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압) 흔히 키우는 식충식물에 대한 간단한 정리

ㅇㅇ(58.238) 2021.07.09 22:45:02
조회 28491 추천 151 댓글 122

viewimage.php?id=39afd523&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e3c2c8567af98bb628844459b7b5ca0b21e2425c4030abd25c812665a7496f20ea0bc11


헬리암포라, 세팔로투스, 귀개류, 달링토니아 등등은 제외함


식충식물을 들여올 생각이 있는 사람들은 참고하도록


1. 끈끈이주걱

이놈들은 서식환경과 그 모양새, 생태가 천차만별인지라 딱 잘라서 쉽다, 어렵다 할 수 없는 놈들이다 직광에 자라면서 동면하는 종이 있는가 하면 1년 내내 풍성하게 자라는 종, 구근상태로 하면하는 종, 겜마를 만드는 종 등등 다른 식충이들과는 다르게 끈끈이 내에서도 차이가 많은 편이다


하지만 그래봐야 식충식물계의 잡초들 답게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종들도 주의사항만 몇 가지 안다면 제법 키울만 하다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끈끈이들은 거의 다 키우기 쉽기 때문에 그냥 저면관수로 때려박고, 동면종인지 아닌지만 구분해서 빛조절이랑 온도조절만 해주면 끝이다


카펜시스(Drosera capensis)라는 종은 가장 구하기 쉬우면서 가장 키우기 쉬운 종이기에 끈끈이 입문하고 싶다면 참고하도록 하자 카펜시스는 동면을 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 직광에 두면 안 되는 종임에도 불구하고 직광에 적응해버리거나 동면종들과 함께 동면해서 그 다음해 봄에 살아나는 미친짓을 보여주기도 한다


빛은 앞서 이야기 했듯이 종마다 요구하는 광량이 다르다 하지만 대부분이 빛을 굉장히 좋아하므로 직광을 선호하지 않는 종이더라도 반차광으로 하루종일 빛을 보여주는 것이 좋다 끈끈이는 뿌리가 약한 편이니 분갈이를 할 때 주의하는 게 좋다 하지만 대부분은 크게 신경쓸 정도는 아니다


잘팍잘팍한 습지에 살기 때문에 저면관수로 길러야 한다 습도는 높을 수록 좋으나 낮은 습도에도 적응하기에 심각하게 낮지만 않으면 상관 없다 빛만 잘 보여주자


토양조합은 대게 수태를 사용하거나 피트모스와 펄라이트조합 혹은 피트모스에 펄라이트 대신 규사를 섞어서 사용하는 편




2. 파리지옥

다양한 종류가 판매되고 있지만 다들 개량종이며, 실제로는 파리지옥속에 포함된 파리지옥은 단 1종에 불과하다 이 한 종을 가지고 씹고 뜯고 맛봐서 나온 돌연변이들이 시중에 떠돌아다니고 있는 것이다 덕분에 생김새나 크기, 색깔은 천차만별이지만 결국 키우는 법은 똑같다


사라세니아와 더불어 미국 남부에 서식하는 식충식물이며, 사라세니아와 함께 식충식물계 광량요구량 끝판왕이다


일반적으로 완전한 직광에서 반나절 이상 지글지글 굽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국제식충식물학회에서는 15000~25000 lux정도의 빛을 약 14시간 보여줄 것을 권장한다


습지에서 살지만, 지나친 수분량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인 저면관수 보다는 매일 윗물관수로 물을 흠뻑 주는 것을 권장한다


번식법은 종자번식, 잎꽂이, 포기나누기 등으로 번식하며 종자번식은 권장되지 않는다 파리지옥은 종자로 번식하면 그 종자가 꽃이 피기까지 3년 이상 걸린다 따라서 3년 이상 기를 매니악한 짓을 할 자신 없다면 종자번식은 포기하고 올라오는 꽃대를 족족 잘라주는 것이 좋다 파리지옥은 꽃대를 올리면서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기에 꽃대는 보통 보이면 잘라주는 편이다


당연하지만 트랩은 건들지 않는 것이 좋다 한 번 닫을 때 에너지 소모가 극심하기 때문이다 솔직히 여기서 소개하는 애들 중 파리지옥이 제일 벌레 못 잡는다


