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압)작년 87점 받은 사람 면접 후기래모바일에서 작성

ㅇㅇ(180.64) 2025.04.07 23:02:50
조회 316 추천 0 댓글 9

교정직 면접후기

+ 오전조

+ 면접 총평/분위기 : 면접관 두 분 모두, 제가 질문을 못 알아듣고 동문서답해도 인상을 안 쓰시고, 중간에 말 끊지도 않으시는 등 친절하셨습니다. 면접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에어컨을 가동해서 실내가 시원하다고 했으나, 막상 가보니 본인 기준으로 그닥 시원하지 않았음.

면접관들 목소리가 잘 안 들린다고 해서 걱정했으나, 면접하는 내내 잘 들림.

남자 면접관 2명. 본인 기준 왼쪽 면접관은 40대 초반 정도로 보이고, 오른쪽 면접관은 50대 정도로 보임. 왼쪽 면접관은 농담도 하시고 잘 웃어주심. 오른쪽 면접관은 무덤덤하심. 왼쪽 면접관을 면1, 오른쪽 면접관을 면2라 함.

글로 쓴 것과는 다르게 실제로 말할 때는 버벅거리고, 주술관계도 안 맞게 말하기도 함.

어느 정도 기억왜곡이 있을 수 있음.

입장 후 ~

[5분 : ]

—————

ㅇ5분 발표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제시문 요약을 해보겠습니다. 제시문은 ~~한 내용입니다. 저는 상피제의 ~~부분에서 청렴성을 유추하였고, 상피제 제도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공정이기 때문에, 공정성이라는 공직가치를 유추하였습니다.

첫 번째, 청렴성은 국민신뢰의 기반으로, 사회재통합과 국가경쟁력 제고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중요한 공직가치입니다. 청렴성은 어떠한 사적이익이나 청탁에 유혹되지 않는 것입니다. 청렴성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으로는 내부정보를 이용해 사적이익을 탐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를 어긴 대표적인 사례가 올해 LH의 부동산 투기 사건입니다. 수용자의 교정교화를 위해서는 교도관이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청렴성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수용자들이 교정교화에 대해 받아들이기 힘들 것입니다. 다음은 관련 사례입니다.

조선시대에 맹사성은 당대 최고 벼슬인 우의정까지 올라갔음에도, 재물을 함부로 탐하지 않아 집이 가난했습니다. 이 때문에 많은 관리들과 백성들의 귀감이 되었습니다.

순천교도소는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직사회의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공정한 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청렴실천 결의대회를 가졌습니다.

반면 안 좋은 사례도 있었습니다. 올해 대전교도소 전 간부가 내부정보를 이용해 대전교도소 이전 예정지에 아내 명의로 부동산 투기했다는 의혹이 있었습니다.

두 번째, 공정성은 모든 업무는 신중히 검토하고 행정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처리하는 것입니다. 교도관은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업무를 수행합니다. 이때 명심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법불아귀, 법은 귀한 자에게 아첨하지 않고, 승불요곡, 먹줄은 굽은 것을 따라 휘지 않는다, 한비자가 법의 형평성, 공정성을 강조하며 한 말입니다(이때 오른쪽 면접관분이 종이에 뭐를 적으심). 교정교화를 위해 교도관은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정성이 필요합니다. 공정하지 못하면 수용자들이 교정교화에 대해 받아들이기 힘듭니다. 또한 제가 알기로는, 수용자들은 불공정한 대우를 받는 것을 싫어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음은 관련 사례입니다.

인천교통공사는 ‘2020년 공정채용 블라인드 채용 우수사례 경진대회’ 행정안전부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학벌이나 스펙 중심의 서류전형에서, 직무기술서를 기반으로 한 직무능력만으로 지원자를 평가해 직무능력 중심의 선발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채용 전 과정을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채용비리를 사전에 예방하였습니다. 정부가 지방공기업 블라인드 채용제도 도입을 권고하기 1년 전인 2016년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해 적용하였고, 그 이후로 채용비리 0건을 달성하였습니다.

제가 교도관이 된다면, 위에 언급한 청렴성과 공정성을 지키는 교도관이 되겠습니다.

-—————

면2: 왜 공무원한테 청렴성이 중요할까요?

