지 얻었다고 말한다.

비로보틱스는 자영업자들이 서빙 로봇을 도입할 때 가장 큰 장애물, 가격 장벽을 허물 방법을 여러 가지 고안한다. 먼저 이들은 서빙 로봇 자체의 가격을 낮췄다. 이어 ‘렌탈’ 상품을 고안, 운영했다. 서빙 로봇의 도입 가격은 적게는 수백만 원에서 많게는 수천만 원에 달한다. 비로보틱스는 자영업자들이 로봇을 우선 도입하고, 수 년에 걸쳐 가격을 나눠 내는 렌탈 상품을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렌탈 상품의 가격도 월 30만 원 이하로 줄이고, 월 7만9000원의 안심케어 프로그램을 무상 제공한다.


비로보틱스 서빙 로봇이 매장에서 활동하는 모습 / 출처=비로보틱스



비로보틱스는 서빙 로봇의 렌탈 상품을 꾸준히 고도화했다. 2024년 업계 최초로 선보인 ‘리스’ 상품도 그 가운데 하나다. 서빙 로봇을 렌탈하면 정해진 금액을 정해진 기간만큼 내고 인수한다. 서빙 로봇을 리스하면 싼 금액만 부담하면서 쓰다가 3년 후 인수할지 반납할지 결정하면 된다. 초기 도입 비용 절감 효과는 물론, 교체 시기가 다가왔을 때 또 하나의 선택지를 얻는다.

‘인증 중고’ 역시 서빙 로봇의 가격 장벽을 허물 또 하나의 무기다. 비로보틱스는 2019년부터 서빙 로봇을 만들었다. 이 시기에 렌탈을 시작해 약정 기간이 끝난 구형 서빙 로봇의 부품, 소프트웨어를 개선한다. 이후 비로보틱스가 성능을 인증해 중고 서빙 로봇으로 판매하는 원리다.


비로보틱스는 서빙 로봇 구입 부담을 줄이려 렌탈, 리스 등 여러 제도를 운영한다 / 출처=비로보틱스



비로보틱스의 서빙 로봇은 지금, 우리나라 전국 곳곳의 매장 2300여 곳에서 활약 중이다. 이 성과를 딛고 비로보틱스는 ‘조리 로봇’의 연구 개발에 나선다. 김민수 대표의 지론은 ‘로봇의 기본은 하나의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것’이다. 이는 자영업자들의 고민을 파악하는 것, 그리고 고민을 어떻게 로봇으로 해결할 것인지로 이어진다.

서빙 로봇은 우리나라 자영업자들의 고민 가운데 인력 확보와 대체, 매장 자동화를 해결한다. 자영업자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식업자들의 고민은 주방의 자동화다.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 로봇이 이 고민 해결을 도울 것이다.


전시회에서 관람객들의 평가를 받는 비로보틱스 서빙 로봇 / 출처=비로보틱스



비로보틱스가 고안하는 조리 로봇은 앞서 등장한 로봇 팔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로봇 팔은 다양한 요리에 대응 가능하지만, 그 만큼 만들기 어렵고 내구성도 약하다. 김민수 대표는 지론에 따라, 특정한 조리 과정 하나만 잘 하는 조리 로봇을 만든다. 김밥 가게의 김밥 커팅 로봇, 요식업 매장에서 쓰는 대형 식기 세척기 등을 연상하면 된다.

비로보틱스는 특정한 조리 과정 하나만 잘 하는 조리 로봇을 만들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더해 차별화 요소로 삼는다. 그냥 조리만 하는 로봇이 아니다. 음식을 조리할 때 가장 알맞은 식재료의 크기와 조리 기구의 온도, 조리 시간 등을 클라우드로 공유해 언제 어디서나 균일한 맛을 내는 조리 로봇이다. 특성상 프랜차이즈에 적용하기에도 좋다. 비로보틱스는 이 조리 로봇을 4분기에 발표 예정이다.


임직원들과 견해를 나누는 김민수 대표 / 출처=비로보틱스



비로보틱스 임직원들과 김민수 대표는 화려한 로봇이 아니라 실속을 가진 로봇, 문제를 실제로 해결하는 로봇을 만들자는 목표를 공유한다.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사람들이 쓰지 않거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가치를 잃는다. 이들이 만들려는 로봇은 간결하게 움직이며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로봇이다. 자연스럽게 사람과 로봇 사이 거리감을 좁히면서 업계를 바꾸는 로봇이다.

김민수 대표는 “로봇을 포함해 사람의 수고를 줄이는 정보통신 기술 전반을 다루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 기술과 사람 사이 거리감을 줄이고 첨단 기술의 보급에 앞장서는 비로보틱스를 주목해달라.”고 밝혔다.

