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블라)어린여자만나는건 또래한테 걸러진거라는 블줌마들 블라탐험가페페
- 황당) 대만에서 빌딩에 낙서하다 체포된 일본 선수들 난징대파티
- 한덕수 대선 출마 결심, 대정부질문 일방적 불출석 도운
- (여장주의) 총수 코스프레 해봤음 잡이
- 현재 국내 쓰레기 단속 근황 ㄷㄷ ㅇㅇ
- 오싹오싹 가족 어린이 애니메이션 ㅇㅇ
- 러시아 드론병이 되어보자.kamikaze 불쌍한지미
- 해외의 여러가지 스팸 종류 ㅇㅇ
- 와이프는 왜 고마움을 모를까? (+ 여초 반응) ㅇㅇ
- 여자들이 생각하는 크기의 중요성 ㅇ..ㅇ
- [관파박] 관상어파충류박람회 후기 -올인원- Gulttu
- 서부지법 폭도범들 오늘 재판과 최근 근황 나무
- 너네라면 너네 싫다는 예비시엄니 설득해서 결혼할거야...? ㅇㅇ
- 해상자위대 쿠레 기지 다녀왔습니다 Le85RP96mx
- 무당이 일상물 그리라고 권유한 manhwa 김밍자
싱글벙글 호랑이 vs 사자 전투력 객관적 비교
1. 치악력 수컷 호랑이 평균 송곳니 길이: 58.43mm 수컷 사자 평균 송곳니 길이: 51.58mm 호랑이(치악력)475kg : 사자(치악력)300kg 호랑이 승 1:0 2. 힘 "사자의 뒷다리 힘은 호랑이의 66%, 앞다리 힘은 호랑이의 70% 밖에 되지 않는다" 상체 힘이 더 쎄다고 하는 좆자충 논리 컷 호랑이 승 2:0 3. 체급 가장 큰 사자인 카탕가 사자 평균 체중 193kg 네팔 치트완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벵골 호랑이 평균 체중 235kg 흔히 인터넷에서 짤방으로 돌아다니는 호랑이 팔근육 주인공이 바로 네팔의 벵골 호랑이다. 근육과 골격만으로 저정도 체중을 찍은 인자냥이 호랑이 승 3:0 4. 전문가 발언 서울 동물원 부장 피셜 호랑이 승률 90% 크레이그 삽포: 대결의 내기를 해야한다면 호랑이쪽에 검 "개인전은 호랑이가 이김" 실제 콜로세움에서는 대부분 호랑이가 이겼다고함 4:0 5. 두뇌 호랑이 승 5:0 그저... 좆자
작성자 : 개판1분전고정닉
신기신기 근대 일본의 외모 올려치는 방법
일본 메이지 시대의 사진 보정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존재한다.첫 번째, 현상 단계에서 보정하기두 번째, 초상화를 사진으로 위장하기현상 단계에서 보정하는 방법은 원시적인 포토샵이라고 보면 된다. 바늘 등 뾰족한 물체를 이용하여 필름을 긁거나 덧칠하면 눈을 크게 만들거나 콧대를 높게 만들거나 주름살을 없애는 등의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메이지 시대의 원시적인 사진 보정 방법초상화를 사진으로 위장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리얼한 그림을 그린 다음 흑백 사진으로 촬영하면 끝이다.첫 번째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메이지 덴노다.위 사진은 일본에서 메이지 덴노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모습이다.메이지 시대 때 프로파간다 용도로 정말 많이 쓰인 사진이라 세계적으로 '메이지 덴노'를 말할 때 거의 빠지지 않고 인용되는 사진이기도 하다. 한국 언론이나 서적에서도 메이지 덴노의 모습으로서 많이 인용된다.그런데 사실 위 사진은 사진이 아니다.아니, 엄밀히 말해 사진은 맞는데, '초상화를 사진으로 촬영한 것'이다. 즉, 메이지 덴노의 실물 사진이 아니다.그럼에도 저 '초상화를 사진으로 촬영한 것'은 '덴노의 실물을 담은 어진영'으로서 당시 일본 전역의 관공서와 학교에 배포되었고, 당대 일본인들은 당연히 천황폐하의 실물이라 생각하며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심지어 불이 났을 때 저 어진영을 빼내려다 탈출하지 못하여 죽은 사람이 미담으로써 기사에 실린 적도 있었다.