나: 청렴성은 국민신뢰의 기반으로, 사회재통합과 국가경쟁력 제고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무원은 국민의 세금으로 월급을 받고, 공무원 조직 역시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무원은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면1: 현대판 상피제를 시행했을 때, 문제점과 불만 사항이 발생할 수 있어요. 그래서 반대 하는 사람들이 존재할 수 있어요. 이 사람들을 어떻게 설득할 수 있을까요?

나: (관련 사례로 숙명여고 사건을 설명. 질문을 잘못 이해하고 동문서답함)

면1: 아 그게 아니라, (질문을 다시 해주심)

나: 아 죄송합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 현실에서 교육의 최종 목적은 대학 입시고, 대학 입시에는 공정성이 중요하므로 어느 정도 불편해도 이해해달라고 할 것 같습니다.(정확히 뭐라 말했는지 기억이 잘 안 나네요)

면1: 또 설득할 방법이 있을까요?

나: (뭐라 말했는지 정확히 기억이 안남. 더 좋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 현대판 상피제가 필요하다, 이런 식으로 말했던 것 같네요)

면1: 현대판 상피제와 관련한 불편 사항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나: (교사인 부모가 근무하는 학교에 자녀가 학생으로 있는 경우, ‘자녀의 학년, 부모인 교사의 담당 학년을 서로 다르게 한다’는 식으로 답함)

면1: 아까 청렴성 관련 사례 중에서 언급된 교도소가 어디였죠? 춘천이었나요, 순천이었나요?

나: 순천교도소입니다.

면1: 청렴성 관련 사례로 순천교도소에서 청렴실천 결의대회를 했다고 했는데, 순천교도소만 했을까요, 아니면 다른 교도소들도 전부 했을까요?(웃으며)

나: 다른 교도소들도 전부 했을 것 같습니다.

면2: 지원자가 보기에, 현재 교정행정에서 어떤 점이 불공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면접 후반에 질문하심)

나: 재력과 권력이 있는 수용자에게 특혜가 주어지는 경우가 있다는 점입니다. 이 특혜로는 가석방 등이 있습니다.

면2: 맞다.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어제 뉴스에서 발표되었듯이, 그 분의 가석방이 확정되었다.(이름을 언급하셨으나, 혹시 몰라서 그 분이라 썼습니다. 누구인지 다 아실 겁니다)

[직무형 : 희망 부처/업무 & 노력 경험]

—————

□ 1. 근무하고 싶은 부처

보안과, 직업훈련과, 사회복귀과

2. 담당하고 싶은 직무(정책)

1)취업, 창업 지원 프로그램

2)가족관계 회복 프로그램

3. 평소 준비한 노력과 경험

1)관련 영상 시청

드라마 ‘슬기로운 감빵생활’, 예능 ‘착하게 살자’, ‘유퀴즈 온 더 블록’ 교도관 출연 부분, 영화 ‘그린 마일’, ‘하모니’, 다큐, 현직자 인터뷰, 유투브 교도소 24시 채널 구독

2)필기시험 준비 때부터 운동을 하며 체중 감량. 이후에도 꾸준한 운동을 통해 체중 유지, 체력관리

3)월간 교정 구독, 교정작품 쇼핑몰 보라미몰 방문. 교정본부 홈페이지 방문

4)교정학개론 공부

4. 관심있는 정책

1)취업조건부 가석방, 소망의 집, 희망센터

—————

면1: 보니까 관련 영상으로 드라마, 영화 등을 많이 보셨네요. 드라마나 영화에서 교도관들은 뇌물 받고 편의를 봐주는 등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래서 인식이 안 좋은 경우가 있어요. 교도관 인식을 개선할 방법에 대해 생각해본 것이 있나요?

나: 제가 교도소24시에서 ‘드라마, 영화에서 교도관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장면들에 대해 팩트체크하는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다. 이렇게 팩트체크하는 영상을 만들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면1: 다른 개선할 방법이 있나요?

나: 경찰관, 소방관들의 경우를 보니, 몸짱 경찰관과 소방관들이 바디프로필 사진을 찍고, 그 사진들로 달력을 만드는 것을 보았습니다. 교도관들도 마찬가지로 몸짱 교도관들이 바디 프로필 사진을 찍고, 그 사진들로 달력을 만들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교도관들이 수용자 관리를 위해 이렇게 자기관리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점을 국민들에게 알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면1: 또 개선할 방법은 있을까요?

