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바둑의 개념 - (차덜맹님 기보)

한수앞도모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5.01.02 22:10:02
조회 906 추천 16 댓글 8
														

오늘은 차덜맹님의 기보를 가지고 바둑의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내용은 제가 생각하는 선을 살짝 넘었습니다. 원래 수순과 수읽기는 최대한 배제하려 했지만...(사실 제가 실수할까봐 무서워서지만^^;;)

차덜맹님 기보들을 쭈욱 보다보니 벽에 막히신 느낌이 들어 살짝 깊게 들어가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c645e222cf4a65acc901fe42

왼쪽 그림- 차덜맹님이 작년 11월 29일에 둔 대국입니다. 차덜맹님의 흑번입니다.

실리적으로 양소목을 두시고 한쪽 귀를 굳히셨습니다. 제가 지난 글에서 설명하기를 소목의 굳힘과 걸침은 화점보다 우선한다고 했습니다.

한 수로 실리가 굳어지기에 그만큼 크고 급한 자리라는 거죠. 이제 백은 A로 나머지 소목에 걸쳐가야 맞겠죠?(제 글들을 다 보신 분들은

뭔 얘기인지 아실 겁니다.)

그런데...백이 A가 아닌 1로 갈라쳐갔네요. 자, 바둑격언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소목의 양굳힘은 유리하다.


오른쪽 그림 - 흑1로 굳히는 순간, 흑은 우상귀 우하귀 합쳐 최소 20집이 넘는 실리를 땡겼습니다. 응수타진을 통해 활용하는 맛은 있지만

지금은 일단 확정가라 보시면 됩니다. 제가 여러 바둑격언들을 소개하면서 이런 말도 했었죠. 상대방의 급소는 나의 급소.

상대방에서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백이 걸칠 자리를 안 걸쳤으니 흑은 소목을 굳히면 됩니다. 역으로 백은 흑이 굳히지 못하게 걸쳐야

했던 거죠. 흑1은 A의 날일자 굳힘도 가능합니다. 좀 더 견실하죠. 저라면 A로 둘 겁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c612b677cc109060cda57239

왼쪽 그림- 흑의 우하귀를 굳히는 순간 백은 보통 벌릴 수밖에 없습니다. 우상귀쪽에서 흑의 다가오는 자리까지 차지하면

집으로도 크고 우변 백 한점이 근거가 없기 때문이죠.

평범하게 흑5까지 진행된다고 치면...어떻습니까? 아무래도 확정가를 땡겨놓은 흑이 편해보이지 않나요?

적어도 저는 양굳힘을 하고 동급수한테 진 기억은 없습니다.


오른쪽 그림- 지금 백의 입장에서는 협공하기도 애매합니다. 흑이 간명하게 삼삼을 파면...흑은 세 귀를 차지했는데

백의 세력이 그 정도를 보상할 정도로 위력적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이 정도면요...

제 느낌상 시간이 충분하다는 가정하에 두 점 상수한테도 할만해 보입니다.(물론 제가 실리파라 이런 견해를 가지는 겁니다만...)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c246e071ca8425df6175c80d

왼쪽 그림- 그런데 차덜맹님은 귀를 굳히는 대신 흑2로 다가섰습니다. 물론 큰 자리이기는 합니다만...

백이 3으로 벌리고 흑4로 침입하자 백5의 날일자 씌움이 준비된 대비책. 흑이 순순히 받아주면 흑4가 그냥 잡힐 것 같으니,

강하게 6,8로 나가 끊으셨네요. 책이나 어디서 뭔가 보긴 보셨네요. 그런데요...이건 흑이 무리한 싸움입니다. 

지금 흑4의 위치가 어정쩡할 뿐 아니라 백1로 인해 흑이 좋은 결과를 보기 힘듭니다. 배석을 잘 보셔야죠.

단순히 백이 걸치고 흑이 협공한 상황과 다릅니다. 이런 부분은 수읽기를 정확히 하셔야 합니다.


오른쪽 그림-수순 하나하나의 잘잘못은 넘어가고요...결국 흑이 쫄딱 망했습니다. 이 바둑이 어떻게 서로간에 실수를 주고받으며

백이 겨우 5집 반을 남겼는데요. 사실 여기서 흑이 던져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1z18bao.jpg

차덜맹님의 다른 기보를 보죠. 역시 차덜맹님이 흑입니다.

흑이 5로 걸치자 백이 붙여뻗기 정석을 썼네요. 백12까지 진행되고 흑이 벌려야 하는데...13은 너무 심하셨습니다. 약점을 남겨두시면 안되죠.