글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주간투자동향] PIP랩스, 약 1092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스케일업] 비투랩 [1] “펨토초 레이저로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 도전"▶ [스케일업] 반프 [1] “타이어 디지털 전환 시대의 문을 엽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타고난 드립력으로 사석에서 만나도 웃길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0 - -
4877 시장점유율·격차 크게 줄어··· '희비 엇갈린 인텔·AM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23 0
4876 오라클, “클라우드 탑4 등극, AI도 우리가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22 0
4875 포티넷코리아 “AI 보안 통합 플랫폼으로 비방화벽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25 0
4874 [생활 속 IT] 우리 동네 ‘위법 식당’ 확인하는 방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27 0
4873 [IT신상공개] 가성비 좋은 노이즈캔슬링 이어폰 ‘JBL 튠·웨이브 4종’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2118 0
4872 [생활 속 IT] 윈도 운영체제 관리 도우미 ‘MS PC 매니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67 0
4871 국내 최초 3칸 굴절버스 대전 달린다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962 1
4870 [리뷰] 재질부터 두뇌까지 새롭다, 에이수스 젠북 A14(UX340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59 0
4869 폰 연결 없이 갤럭시워치로 음악 들으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91 0
4868 [주간투자동향] 시나몬, 110억 원 규모 투자 유치 外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056 1
4867 ‘인공지능에 기회 있다’ 글로벌 테크 기업, 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 경쟁에 속도 붙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6035 1
4866 [생성 AI 길라잡이] 커지는 보안 우려에 딥시크 차단 조치 확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06 0
4865 [투자를IT다] 2025년 2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96 0
4864 알약M iOS, 스마트폰 보안보다 관리에 초점 뒀지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78 0
4863 [2024 고려대 초창패] 세컨드팀 “서비스 확장, AI 인터뷰어로 글로벌 인재 채용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92 0
4862 [생활 속 IT] 최신 GPT 모델을 누구나 무료로, 'MS 코파일럿 씽크 디퍼'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4148 0
4861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앱 기반 초중고 밀착 학습 케어 서비스 제공 ‘비욘드날리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62 0
4860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빅링크 “AI 활용한 초개인화 글쓰기ㆍ콘텐츠 생성 서비스로 크리에이터의 고민을 해결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04 0
4859 [리뷰] 내공 탄탄한 기술력으로 일상 모발 관리 돕는 ‘파나소닉 헤어 드라이어 EH-NA0J’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4878 1
4858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다컴스, 스포츠 전문 채용 플랫폼 '드래프트온'으로 새 시장 개척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78 0
4857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카메라·레이더센서 일체형 기기로 건강 모니터링…‘다민테크놀로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87 0
4856 [IT애정남] 유튜브 프리미엄, 가족끼리 공유할 방법 없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445 0
4855 [생활 속 IT] 이직 후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월별 조회하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58 0
4854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블루앤워터 “모듈화ㆍ자동화 수처리 솔루션으로 혁신 지속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82 0
4853 팔릿(PALIT) 그래픽카드 ODM으로 장사하던 이엠텍, 이제 와서 ‘공식 유통’ 한다고?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2060 0
4852 GPT 3o-미니에 심층 연구까지 추가··· 단독 질주 나선 오픈A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82 0
4851 [재도전성공패키지 in 성남] 운동친구 찾기 플랫폼 '렛디' 선보이는 '노는컴퍼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77 0
4850 [ETF 기본기 다지기] 분배금 활용 전략에 따라 구분 ‘TR·월분배 ETF’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66 0
4849 에코백스, 디봇 X8 옴니 프로 출시 ‘물걸레 실시간 세척’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60 0
4848 [주간스타트업동향] 아산나눔재단, ‘마루’ 2025년 상반기 신규 입주기업 모집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4269 0
4847 오픈AI, 韓 개발자 100명과 대담…‘국내 AI 생태계 발판될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4793 0
4846 [리뷰] 진화한 게이밍 태블릿, 레노버 리전탭 Y700 3세대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873 0
4845 [르포] SKT, 홍대서 T팩토리 운영 종료…마지막 전시 가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4 188 0
4844 [자동차와 法] 자동차보험 손해율 논란 속 나아갈 방향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4 1380 0
4843 Arm, 첫 칩렛 시스템 공개 사양 발표··· '업계 표준화 나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4 184 0
4842 [뉴스줌인] 화질 높이고 분리기능 더한 ‘LG 스탠바이미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12 0
4841 [신차공개] 볼보 ‘EX30’·KGM ‘렉스턴 2025’ 라인업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91 0
4840 딥시크 쇼크에도 AI 데이터센터 건재할 이유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4855 0
4839 SBA, 2024년 빛낸 크리에이터를 위한 '크리에이티브포스 어워즈'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84 0
4838 +건강 관리,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하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184 0
4837 [투자를IT다] 2025년 1월 마지막주 IT기업 주요 소식과 주가 흐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5821 0
4836 [생활 속 IT] 네이버 지도, 나만의 장소·경로 저장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92 0
4835 [생성 AI 길라잡이] 빅테크 뒤집은 中 딥시크, 기우일까 혁명일까?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033 2
4834 [크립토 퀵서치] 빗썸, 제휴 은행 ‘KB국민은행’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95 0
4833 [기술영업人] '이테크시스템'으로부터 듣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업계의 방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266 0
4832 [생활 속 IT] 문자 아닌 사진으로 검색하는 '구글 렌즈' 활용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4889 1
4831 ‘투자자 보호와 거래 편의성 확보에 초점’ 2025년 달라지는 투자시장 정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314 0
4830 [IT애정남] 누전차단기 내렸는데, 컴퓨터가 고장 났어요!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6853 2
4829 보안 사고 대응 역량 키우는 가상자산 거래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334 0
4828 인공지능 앞에서 어느 때보다 치열해질 2025년 반도체 시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345 0
뉴스 日 ‘괴물’ 각본가 차기작 ‘첫 번째 키스’…26일 메가박스 단독개봉 디시트렌드 02.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