토양조합은 생수태, 수태,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조합 및 피트모스와 규사조합으로 키우는 편이다


습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동면을 하는 종이기에 수 개월가량 가을~겨울철에 동면을 시키는 것이 좋다






3. 벌레잡이 제비꽃

다육식물과 가장 흡사하다 따라서 다육식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함께 키우는 경우가 많다 벌잡도 끈끈이처럼 생태에 따라 주의점이나 사육법이 조금씩 다르다


기온에 따라 동면 비스무리한 것을 하는 종들도 있다 다른 식충이들과 마찬가지로 키우기 전에 종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알아두고 키우도록 하자


저면관수를 지속적으로 할 경우 식물체가 흐물흐물 물러버린다 수태에다 키울 경우 저면관수까지 해버리면 수태가 썩으면서 연부병에 걸릴 수 있다 대체로 내건성이 있는 친구들이라 식충식물은 무조건 습지에서 습하게 자란다는 통념과는 다르게 수분조절에 신경써야 한다


어느정도 토양이 마르면 1~2cm수준으로 얕게 저면관수 하거나 윗물관수 하는 식으로 조절하면 된다 한마디로 토양 수준을 '약간 축축히'유지하는 선에서 기르는 게 좋다 그렇다고 습도를 너무 낮게(20%도 안 될 정도로 심하게 낮게) 유지하면 말라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종에 따라서 반대로 높은 습도에 말라죽는 경우도 있으니 대체로 적당한 습도를 유지할 것을 권장한다


직광 말고 반차광으로 충분히 빛을 보여주는 것을 권장한다


벌레잡이 제비꽃속에 속한 모든 종은 절대로 토양에 살충제를 사용해선 안 된다 바로 죽어버린다고 한다 잡충 안 꼬이게 주의하자


벌잡은 토양의 질소를 다른 식충식물들에 비해서 잘 활용하여 사용하는 편이고, 다른 식충이들과 다르게 산성이 아닌 알칼리성 토양을 선호하는 면도 없지않아 있다 그러다보니 벌잡에게 맞는 토양에 관해서는 아직도 논쟁이 많이 일어나는 편이다 수태,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및 규사 조합도 좋지만 종에 따라 맞지 않는 종도 있다고 하니 주의바란다






4. 사라세니아

미국에서 서식하는 식충식물이며 사육법은 파리지옥과 가장 유사하다 깍지벌레류 및 응애류에게 피해를 가장 많이 보는 종이기도 하다 주의해서 키우도록 하자 사라세니아에만 피해를 주는 나방과 딱정벌레류도 따로 있을 정도이다(물론 우리나라에는 없다)


사육법은 저면관수로 사육한다 파리지옥과 마찬가지로 동면을 시켜야 하며 노지에서 키우는 사람들은 온도만 대충 죽지 않을 정도로 맞춰주면 한국의 4계절에 맞춰서 잘 크는 종이기도 하다


서식지에 따라서 종마다 온도에 따른 민감도가 다른 편이다 미국 농무부에서 낸 식물의 내한성 구역(Plant Hardiness Zone)에 따른 최저기온 통계 자료가 있는데, 그 자료를 바탕으로 내가 키우는 사라세니아가 어디 구역(zone)에 속해있는지 미리 알고 동면온도 설정에 힘쓰는 것이 좋다


파리지옥과 마찬가지로 많은 광량을 요구한다 요구하는 광량은 파리지옥과 마찬가지로 15000~25000 lux에서 12~16시간 노출시켜주는 것이 좋다


습도는 대충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은 50% 가량이 좋다 자연상태의 사라세니아처럼 반들반들하고 튼튼하면서 색깔도 잘 물들이려면 직광을 자주 보여줘야 한다


다른 식충식물들 처럼 조건만 맞으면 엄청 잘 자란다 토양은 똑같이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내지 규사조합을 사용하거나 수태를 사용하는데, 종에 따라서 완전 생수태에다가 사육하기도 한다


곰팡이와 통풍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죽어서 말라버린 포충낭은 제거해주는 것이 좋다




5. 네펜데스

식충식물계의 끝판왕이자 종착점 정도라 할 수 있다 어지간한 온실공간이 확보되지 않았다면 키우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난이도는 종에 따라서 천차만별이며, 대게 성장속도가 느린 편에 속한다


