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중국의 시크릿 인베이젼: 부탄 땅을 갉아먹고 있는 중국앱에서 작성

라파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4.01 07:00:02
조회 14119 추천 105 댓글 96

7cef8170bc8169f23ae78eed478377735e3a44953425febfba66f1c4fccc





7cef8170bc8169f23ae78eed4783707314dbb9e12a96ab523fb22e8ad8b9c16f

2015년 10월, 중국 정부는 걀라푸그라는 마을이 티베트 자치구 남부에 설립되었다고 발표했다. 이것은 별로 새로운 일이 아니었다. 당시 중국 정부는 티베트 자치구에 수백개의 새로운 정착촌들을 건설하고 있었고, 티베트계 주민들로 채워진 걀라푸그는 수백개의 다른 비슷한 마을들과 다를 바가 없어 보였다.
 

한 가지 중요한 사실만 빼고 말이다. 이 마을은 티베트에, 혹은 그 어떤 다른 중국 땅에 지어진 것이 아니었다. 바로 중국과 이웃한 조그마한 나라인 부탄의 영토 안에 지어졌다.
 

설상가상으로 걀라푸그는 혼자가 아니다. 2025년 현재, 약 7,000명의 주민들이 2200개의 집에서 거주하는 22개의 마을이 부탄 영토 안에 지어진 상태다. 이 마을들의 면적은 대략 부탄 면적의 2%다. 중국은 부탄의 일부분을 식민화하면서 중국-부탄 국경을 실시간으로 변경하고 있는 것이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37173589613fdeb14b9bb262a77dd0fbd

사건의 발단은 18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부탄을 포함한 인도 아대륙을 장악한 대영 제국은 당시 청나라와 티베트 지역의 국경선을 확정하려 했으나, 세계에서 가장 높은 히말라야 산맥의 지리적 특성 때문에 정확한 국경선을 합의하는 것에 실패했다. 이 때문에 1900년대 초반부터 중국에서는 부탄의 영토의 일부분이 자국 것이라는 주장이 생겨났다. 청나라 황실은 아예 부탄의 전체를 원했고, 마오쩌둥 역시 1930년대에 이 주장을 지지했다.
 

1950년대 중국 공산당은 당시 독립국 지위를 유지하던 티베트를 강제로 합병했고, 단계적으로 장악력을 확대해 나갔다. 티베트와 접경하고 역시나 티베트계 국가인 부탄은 이를 보고 불안해할 수 밖에 없었다. 설상가상으로 중국인들은, 비록 부탄 전체를 합병하려는 야심은 철회했으나, 부탄의 영토 일부분이 자기네 것이라는 주장은 꾸준히 밀어붙였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37273932973fc460718c55167994108d07a

히말라야 산맥에 대한 중국의 영토 야심은 실제 행동으로 이어졌다. 국경의 존재가 여전히 희미한 지역에서 야크를 이끄는 티베트 유목민들이 월경하자, 중국군은 이들을 보호한다는 명목 하에 역시나 국경선을 넘어 수시로 부탄을 침범하고 있다. 부탄의 영토 일부분이 지도에서 공식적으로 중국 영토로 표시되기 시작했다. 비록 부탄 얘기는 아니지만, 1962년에 인도와의 소규모 전쟁에서 인도군을 패퇴시키며 카슈미르 지역의 일부 영토를 점령했다.

 
이런 중국의 행보는 양국 관계에 전혀 도움되지 못했다. 부탄은 안보를 보장받기 위해서 인도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2007년까지 자국의 국방과 외교를 인도에게 위임했다. 그 후 현재까지도 인도와 긴밀한 경제와 안보 협력을 유지하고 있다. 부탄 정부는 현재도 중국과 공식적으로 수교를 맺지 않아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중국과 대만 모두를 인정하지 않는 국가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37373e3bf35d1f045d30300b315127bc5

양국의 국경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협상은 1984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중국과 부탄의 대화는 그 후 40년간 총 25차례 이어졌다. 그러나 그 중 어느 하나도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는데 실패했다. 1998년 중국과 부탄은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분쟁 지역의 현상 유지를 추구한다는 합의를 봤지만, 이는 현재 중국 측의 대규모 공사만 봐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37c73001f3e91040eceb842013006a301