A가 흑이 최대한 벌릴 수 있는 곳입니다. 역시 이것도 어디서 뭔가를 보기는 보셨는데...백이 침입하면 대책이 있으셨는지는 의문입니다.

실전에서는 백이 이기기 싫었는지 8 한칸 위 자리로 바로 밀어주며 흑의 약점을 지켜줬습니다. 이런 이적수는 두시면 안되는데...




2vuzpjk.jpg

왼쪽 그림- 당장 백이 14로 들여다보고 16으로 가르고 나가도 막상 흑이 어렵습니다. 흑이 죽는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큰 손해를 볼 확률이 높습니다.


오른쪽 그림- 아마 차덜맹님은 흑 5, 7의 미니중국식 포석을 보시고 따라하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전도의 바둑과 마찬가지로

이 경우도 배석이 다릅니다. 제가 첫글에서 초반에 득 될 것이 없으니 좁은 곳에 들어가지 말라고 했습니다만...

일단 오른쪽 미니중국식의 경우는 이 이론이 맞습니다. 백8로 당장 들어가면 흑 9로 뛸 때, 흑은 공격당할 돌이 아니고

오히려 백 한점이 공격대상이 됩니다. 그러니 이 경우 백은 보통 상변을 먼저 갈라치고 여러수가 진행된 차후에 좌변이나 좌상귀 쪽으로의

수단을 모색하게 됩니다.


하지만 왼쪽 그림의 흑은 다릅니다. 오른쪽 그림의 흑5는 가볍고 운신이 자유로운 반면에 왼쪽 그림의 흑 돌들은 잔뜩 붙어 있어서

무겁기 때문에 운신이 쉽지 않습니다. 그러니 갈라지면 심하게 공격당할 확률이 높은 겁니다. 행마의 자유도가 다르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 그림의 흑5가 라이트급의 재빠르고 가벼운 권투 선수라면 왼쪽 그림의 흑돌들은 가진 건 많지만 뚱뚱하고 자기 몸도 제대로 

못 가누는 아저씨라는 겁니다. 그럼 누구랑 싸우시겠습니까? (조금 위험한 말인데 비유를 쉽게 든 것일 뿐 오해하지 마세요^^)

[-돌의 무거움과 가벼움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이렇게 배석에 따라 행마가 달라집니다. 

때문에 정확한 수읽기 없이 단순히 어설프게 어디서 본 모양이라고 그대로 두시면 안된다는 겁니다.

바둑은 집이 많은 사람이 이긴다고 했죠? 그건 결국 영토전쟁이라는 말입니다. 결국 돌 하나하나는 병사이며 우리는 전쟁을 지휘하는 군사입니다.

이 과정에서 깊은 수읽기는 군사의 자질을 증명하는 척도이며 바둑에서 제일 중요한 건 결국 수읽기 공부라는 뜻도 되겠습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9111e5759e7cf7c96180d8dc

원래 바둑으로 돌아가서...차덜맹님은 흑2로 다가섰을 때, 단순히 이러한 그림을 머릿 속으로 그리셨을 겁니다.

이렇게만 된다면 흑으로서는 금상첨화죠. 백이 4자리까지 육박하는 수가 가능할 거라고는 생각도 못하셨던 겁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9244e176c8c2d274f853d070

왼쪽 그림- 번외편으로 조금 심화학습을 해 봅시다. 만약 백1로 갈라친다면?

이 경우는 소목을 굳히지 않고 흑2로 다가가고 싶은 생각도 듭니다. 왜냐하면...일단 백1이 한 줄 차이가 나는 만큼 흑2로 다가서는 자리도

한칸이 더 넓습니다. 그리고 백이 똑같이 날일자로 걸치고 흑 한점을 잡았다 쳤을 때 백의 집도 한 줄 차이가 납니다.

바둑에서 한 줄 차이는 정말 큰 차이입니다. 게다가 흑10을 선수하고 12로 밀어올리는 수가 선수입니다.


오른쪽 그림- 만약 백이 손을 빼면 흑1로 밀고 3으로 붙이는 수로 백이 절단납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9145b57dc4425288ad0c0950

왼쪽 그림- 제 말의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서 까마득한 고수님들의 기보를 빌려왔습니다.

제 7기 지지옥션배 아마 대항전 10국 흑 김현아 백 박영진 두 사범님들의 바둑입니다.

포석과 배석은 다르지만 일단 좌하귀에서 위쪽 제가 설명한 모양과 같은 그림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흑이 손을 빼고 좌상귀를 걸쳐갔고,

백은 선수를 잡은 뒤...5,7을 결행합니다. 흑의 생각은 가 위치의 백이 한칸 멀기에 버틸 수 있다는 생각이었습니다.(여기서도 배석의 중요성 나옵니다.)