책임감이 있는 사람이라면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아주 충분한 크기의 온실을 구비하고, 거기에 맞게 소수정예로 기르는 것이 이롭다


목질화가 진행되는 덩굴식물의 일종이기에 대부분의 종들은 다 자라면 포충낭을 제외하더라도 덩치가 아주 커지고, 위로 자라는 종들은 3미터 이상까지도 올라간다


재배를 할 때 고산종과 저산종으로 나누어서 온도를 따로 관리해주는 편이다 키우는 네펜데스가 저산종인지 고산종인지 확인하고 키워야 하며 고산종은 대략 13~27도, 저산종은 15~30도 이상의 환경에서 재배한다 고산종은 보통 해발 1500미터가 넘는 곳에서 사는 종들을 의미하며, 저산종은 0~1500미터의 부근에서 서식하는 종을 의미한다


고산종 중에서도 해발 2000~3000미터 이상에서 서식하는 네펜데스들을 따로 초고산종네펜데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네펜데스이자 식충식물 중 하나인 네펜데스 라자도 초고산종에 속해있으며, 보통 초고산종 네펜데스들은 성장속도가 무서울 정도로 느리고 아주 낮은 온도와 아주 높은 습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굉장히 키우기 어렵다 네펜데스 라자가 꽃이 피기까지 10년 이상 걸린다는 것은 유명하다


습도는 무조건 높게 해주어야 한다 종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80%이상의 습도는 유지해야지 포충낭을 뽑는다 습도가 조금이라도 낮으면 포충낭을 뽑지 않는다 권장 습도는 종을 따지지 않고 무조건 90%이상~99%정도이다 습도가 높은 만큼 매일 통풍에도 신경써야 한다


네펜데스의 서식지는 울창한 나무들로 뒤덮여있기 때문에 직광에서 키우면 타들어가기 일쑤이다 반차광의 빛으로 충분히 오래 빛을 보여주어야 한다 식충식물 중에서도 빛의 요구량이 낮은 편이지만, 그렇다고 음지에서 키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네펜데스도 빛을 엄청 좋아한다


네펜데스는 아시아의 열대지역과 일부 아프리카지역(마다가스카르)에 약 80~100여종 이상이 서식하며 서식지가 달라도 서로 교잡이 가능하기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엄청난 수의 교잡종들이 존재한다(물론 자연교잡종도 있다) 교잡종은 원종의 엄마 아빠의 특징을 절반씩 물려받았기에 화려하면서도 팔뚝보다 굵은 포충낭을 뽑는 놈들도 있다


네펜데스의 교잡종은 잡종강세를 보이기 때문에 처음 네펜데스를 키우는 사람들은 교잡종을 키우는 것을 추천한다 가장 유명하고 키우기 쉬운 교잡종은 화원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네펜데스 벤트라타이다(네펜데스 벤트리코사와 알라타의 교잡종) 보기에는 밋밋해보이지만 상황에 따라 직광에도 적응하고(추천 안 함),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에도 포충낭을 뽑는 등 네펜데스 답지 않은 엄청난 적응력을 보유하고 있다


네펜데스는 뿌리통풍이 중요하기에 구멍이 숭숭 뚫린 화분에 수태를 넣고 키우는 것이 좋다 피트모스에도 키울 수 있으나 권장되지는 않는다 보통 수태에 펄라이트, 규사, 질석, 바크 등을 취향에 맞게 넣거나 빼면서 토양조합을 맞추는 편이다 생수태에도 많이 키운다 매일 한 번씩 윗물관수를 해주는 것을 추천한다


민감한 종은 분갈이할 때 죽어버리기도 한다 주의하자 번식법은 줄기를 잘라서 꺾꽂이 하거나 뿌리번식( 많이 자란 네펜데스가 새끼촉을 하나씩 뽑아냄), 종자번식을 한다 꺾꽂이나 뿌리번식 외에 종자번식은 미리 포기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