오늘날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은 총 세 곳이다. 서부의 드라마나와 북부의 베율, 그리고 동부의 사카텡 지역이다. 이 중 걀라푸그를 비롯한 14개의 마을은 베율에 위치한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37d737b48d7a4529c3c4b7bcbd448fd80

평균해발 4천미터의 고도에 속한 베율은 부탄의 역사와 문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성스러운 지역이다. 티베트 불교의 성지라고 부를 수 있는 곳이며, 수백년 전부터 각종 전설과 민담의 배경이었고, 현 부탄 왕가의 발원지이다. 베율은 그 신비로움에 걸맞게 수세기동안 일부 유목민과 승려들을 제외하면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지역이었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47367b8a04e78acfdffc72d1daded26

중국 공산당이 덮치기 전까지 말이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57300327c270748b1efc50018eedc6e

1980년대부터 베율의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한 중국은 침략 야욕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티베트인들을 도구로 사용했다.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은 그 험준함 때문에 예로부터 국가의 통제력이 제대로 닿지 않았다. 국경선이라는 개념은 희박했고, 유목민들은 세계의 지붕을 자유자재로 넘나들었다. 일부는 오늘날 부탄, 특히 베율 지역에서도 시간을 보냈다.
 

국경선이 그어지고 국가가 고원에 침범하면서, 티베트의 유목민들은 갈수록 부탄 영토에 발을 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티베트만의 전통 문화를 탄압하기에 노력하는 공산당은 오히려 이들의 유목 전통을 이용하고자 했다. 부탄 내부 티베트 유목민들의 존재를 자신들의 영토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로 사용하려는 것이었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6730927f6472b7a5f361dbc0303e260a6

중국 공산당은 1990년대에 4명의 티베트 유목민에게 그들의 친척의 출세를 대가로 베율에서 유목하라고 설득시키는데 성공했다. 이후 이들은 공산당의 요청에 따라 현지 부탄 유목민들의 영토를 침범해 거기서 대신 방목하고, 부탄 유목민들에게 세금 납부를 요구하고, 중국 국기를 곳곳에 꽂으며, 자신들이 읽지도 쓰지도 발음하지도 못하는 한자로 된 ‘중국’이라는 단어를 칠하고 다녔다.
 


이런 공작에 질린 부탄 유목민들은 2005년 마침내 베율을 포기한 채 좀 더 남쪽으로 이동했다. 여름마다 파견되었던 부탄 국경 수비대원들은 당초에 부탄의 국경보다는 유목민들을 지키는 것이 임무였고, 이 유목민들에게서 각종 필수 물자를 보급받았다. 그래서 유목민들이 남하하자, 군인들 역시 베율을 버리고 그들의 뒤를 따랐다. 베율 지역은 이제 중국의 마을 건설 프로젝트가 완성되기 알맞춤의 지역이었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773b27769c1e0fdfb1ba86b7804ba4d8ccb

현재 베율에는 14개의 마을과 각종 도로, 감시 초소와 송신탑, 경찰서와 행정사무소, 대형 군사기지 등이 들어서있다. 이 마을의 주민들은 거액의 지원액을 약속받고 이주해온 티베트인들이지만, 경찰과 군인들, 당 간부들은 전부 공산당에 충성하는 한족들이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073e13a028682b1cd896cf61ffe4f32

중국의 야심은 베율에서 끝나지 않았다. 얼마 전 중국은 동부의 사카텡 지역에 대한 영유권도 주장하기 시작했다. 2020년 이전에는 한 번도 요구한 적이 없는 곳이다. 심지어 중국과 직접 맞닿아 있지도 않는 영토로, 중국이 자신들의 땅이라고 주장하지만 인도가 통제하고 있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지역과 인접한 곳이다. 실질적으로 무의미한 이 억지 주장도 결국 압박 정책의 일환이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1734c764d8e1fa386855dafca35ecda

