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바둑의 개념-(화초바둑님 기보)

한수앞도모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4.12.31 20:54:23
조회 3531 추천 28 댓글 14
														

오늘은 화초바둑님 기보를 가지고 바둑의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

이제 4번째 글인데...읽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는 수를 알려드리지는 않습니다. 그런 건 저도 모르고요.

하수가 괜히 아는 척 하다가 잘못된 정보를 알려드리면 곤란하니까요. 그저 바둑이 어떤 식의 사고로 이루어 지는지를 살펴볼 뿐입니다.

그러니 자세한 수순들은 앞으로도 제 글에서 기대하지 마세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자 지금까지 제가 말한 것들을 복습해 보겠습니다.

1. 바둑은 집이 반집이라도 많은 사람이 이긴다.(돌 하나하나의 효율성 강조)

2. 소목의 굳힘과 걸침은 화점보다 우선한다.(왜? 집으로 크니까...)

3. 걸침은 넓은 쪽에서 한다.(Why? 집을 조금이라도 크게 지을 확률이 높으니까...)

4.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 (이유는? 상대방이 두고 싶은 곳에 내가 둬 버릴라고...)


자...이제 이걸 기억하고 화초바둑님의 바둑을 보겠습니다. 화초바둑님이 흑이고 백은 인공지능인가 봅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66e8dcd5b021b5dd182695f1

흑이 우하귀를 굳히고 백이 우상귀를 걸쳐가자 한칸협공으로 정석이 일단락되었습니다.

다음에 흑은 좌상귀의 백 소목에 걸쳐갔는데요. 백이 붙여끌고 흑6까지 부분적으로는 훌륭한 정석입니다.

그럼 이게 최선이었을까요?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62beda80e1269c8be220cfd6

왼쪽 그림-백이 1로 붙인 장면에서 흑은 선택의 기로입니다. 어떤 정석을 선택해야 할까요...

제가 지난 글에서 말했습니다. 걸침은 넓은 쪽에서 한다. 이유가 뭐였죠? 네...넓은 쪽이 조금이라도 큰 집이 될 확률이 높을테니까..

그건 정석 선택에서도 똑같습니다. 상변이 넓은가요? 좌변이 넓은가요? 상변은 우상귀쪽에 높여진 백 한점으로 인해 발전성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좌변은 텅텅 비었습니다. 흑은 좁은 상변보다는 좌변에 집을 짓고 싶어해야 합니다.(왜? 바둑은 집 많은 사람이 이기니까...)


오른쪽 그림- 흑2로 두점머리는 치받는 수는 행마법상 보통 악수지만 지금은 훌륭한 한수가 됩니다. 흑 8까지 가장 간명한 정석 형태 중 하나.

백이 9로 견제 들어가면 흑은 10,12로 또 넓은 쪽을 두어갑니다. 상변에 이어지는 백돌들을 보세요. 3선에 납작하게 깔려 있습니다.


자...여기서 정석 선택의 요령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발전성이 큰 쪽으로 돌이 향하게 하라.(어째서? 상대방을 좁은 쪽으로 향하게 하고 나는 넓은 곳을 차지해야 하니까...)

2. 상대가 강한 쪽으로는 협공하지 마라. (왜? 상대가 삼삼에 고분고분 들어가면 다행이지만 반발할 경우 불리한 전투를 해야 하니까...)

우리들은 일단 이 두 가지만 알면 됩니다. 그럼 정석을 상황에 맞게 선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네...정석공부를 하시면 됩니다^^ㅎㅎ





맛보기로 문제 3개를 내 보겠습니다. 가, 나 중 정석의 선택방향은?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35e68085e315a4edf308431e

첫번째- 쉽죠? 가가 정답...단순히 넓고 좁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우변에 놓여진 흑 한점의 위치가 훌륭해서 우변쪽의 발전성이

크기 때문이죠.

두번째- 나가 정답...가로 막는 건 지나치게 좁습니다. 입문자분들은 겁이 많습니다. 무슨 소리냐...

귀의 실리에 지나치게 집착한다는 겁니다. 그거 살면 몇집 된다고요. 제가 돌의 효율성이 중요하다고 했죠?

좁은 곳에 들어가 꽉 막힌채로 쌈지를 뜨게 되면 그걸로 끝입니다. 더 이상 그 돌들은 발전하지 못하는 정체병사가 되는 겁니다.

반면에 넓은 쪽으로 향하는 돌들은 발전가능성이 무한합니다. 장래가 촉망되는 기대주들인 거죠.

세번째- 어렵습니다. 어려워요. 이거 언젠가 설명할 생각입니다만 초보자분들은 이해하기 힘드실 겁니다.