공통


식충식물은 비료를 주어야 하는가?: 보통 안 주는 게 맞다 대부분 안 줘도 된다고 생각하겠지만 종에 따라서 아주 약간씩 주는 경우도 있다 네펜데스의 경우 약간이라도 비료가 과하면 포충낭을 작게 뽑기도 한다 걍 비료는 안 주는 게 좋다 비료 대신 곤충을 잡아주는 것이 훨씬 이롭다


식충식물에게 벌레를 주어야 하는가?: 안 줘도 전혀 상관 없다 온도와 습도, 토양, 광량이 가장 중요하다 집에 날아들어온 날파리들을 간혹 잡는 수준으로 충분하다 따로 먹이를 주고 싶다면 어류먹이용으로 파는 말린 붉은장구벌레나 조단백이 많이 함유된 건조사료(물고기사료를 많이 씀)를 구매해서 주는 게 좋다 살아있는 곤충이나 고기류는 쉽게 상하거나 곰팡이가 생길 수 있다 끈끈이류는 사료나 건조식품을 빻아서 뿌리거나 물과 섞어서 스포이드로 한 방울씩 묻혀서 주면 되며, 네펜데스같은 친구들은 그냥 포충낭에 넣어주면 된다 먹이를 많이 준다고 해서 식물자체에게 부담이 가지는 않지만, 먹이가 가득 잡힌 포충낭이나 잎은 빨리 시드는 편이니 관상이 목적이라면 알아서 조절해주자


식충식물은 아무 물이나 써도 되는가?: 식충식물에게 줄 물은 따로 구별하는 것이 좋다 수돗물보다는 필터로 확실하게 미네랄까지 걸러버리는 정수기물을 주는 것이 좋다 요새 정수기는 중공사를 사용하지 않고,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미네랄까지 걸러버린다 사람에게는 그닥 좋지 않겠지만 양분을 좋아하지 않는 식충식물에게 정수기물만한 것이 없다


식충식물은 벌레를 잘 잡는가?: 개호구다 관상용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나마 경험상 네펜데스처럼 유인해서 포충낭 안에 있는 소화액으로 곤충을 빠트리는 종들이 벌레를 잘 잡는 편이다 그런데 차피 네펜데스는 온실에서 길러야 하기에 사실상 무쓸모다 그냥 에프킬라 뿌리자