그렇다면 중국이 그토록 부탄에게 집착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중국은 부탄 자체보다는 그 후에 있는 나라를 겨냥하고 있다. 인도 말이다. 히말라야 산맥을 사이에 둔 14억 중국과 15억 인도는 서로를 경계하고 있고, 인도양과 남아시아에서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관계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27322cc508f072be68a674f5ee9305c

중국이 궁극적으로 노리는 지역은 바로 부탄 서부의 드라마나 지역이다. 원래 티베트의 영토던 드라마나 지방은 1913년 달라이 라마가 부탄에게 선물해주면서 부탄 땅이 되었다. 이 지역에서 특히 중국의 눈길을 끄는 곳은 바로 도클람 고원이다.


드라마나의 도클람 고원은 중국‧인도‧부탄 3국이 만나는 평균해발 4600m의 고원 지대로, 부탄과 상호방위조약을 맺은 인도군이 주둔해 있다. 중국이 도클람 고원을 장악하게 된다면, 인도 동부를 본토와 연결하는 22km 폭의 전략적 요충지 실리구리 회랑을 더욱 압박할 수 있다. 유사시 인도 동부를 본토와 차단시켜 손쉽게 점령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반대로 현재 부탄 정부의 허가 하에 도클람에 주둔한 인도군은 중국군을 상대로 전략적 우위와 주도권을 쥐고 있다.


중국은 드라마나에도 각종 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2017년 중국의 도발적인 도로 건설은 부탄이 인도군을 불러 중국과 인도의 치열한 군사적 대치로 이어진 적이 있다. 양측은 이후 합의를 보고 각자 철군하며 긴장을 낮췄지만, 중국은 계속해서 야금야금 인프라를 지었다. 현재 여기에는 8개의 마을이 지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규모는 베율의 그것보다 작지만, 전략적으로 더욱 민감하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373038329f9658f1911afdee8e4d6dd45

오늘날의 중국은 1990년부터 자국이 북부 베율 지역의 영유권을 완전히 포기하는 대신, 그 대가로 서부의 드라마나 지역을 내놓으라고 압박하고 있다. 양국은 실제로 2001년 그런 내용의 협정을 체결하기 직전까지 갔다. 그러나 자국의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음을 우려한 인도의 반대로 결국 이 ‘패키지 딜’은 당시에 무산되었다(부탄에게는 여전히 인도의 외교안보적 상황을 고려할 외교적 의무가 있다).
 

중국은 지금도 변함없이 이 패키지 딜을 요청하고 있다. 베율과 드라마나 내부의 정착촌 건설, 정착촌 주변의 각종 도로와 군사시설 설치, 사카텡 지역에 대한 억지스러운 영유권 주장 모두 본질적으로 도클람 고원에 대한 야욕을 실현하기 위함이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c737dcc2be8db581d7466734667eb38

이런 중국의 노골적인 주권 침해와 식민화 행위에 대한 부탄 정부의 반응은 놀랍도록 무기력하다. 부탄 정부는 현재 이미 베율 지역에서 중국계 마을이 들어선 영토에 대해서는 더이상 우리 땅이 아니게 되었다며 사실상의 방관과 항복을 선언한 상태다.
 

이는 어쩔 수 없는 현실 때문이다. 부탄의 인구는 약 80만명으로 14억 중국의 0.06%에 불과해 자체적으로 중국에게 맞서는 것은 불가능하다. 서구 언론과 국제 사회 역시나 고요한 히말라야 산맥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 사태에 대해 여전히 무지와 무관심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나마 유일하게 부탄을 직접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외부 세력인 인도는 자국의 이익이 달린 도클람 일대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북부 베율 지역에 대해서는 목소리를 크게 내지 않고 있다.

 
또한 부탄은 추가적인 경제 발전을 위해서 중국과 장기적으로 공식적인 관계를 수립하고, 경제 협력을 강화해 자국을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지니고 있다. 그러기에 앞서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자 하는 부탄 정부는 이를 위해서라면 이미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운 자국 영토 수복을 포기할 의향이 있는 듯 하다.
 