나: (‘잠시 생각할 시간을 주시겠습니까’라고 말한 후) 드라마나 영화에서 교도관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은데, 연출하는 감독들에게 이렇게 부정적으로 묘사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할 것 같습니다. 아무리 영화라도 너무 현실과 다르고, 너무 지나친 점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사를 통해서 ‘이런 점은 현실과 다르다’고 국민들에게 알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집에 가면서 다시 생각해보니, 공직가치 중 투명성이랑 연관시켜 말할걸 그랬네요)

면1: 가고 싶은 부서에 보안과, 직업훈련과, 사회복귀과을 적었는데 보안과는 왜 적은 건가요?

나: 보안과에서 근무를 하면, 수용자와 밀접 접촉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용자와 접촉하면서 수용자의 성격, 특징, 가족상태, 개인 상황 등을 파악하고, 이 점들을 직업훈련과, 사회복귀과에 근무하면서 활용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면1: 직업훈련 부분에 대한 내용을 많이 적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나: 아무래도 수용자가 출소 후 사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경제력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면2: 노력한 경험 중에서 힘들었던 부분은 무엇이며, 그 힘든 것을 어떻게 극복했나요?

나: 체중감량이 제일 힘들었습니다. 특히 가장 힘들었던 점은 식단관리였습니다. 일주일에 한번 정도는 제가 먹고 싶은 만큼 마음껏 먹고, 다음에 운동할 때 평상시보다 더 많이 운동했습니다.

면1: 필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왜 체중감량을 했나요?

나: 필기 후 체력시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면1: 본인의 장점은 무엇이며, 이 장점이 교도관 업무에 어떻게 도움이 될 거 같나요?

나 : 저의 장점은 끈기, 참을성, 인내심입니다. 교도관은 교대근무를 하고, 야간근무를 하기 때문에 체력적으로 힘든 점이 있는데, 이것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면1: 수용자의 인권과 관련하여, 수용자가 할 수 있는 구제수단은 무엇이 있나요?

나: 사법적 구제수단으로는 민사소송, 형사소송 등이 있습니다. 비사법적 구제수단으로는 소장님 면담, 청원 등이 있습니다.


면1: 보니까 두 개의 경우를 모두 적었는데, 어떻게 대처하겠다는 건가요?(제가 애매하게 적어서 질문하신 것 같습니다)

나: 먼저 자살, 자해 시도 우려 정도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대처하겠습니다.

면1: 자살, 자해 시도 우려 정도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할거죠?

나: 1~2주 정도 관찰하면서 수용자의 자살, 자해 시도 우려 증상을 상세히 기록하겠습니다.

면1: 법에 따르면 독거수용과 혼거수용 중 어떤 수용 방식이 원칙인가요?

나: 독거수용이 원칙으로 알고 있습니다.

면1: 혼거수용을 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 말해보세요.