그렇다면 메이지 덴노의 실물은 어땠을까?이게 진짜 메이지 덴노의 실물 사진이다.이쯤 되면 사실상 재창조 수준으로 실물과는 다른 초상화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도대체 그린 사람이 누구일까? 그린 이는 이탈리아의 화가 에도아르도 키오소네라는 사람이다.에도아르도 키오소네그린 방법도 상당히 재미있는데, 자기 모습 위에 메이지 덴노의 얼굴을 덧대어 그린 것이다.실제로 메이지 덴노의 예복을 빌려 입은 키오소네가 자기 모습을 촬영한 후 그 위에 덧대어 그린 것이라 한다. 이 덧대어 그린 유화 컬러 초상화를 흑백 사진으로 촬영하여 어진영을 만든 것.그렇다면 뭐 하러 이런 방식으로 덴노의 어진영을 만든 것일까?설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1번 - 메이지 덴노가 사진 촬영을 극도로 싫어해서 어쩔 수 없이 초상화를 그리게 하여 그걸 사진으로 촬영했다는 것.2번 -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첫 덴노로서 당당하고 위엄에 찬 모습으로 이상화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일부러 미화했다는 것.솔직히 1번은 다소 억지스러워 보인다.메이지 덴노가 사진 촬영을 싫어하지 않았다는 게 아니라, 사진을 극도로 싫어해서 촬영하지 못했다면 실물 사진이 아예 남아있지 않아야 하는데, 엄연히 실물 사진들이 남아있다.또한, 누가 봐도 실물과는 확연히 다른 초상화를 '어진영'으로 배포했다는 것부터 일부러 미화했다는 논란을 피할 수는 없다.그린 사람은 에도아르도 키오소네지만, 그걸 일본 전역에 퍼뜨린 건 일본 정부였다.애초에 사진을 극도로 싫어해서 도저히 촬영이 불가능했다면 실물과 똑같은 초상화를 촬영하면 되지, 뭐 하러 실물과 닮지도 않은 초상화를 촬영했겠는가?실제로 메이지 덴노의 실물과 유사하게 그린 당대 초상화는 존재한다.메이지 덴노의 실물과 가깝게 그린 당대 초상화.위 초상화를 보면 알 수 있지만, 당대에도 얼마든지 실물과 유사하게 그리려면 그릴 수 있었다. 그런데 저 초상화는 어진영으로 배포되지 않았고, 키오소네가 그린 초상화가 어진영으로 배포되었다. 정말 외모 올려치기의 의도가 없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키오소네가 그린 초상화는 1910년 일본에서 발매된 한일합방 기념우표에도 메이지 덴노의 모습을 보여주는 용도로도 쓰였다. 왼쪽은 순종의 사진이다.메이지 덴노 외에도 초상화가 '실물 사진'인 것처럼 널리 알려진 일본의 근대 인물들은 꽤 많은데, 대표적으로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가 있다.위 이미지는 사이고 다카모리의 모습이라 널리 알려진 사진이지만, 사실 사진이 아니라 초상화다. 그리고 우연찮게도 메이지 덴노와 똑같이 에도아르도 키오소네가 그렸다. 키오소네의 사이고 초상화는 후에 여러 작가들에 의해 재생산되며 일본 대중에게 사이고의 모습으로서 각인되었다. 다만, 사이고 다카모리의 경우는 메이지 덴노와 달리 비교할 실물 사진이 단 1장도 남아있지 않아서 얼마나 외모가 보정되었는지 알 길이 없다.위 이미지들은 오쿠보 도시미치의 모습으로 널리 알려진 것들인데... 이것들도 다 초상화를 사진으로 촬영한 것들이다. 사실 자세히 보면 다 그림 티가 난다. 첫 번째 이미지의 귀 부분, 두 번째 이미지의 중안면부와 옷 등. 두 번째 이미지는 초상화를 촬영한 사진에 한 번 더 콧대를 높이는 등의 보정을 더했다는 얘기도 있다.이게 오쿠보 도시미치의 실물 사진이다. 초상화를 촬영한 사진들과는 다르게 질감과 경계 등에서 어색한 부분이 전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1줄 요약근대(메이지) 일본인의 사진은 서양식 미화 듬뿍 들어간 초상화가 아닌지 의심해라.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