중국이 원하는 ‘패키지 딜’을 수용하거나 중국에게 강경하게 맞서는 것 모두 사실상 불가능한 현 상황에서, 약소국 부탄에게 남은 선택지는 별로 없다. 그저 자세를 낮추고 중국에게 애써 구애하며 현재의 상황이 악화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7cef8170bc8169f23ae78eed47827d73b288cb09b4a90c2572514b120b06

그나마 부탄에게 긍정적인 소식은 바로 중국-인도 관계의 개선이다. 최근 중국과 인도는 지난 몇 년 간 국경 문제 때문에 강경하게 대치하던 형국에서 벗어나 제대로 된 평화 협상을 추진하고 양국의 관계를 부분적으로나마 개선하겠다고 합의했다. 중국과 인도의 국경 협상 결과에 따라서, 도클람 고원을 둘러싼 분쟁도 해결의 실마리가 보일지도 모른다. 약소국 부탄의 입장에서는 억울하고 씁쓸하게도 세계의 지붕을 넘나드는 중국의 조용한 침략이 어떻게 해서라도 평화적으로 종료되길 희망하는 수 밖에 없다.
 







참고자료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05

고정닉 28

1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잘못하면 바로 인정하고 사과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07 - -
304088
썸네일
[잡갤] 거리로 나온 동덕여대 학생들…"학교는 형사 고소 취하하라"
[359]
츄모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9657 337
30408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에 불법체류자 ㅈㄴ 많은 이유
[3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8944 623
304085
썸네일
[야갤] 가격 이게 맞나..."손주들 것도 고민" 혀 내두른 사람들
[159]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5293 25
304083
썸네일
[기갤] 트럼프 "10일 철강 25% 추가 관세 발표..+ 불법이민자 추방작전 격노
[1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0225 38
30408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인이 망친 해외 간호사 문화
[4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43260 450
304080
썸네일
[대갤] 대만, 한파로 1345명 사망... 영상 10도가 넘는데 대체 왜?!
[415]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0012 181
304077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프링글스의 비밀
[241]
기신고래(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5375 164
304076
썸네일
[기갤] 16살이 고등학생이 일냈다, 무용사 새로 쓴 '우승'.jpg
[1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9852 52
304074
썸네일
[국갤] 오늘 이재명 발언 모음
[619]
ㅇㅇ(211.104) 02.10 32464 760
304073
썸네일
[런갤] 우연히 런닝맨에 나온 로버트 패틴슨 ㄷㄷ
[243]
정복자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3523 45
304072
썸네일
[스갤] 24/25 최고의 날, 최악의 스키장 운영 : 대황주와 어영부영
[36]
발왕산관광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8357 16
304070
썸네일
[중갤] 재투입 검토 없었다?.."02:13 시간까지 적었다"
[2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9646 153
304068
썸네일
[스갤] 실시간 보겸 유튜브 근황
[3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45825 260
30406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청와대 전 경호부장이 풀어주는 청와대 썰.jpg
[44]
최강한화이글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3846 76
304065
썸네일
[해갤] 오늘자 손흥민 아스톤 빌라전 스탯...gif
[268]
메호대전종결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4366 584
304063
썸네일
[국갤] 트럼프 “USAID 급진 좌파를 미치게 만들어..부패가 수준이상“
[213]
퀸건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0153 753
304061
썸네일
[코갤] 테슬라 주식 ㅈ됐다.. 정치인 머스크 리스크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145]
VWVWV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6148 110
304060
썸네일
[싱갤] 올림픽 개회 선언을 2번 씩 했던 지도자들
[35]
싱글벙글참치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9815 8
304059
썸네일
[기갤] 방첩사 수사실장 "B1벙커 구금지시있었다, 플랜B도 준비"
[256]
ㅇㅇ(222.118) 02.10 9813 82
304057
썸네일
[중갤] '북풍의혹' 무인기...절차 없이 '날림' 도입
[1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8111 80
304056
썸네일
[잡갤] 대책없는 e스포츠 산업, 만성 적자에 시달려.
[733]
공치리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2052 110
30405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축구 역사상 최고로 감동적이었던 장면
[135]