오른쪽 그림- 흑8로 안쪽으로 젖히고 10으로 밀고 들어가는 수가 역시 가의 백 돌이 한 칸 멀기에 할 수 있는 최강이자 최선의 응수.

하지만 흑14까지 진행되고 보니 백의 빵따냄한 돌이 두텁고 흑이 납작하게 눌려서 많이 당한 모습입니다. A의 젖히는 수 등도 가능하고요.

158수 백 불계승.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9247ef759faf0700e9137d95

왼쪽 그림 - 다시 전의 모양으로 돌아가서 그럼, 백은 받아주기는 해야 하는데... 1로 젖히는 건 쭉쭉 밀려서 아픕니다.

흑14까지만 되도 하변 실리가 짭짤합니다. 우변 백은  생각보다 큰 집이 아닙니다. 형세판단 해 보시길...


오른쪽 그림-하변쪽에서 걸쳐가는 게 중복의 느낌이라 이 정도로도 만족 못한다면 넓은 쪽으로 걸치라는 기리에 맞게

반대쪽에서 걸쳐갈 수도 있습니다. 받아주면 만족이고 협공한다면 단순히 삼삼 파는 게 아니라 되협공 합니다.

이렇게 상황에 맞게 자유자재로 작전을 변경할 수 있어야 합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c346e574ca943addd8c2fc36

부분적으로는 백1로 받는 것이 정수입니다. 하지만 이 정도 진행이라면 흑이 할만하죠?

(2015년 1월 18일자로 정정합니다. 이 변화는 우변 흑에 침입수가 신경쓰여 흑이 좋다 말하기 힘든 것 같습니다. 아래 마지막 그림처럼

그냥 양굳힘을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9740ef74c80ae8ad1c679e57

왼쪽 그림- 참고로 초보자들을 위해서...백1로 돌을 갖다붙이는 수는 안됩니다. 이런 수들은 대 악수이니 급박한 경우가

아니면 생각도 하질 마시길...(진짜 초보자가 있어야 이런 내용을  쓸 텐데요ㅎㅎ;;)


오른쪽 그림- 백 1로 붙이고 끊는 수는 어떨까 싶습니다만...흑4로 안됩니다. A의 백돌이 너무 멀어요.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8dfbf1c52b5fc23e53dfae2413f87e57298bc75b271b743c1c242e12198795108c35afc11

이것도 저것도 어렵다 하시면 그냥 흑1로 굳히는 수를 추천합니다.

다시 말합니다. 바둑 격언에 소목의 양굳힘은 유리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니 이 상황에서는 그냥 굳히시고...

상대방한테 양굳힘을 허용하셔도 안됩니다.

백이 갈라치는 위치가 한 칸씩 달라지면 변화가 어떻게 될지는 각자 연구해 보시길...^^






오늘의 내용 정리하겠습니다.

1. 소목의 양굳힘은 유리하다.