출처: 식물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51

고정닉 40

12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308965
썸네일
[군갤] 우크라이나 광물협정 전문
[433]
KC-46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7229 48
308963
썸네일
[프갤] 프로젝트kv 사태 넥슨 공식 입장문 떴다
[277]
블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7845 84
308962
썸네일
[야갤] 한인 2명도… 미성년자와 성매매하려던 남성들 美경찰에 체포
[392]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0851 118
308960
썸네일
[싱갤] 궁금궁금 사람들이 잘 모르는 아톰 마지막회
[132]
아카식레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7036 127
308957
썸네일
[잡갤] 다이나믹듀오 최자에게 이름 왜 그렇게 지었는지 직접 물어본 거미
[134]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0883 58
308956
썸네일
[군갤] 北, 전사자 시신 인계 거부…'냉동·분쇄' 빙장 설비 찾는다
[3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9187 121
308954
썸네일
[디갤] 이집트 정리 1편
[27]
장안동영화학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5404 15
30895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캐나다 이민 13년 차 간호사가 미국으로 떠나는 이유.jpg
[378]
최강한화이글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9441 189
308951
썸네일
[이갤] 마은혁 인용
[360]
환율경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8213 105
308950
썸네일
[정갤] 화산에서 태어나는 새, 말레오
[96]
대한민국인디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2975 95
308948
썸네일
[카연] 스압_[연재중단 1~3화]_'꿈을 이뤄주는 화실'
[13]
문작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4132 10
308946
썸네일
[기갤] sbs 한동훈 책 발간 뉴스
[1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1697 171
308944
썸네일
[중갤] 여당, 개헌특위 출범... 야당 "논의 없을 것"
[81]
목련피는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7327 33
308942
썸네일
[미갤] 2월 27일 시황
[32]
우졍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7987 27
308940
썸네일
[새갤] 임성근, 전역 날 채상병 묘역 참배
[24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4507 64
30893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카레국 형제싸움촌
[58]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5661 44
308938
썸네일
[전갤] '최고 실세' 머스크... 각료회의서 내놓은 발언.jpg
[252]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7553 106
308936
썸네일
[코갤] 아이폰, '인종차별주의자' 말하면 '트럼프' 답신
[132]
ㅋ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3770 67
308935
썸네일
[해갤] 오늘자 교체 출전 손흥민 맨시티전 경기 장면 모음...gif
[210]
메호대전종결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0795 548
30893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게임속 명장면들.jpg
[217]
ㅇㅇ(1.233) 02.27 35224 141
308931
썸네일
[러갤] 이집트가 FA-50 구매를 추진하는 이유
[149]
배터리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5921 101
308929
썸네일
[향갤] [인터뷰] 아멜리 부르주아는 어떻게 향수를 만들노?
[17]
안태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5888 19
308927
썸네일
[중갤] 스페이스 마린 군단 이야기.txt
[89]
BBiyag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2032 50
308923
썸네일
[디갤] 눅눅한 대만 투척
[48]
거북이비행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0744 35
3089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시위대에게 복수하는 방법
[19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5468 304
308919
썸네일
[러갤] 러시아 경제상황 정산
[440]
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3287 134
308917
썸네일
[닌갤] 도트맛 커비 시리즈별로 그림
[46]
57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1049 151
308915
썸네일
[누갤] 다케시의 편집이 뛰어난 이유 (스압 주의)
[58]
누붕이(59.23) 02.27 9025 44
308913
썸네일
[인갤] 스팀 2월 넥스트 페스트 데모 7개 리뷰
[36]
라우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9621 26
308911
썸네일
[싱갤] 곰팡이에 기생하는 식물들: 균류종속영양식물
[29]
ㅇㅇ(168.188) 02.27 9888 30
308909
썸네일
[잡갤] 황태 해장국,황태식해 먹어본 에드워드 리
[94]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5822 55
308907
썸네일
[인갤] 첫 게임잼 참가 후기
[21]
sundo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9354 18
308905
썸네일
[디갤] 제목없음 (22장)
[19]
do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6758 12
30890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여자의 소비는 남자의 능력
[27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31622 73
308899
썸네일
[미갤] 더본 코리아 주식 물린 사람의 분노
[510]
ㅇㅇ(185.236) 02.27 60931 510
308897
썸네일
[카연] 접시 하나
[68]
차루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5712 30
308895
썸네일
[유갤] 성기가 작은 남자 인터뷰...jpg
[747]
ㅇㅇ(185.253) 02.27 77403 186
308894
썸네일
[주갤] 결정사에서 나이로 깐다고 난리난 여시글jpg
[476]
관심종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47625 353
308891
썸네일
[미갤] 비교비교 전한길 강사가 말하는 인스타그램,SNS의 무서움 JPG
[347]
ㅇㅇ(218.232) 02.27 38801 346
30888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덕트 테이프만 가지고 무인도에서 살아남기
[131]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7815 96
308887
썸네일
[디갤] 3월에 전시함 (40장)
[17]
ㅋㄹㄹㅇ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3010 20
308885
썸네일
[토갤] 찾으시는 희귀한 토갤에 나만있는 토이
[76]
라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19243 43
308883
썸네일
[아갤] 금붕어 오늘 수술하고옴 (마지막에 기생충사진 있음)
[257]
끽끽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2415 191
308879
썸네일
[백갤] 뿌가 첫예능 '해결! 돈이 보인다' 실체
[28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34822 700
308877
썸네일
[프갤] 페이커 마우스 이야기
[121]
상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1490 81
308875
썸네일
[잡갤] 외국인 친구들 나오는데 파트리샤 나오는거 보고 깡생수 들이키는 조나단
[98]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6 24646 67
308871
썸네일
[몬갤] x5년 출시 몬헌 패키지 떴다ㅋㅋㅋ
[76]
조끼게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6 26457 73
308869
썸네일
[배갤] 유럽여행4 잘츠부르크 할슈타트
[36]
니콘3세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6 10186 21
308867
썸네일
[카연] 썰) 연애를 못 하게 된.manhwa
[68]
응안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6 19115 56
30886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트황상.....동맹국 조지기......jpg
[61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6 37272 335
뉴스 박우진, 쿨하거나 핫하거나…콘셉트 포토 속 상반 매력 디시트렌드 18: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