ㅇㅇ(58.127) 02.10 15449 88
304053
썸네일
[미갤] 트랜스젠더가 여성스포츠에 참여하면.txt
[236]
머스크와젠슨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9781 423
304052
썸네일
[주갤] 한녀랑 결혼해서 실시간으로 ㅈ된 하이닉스 블라남 ㄷㄷ
[682]
갓럭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8228 367
304051
썸네일
[일갤] [나만의 일본 최애 장소] 쵸시 지구가 보이는 전망대
[17]
후카사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5314 15
30404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파워레인져 시리즈 등장인물들 특징
[106]
ㅇㅇ(59.22) 02.10 23241 114
304046
썸네일
[잡갤] 선의로 한국을 <유사백인> 취급해준 나라
[163]
공치리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8628 110
304044
썸네일
[바갤] 현직 본토 할리 구경
[47]
Factory96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8293 25
304042
썸네일
[오갤] 살면서 차본 시계들 이야기 (뻘글/쌉스압)
[96]
1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1115 87
304040
썸네일
[정갤] 코카콜라를 이긴 페루의 잉카콜라
[135]
대한민국인디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1055 104
304038
썸네일
[싱갤] 실제로 해보면 의외로 어렵다는 게임
[19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1009 67
304036
썸네일
[잡갤] 베트남에만 있다는 독특한 문화
[232]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8754 75
304034
썸네일
[필갤] Japan, Lomo 400, Capios20 (webp 15pic)
[29]
상반칙불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4843 12
30403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프리저를 20세기 최고의 악당으로 만들어준 작품
[180]
볼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6704 174
304027
썸네일
[u갤] 40,000피트 상공에서 파일럿이 촬영한 흰색 덤벨모양 UFO!!
[40]
u붕이(211.214) 02.10 13604 16
304025
썸네일
[위갤] 8. 보모어 LEGENDARY NO.1 VAULTS WAREHOUSE
[26]
닥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5757 12
30402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댕댕이는 왜 똥을 싸기 전에 빙글빙글 돌까?
[108]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1146 53
304021
썸네일
[카연] (썰만화) 중3때 일진한테 쳐맞고 형한테 꼰지른 썰.manhws
[145]
찔찔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0920 310
304019
썸네일
[U갤] 데이나가 저지들 판정에 불만이 많은 이유...JPG
[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6268 129
304017
썸네일
[잡갤] 남자 키 차이 별로 다른 삶.jpg
[635]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40263 62
30401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Grand Theft Auto 시리즈의 변천사
[4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1103 45
304013
썸네일
[일갤] 다카마쓰~오카야마 알중씹덕혼여 5, 6일차 - 다카마쓰, 오카야마
[18]
gamran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6819 12
304011
썸네일
[정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모두 긁히게 만든 일본인의 트위터
[398]
대한민국인디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32954 187
30400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세계 최연소 영부인
[462]
싱글벙글참치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50572 171
304005
썸네일
[더갤] 극우 유튜버들이 얼마나 빡대가리인지 알아보자....jpg
[1198]
신원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48254 449
304003
썸네일
[국갤] 부정선거 신고했다가 1년6개월 실형 산 이종원씨
[444]
국민의힘(211.241) 02.10 35327 1179
304001
썸네일
[유갤] 짜파게티 6개 먹었다는 박지현 ㄷㄷㄷㄷ
[294]
ㅇㅇ(175.119) 02.10 47669 70
304000
썸네일
[배갤] 2024 이태리 프랑스 가족여랭-3
[27]
배낭은여행여행은배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2318 15
303997
썸네일
[잡갤] 바보 취급받던 조선시대 최고 재력가 청년
[351]
공치리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29623 234
303995
썸네일
[백갤] 양심이 있는건 희철이 뿐
[233]
ㅇㅇ(58.123) 02.10 39856 399
뉴스 ‘2025 사운드플래닛 페스티벌’ 9월 13·14일 파라다이스시티 개최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