2. 배석에 따라 행마가 변한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추천 비추천

16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32643 전투보단 수비형 한방러쉬 기풍의 프로기사 누가있을까요 [5] ㅇㅇ(112.72) 15.01.13 597 0
32642 프로 준비?하는 초딩을 둔 애비가 한마디.......... [67] rndtkd(125.142) 15.01.13 2049 1
32639 바둑 어렵네요 [19] 드라마틱(182.228) 15.01.13 521 0
32638 바둑갤 한켠에 숨겨져있던 글 [9] ㅇㄹㅇ(121.144) 15.01.12 1380 14
32637 타이젬 1단에서 도저히 안올라가는데 뭘해야하죠.? [10] (180.228) 15.01.12 688 0
32636 올해 우승할것 같은 기사 멍뭉이(117.111) 15.01.12 285 0
32635 제아이가 9살인데 타이젬9단입니다 [19] ㅇㅇ(223.62) 15.01.12 974 3
32634 사카다의 묘에 대해 궁금합니다 [7] ㅇㅇ(175.223) 15.01.12 614 0
32633 프로기사들은 연구만 한다고 연애도 거진 못할듯 [12] ㅇㅇ(175.223) 15.01.12 1016 1
32632 이거 이해가 안됩니다. 알려주세요. [8] 나1단이오(118.41) 15.01.12 499 1
32631 토요일에 오랜만에 이창호 사범 대국이 있네요~ ㅇㅇ(1.226) 15.01.12 240 0
32630 조국수의 반집승!! [1] dd(1.226) 15.01.12 555 0
32629 디시에 타이젬 비매너리스트 하나 만들죠 [3] 나1단인가?(118.41) 15.01.12 575 0
32627 오프에서 바둑 둘 곳? [12] 123(23.27) 15.01.12 417 0
32625 수수께끼상자뭐받으셨나요 [12] Ragradia(222.108) 15.01.12 287 0
32624 곧강단당할듯ㅠㅠ [5] Ragradia(222.108) 15.01.12 294 0
32623 바둑 오랫만에 해보는데 이런 상황에서 이게 정상인가요?? [7] ㅇㅇ(110.12) 15.01.12 312 0
32622 바둑 배우려고 하는데여 [28] 황선희(14.52) 15.01.12 727 2
32621 국수전 어떻게 되어가나요 [4] 첫사랑(223.62) 15.01.12 375 0
32620 5승남았습니다..... [3] ㅇㅇ(119.206) 15.01.12 255 0
32619 바둑 배우려고 하는데여 [9] 으앙(182.213) 15.01.12 313 0
32618 바둑책중에 바이블 같은게 몇권있자나 형들 [21] 12345(211.254) 15.01.12 959 1
32617 요즘 털남자님이 안오시네요 [4] 나1단인가?(118.41) 15.01.12 795 0
32616 여자바둑리그 1R 대진표 (헤이자자 vs 오정아 등) [5] 삼연성(119.192) 15.01.12 417 1
32615 조국수 화이팅!! 33321(117.111) 15.01.12 195 0
32614 직설화법 [3] dd(180.71) 15.01.12 567 1
32613 시대별 초일류 [11] ㅇㅇ(46.165) 15.01.12 951 3
32612 담배가 얼마라구요? [2] 1994월간바둑(116.33) 15.01.12 300 0
32611 막상 꼰대 마인드가 나이랑은 상관없는듯 [3] dd(61.109) 15.01.12 273 1
32610 94년 11월 12월 월간바둑을 샀다 [5] 1994월간바둑(116.33) 15.01.12 514 0
32609 체감 세계랭킹 [10] ㅇㅇ(223.62) 15.01.12 658 0
32608 아래 땅콩회항 바갤분들 보셔야할듯 [8] ㅇㅇ(175.223) 15.01.12 534 3
32606 그것이 알고 싶다 보셨나요? [15] 스갤리언(120.143) 15.01.12 1359 3
32605 왜 타이젬 기보가 없어진거지 [1] ㅁㄴㅇㄹ(218.152) 15.01.12 270 1
32604 김성룡 해설 예전에는 별로였는데 요새는 익숙해져버림 [2] 123123(119.71) 15.01.12 325 0
32603 요즘 바둑 대신 서든 했더니 [1] 나1단인가?(118.41) 15.01.12 299 0
32602 3등이라니ㅠㅠ [4] 돌바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1.11 396 0
32601 박정환에 부담주고 실망이라는 사람들은 둘을 모르는듯 [6] 호랑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01.11 545 10
32600 영재입단자중에 [5] 드라마틱(182.228) 15.01.11 336 0
32599 중국은 언제부터 영재입단의 성과가 나타났나요 [17] 드라마틱(182.228) 15.01.11 500 1
32597 기력에 관해 묻고 싶은게 있습니다 [3] (1.177) 15.01.11 569 0
32596 '바둑판은 넓고 잡을 돌은 많다' 라는 책 본사람있음? [6] (1.177) 15.01.11 383 0
32595 와우... 3국 치우쥔 컨디션이 무지 좋았나 보네요 [1] (121.146) 15.01.11 263 0
32594 치우쥔 우승!! [10] ㅋㅋ(115.92) 15.01.11 414 0
32593 고정적인 형세는 없기 때문에 분석이 어려운 거임 [3] ㅇㅇ(180.71) 15.01.11 271 1
32592 유창혁 사범과 조훈현 사범은 바둑리그에서 몇지명까지 내려갔었나요? [1] ㅇㅇ(1.226) 15.01.11 327 0
32591 바둑 돌에 의미를 부여하려면, 엄청난 공부량이 필요한 것 같음 [2] 바둑어려워(118.33) 15.01.11 391 0
32590 슬픈소식 하나 전함 [5] ffff(121.144) 15.01.11 851 0
32589 커제는 세계 1인자가 될것이 틀림없으므로 준우승할 것이다 [5] ㅇㅇ(175.206) 15.01.11 350 0
32588 중국엔 30대가 있다 [9] 멍뭉이(117.111) 15.01.11 374 0
뉴스 “너무 예뻐서 그만…” 신부 얼굴 공개한 인순이, 김종민 부부에 직접 사과 [왓IS] 디시트렌드 04.2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