나: 독거실 부족 등 시설여건이 충분하지 아니 한 경우, 수용자의 생명 또는 신체의 보호, 정서적 안정을 위한 필요한 경우, 마지막으로 수형자의 교화 또는 사회복귀를 위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면1: 전자영상장비 계호를 할 수 있는 경우는 무엇일까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잘못하면 바로 인정하고 사과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07 - -
AD 해커스 공무원·경찰·소방·임용 인강 100% 무료 운영자 25/04/08 - -
공지 교정직 갤러리 이용 안내 [55] 운영자 17.08.30 163487 32
공지 오늘 김지훈 면접특강다녀온 썰 [63] 방귀대장뿡뿡이(117.111) 17.06.18 145100 156
공지 교도관 월급체계글이 없으니 내가 올려본다. [52] 교도:7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2.12 118541 132
공지 교정직 실기시험 가이드 [55] 교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1.10 155525 167
1464813 '〔속보〕 현재 난리 난 테무 대란 요약.jpg 9 교갤러(211.222) 04:38 0 0
1464812 체학 매일 가는거 vs 주 2-3회 가는거 ? [1] 교갤러(125.131) 04:35 15 0
1464811 우리나라 공무원의 최대문제점 교갤러(211.230) 04:35 20 0
1464809 영어 50점이면 진지하게 단어만 파라 [2] 교갤러(118.235) 04:32 28 0
1464807 부산사나이없냐 -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0 0
1464806 합격유력권들 포기하지마라 ㅇㅇ(112.151) 04:28 23 1
1464805 영어노베야 너는 [5] 윌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6 54 0
1464803 아침 40분 뜀박질 하고옴 [2] 교갤러(175.196) 04:24 34 1
1464802 형들 방금 운동장 5바퀴돌앗는데 교갤러(211.118) 04:23 30 1
1464799 오늘 체학가서 테스트 했는데 가능성 있는 건지 좀 봐줘 [3] 교갤러(125.131) 04:16 70 0
1464798 30분 자다 깼는데 [1] 윌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34 1
1464797 노베 천일문 첫장부터 막혔는데 우짬 [4] ㅇㅇ(59.16) 04:15 46 0
1464795 27살인데 [3] 교갤러(211.55) 04:12 41 0
1464792 너무 억울함 [6] 교갤러(211.230) 04:07 88 0
1464791 77점인데 그동안 고마웠어요 [4] ㅇㅇ(117.111) 04:06 116 2
1464790 교갤 최고령 오공 4시간 완. 92년졷소똥시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5 30 0
1464787 공시가 진짜 잔인한 이유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54 144 0
1464784 79단 구원받는 시나리오는 하나 뿐이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9 42 0
1464783 떨어진 얘들아 내생각엔 [1] 무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9 90 4
1464781 무희야 진짜 힘내라. [5] 윌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43 106 0
1464778 시험 전엔 오전 8시에 잣는데 -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39 35 0
1464772 올 해 영어 단어빨로 몇문제 맞힐 수 있었음?? [11] 깐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0 149 0
1464767 벌써 3일이 지났네 ㅎㅎ [8] 교갤러(106.102) 03:04 137 0
1464761 근데 생각보다 시험장에 [9] 윌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47 237 0
1464757 32살 노베 지금부터 시작한다 [2] 교갤러(14.36) 02:44 115 1
1464755 80단, 전공 낮은 81단들 교갤러(211.118) 02:40 92 0
1464753 앞으로 새벽 행동대장은 [1] 윌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36 86 0
1464751 79단 라면 먹는 중이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35 114 0
1464750 영어 워드마스터 에시문장들도 계속 회독해야하냐 [3] ㅇㅇ(211.199) 02:32 61 0
1464749 80단들아.... [3] ㅇㅇ(117.111) 02:31 141 0
1464746 아 마안방 가고싶다고 [1] ㅇㅇ(39.7) 02:25 65 0
1464745 80점 전공 80 85 미련없이 떠난다 [2] ㅇㅇ(117.111) 02:24 179 2
1464740 교정 인식이 현실에서도 ㅈ임? [2] (119.70) 02:16 139 0
1464736 밑에 1년 넘게 준비하셨는데 떨이라고요? [3] 윌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69 0
1464735 [속보] 교정직 특채 300명 교갤러(119.67) 02:11 185 2
1464732 78점 3일동안 밥못먹고 잠안자는중 [10] ㅇㅇ(117.111) 02:07 292 0
1464731 공부할땐 이시간에 졸리지도 않고 폰 했능데 교갤러(211.36) 02:03 63 0
1464730 그래도 지금 교정직 지원하는 애들은 낭만있지않냐 [11] 교갤러(211.201) 02:02 228 4
1464726 인생 힘들다 ㅇㅇ 교갤러(118.39) 02:01 53 0
1464725 상위권 고닉들 ㄹㅇ 파티갓네 (119.70) 02:01 69 0
1464724 아 이거 뭐 단어를 모르니까 해석이 불가능하네 [13] ㅇㅇ(211.199) 02:01 202 0
1464723 공단기 이번에도 큰거 한번 저질러보자! [11] 윌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0 215 0
1464721 악력 질문좀 [8] 아잇(118.235) 01:55 117 0
1464720 악력 [4] 교갤러(106.101) 01:55 69 0
1464719 이게 22 5차컷임 [8] (119.70) 01:54 333 2
1464717 5개월전 학원에서.. ㅇㅇ(1.254) 01:53 72 0
뉴스 “영하 10도 혹한기, 하이퍼리얼리즘 극대화”…김동준→김요한 합류 ‘신병3’ [종합] 디시트렌드 04.0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