정답은 가....나로 협공하는 것은 지나칩니다. 우하귀 흑돌의 위치로 인해 좋은 결과를 보기 힘들다는 것만 알아두세요.

위에 설명한 정석선택의 요령 중 두번째, 상대가 강한 쪽으로 협공하지 마라.에 해당된다 하겠습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30bddcd0b35ae1f6e0858afc

다시 원래 기보로 돌아가서...백도 밑붙임 수가 잘못된 겁니다.

왼쪽 그림- 백은 그저 1로 날일자 해서 좌변쪽으로 향하는게 간명하고 편한 선택이었습니다.

흑이 상변에 안정했지만 백은 7 정도로 다시 넓은 곳을 차지하며 우변 흑을 견제하면 충분한 바둑입니다.

지금 좌변은 백의 영향력이 크죠. 여기서 입문자분들 걱정이 뭔지 압니다. 알아요. 제가 18급 시절부터 눈물 콧물 흘리며 한탄한 내용이니까요.

흑이 좌변에 들어와 사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그동안 백도 한 수씩 번갈아 둘테니 다른 곳에 집이 생깁니다.

중요한 건 백의 영향력이 크기에 흑이 좌변에 들어와도 크게 살 수는 없다는 거죠. 그거면 됩니다.

가능성...그건 한 수씩 번갈아 두며 종반으로 향해 갈수록 집으로 나타나게 되어 있습니다. 물론 떡수를 안 둔다는 전제하에 입니다만...


오른쪽 그림- 사실 흑도 처음부터 가능하다면 좌변쪽 어딘가를 향하고 싶은 마음입니다. 소목에 걸치는 건 크다고 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좀 다른 것이...흑이 안 걸쳤다고 백이 단순히 2로 굳힌다면 흑 3,5로 상변 백을 납작하게 누를 수 있습니다.

돌이 답답하게 갇히면 어떻게 된다고요? 네 발전을 못하는 정체병사가 됩니다. 상변 백은 갇힌 건 아니지만 이미 아래 까만 병사들한테 

그만한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흑은 넓은 쪽으로 향한다는 격언에 맞게 그쪽 방향을 차지하고 싶은 거죠.

하지만 말이죠... 이건 정말 흑의 달콤한 상상입니다. 백이 이렇게 둘 리 만무하죠. 흑이 좌변 어디를 들어가든 백은 그 한 점을 최대한

압박하려 할 겁니다. 이거...어렵습니다. 어려워요. 약간의 임기응변도 필요하고 수싸움이 치열해집니다. 단순하게 두면 실리손해가 크다는 거죠.

고백하자면 정답은 모릅니다. 하지만 우리들은 이것만 알면 됩니다. 정답은 모르지만 포석은 이러한 생각과 과정을 통해 서로가 치열한 수싸움을

벌인다는 거죠.(제가 빨간 글씨로 항상 강조하는 것들) 나머지는 공부량과 실전으로 차차 알아가면 되는 겁니다.

자 일단 이 부분은 패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37ebddd1ec4d0a44de544c36

다시 원래 수순으로 돌아갔을 때, 화초바둑님은 가로 단순하게 벌렸습니다.

부분적으로는 훌륭한 정석입니다만 느슨합니다. 밋밋해요.

왜? 흑 가는 백에게 아무런 영향력이 없습니다. 다음 후속수단이 없다는 거죠. 이왕 흑2로 받은 건 실수였으니 어쩔 수 없고요.

이 상황에서라도 최선의 한 수를 찾아야죠. 흑6이 그것. 다음 A에 치중하는 수를 노리고 있습니다.

이런 수가 타이트한 수입니다. 백이 받을 수 밖에 없게 만드는 거죠. 백이 손 빼면 뒷수...즉 현재만 보는 게 아니라 다음 후속수단을 보고

있다는 겁니다. 백이 선수를 뽑겠다고 1로 치받아 흑을 세워주면 그 자체로 대득입니다.(이 악수의 개념은 또 다음에 다룰 기회가 있겠죠.)

백은 2로 밀고 나오며 일전불사를 외칠 겁니다. 흑도 머리 아프지만 어쩔 수 없습니다. 정석선택을 잘못했으니 여기서는 강하게 나가야죠.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63eddbd3b7fdabcf3519e8c7

전도의 흑4는 꽉 잇는 것보다 호구치는 게 나을지도 모릅니다. 혹시 흑이 양분될 경우 빈삼각보다는 탄력있고 가벼운 형태죠.

행마의 폭이 넓어진다는 의미입니다.

백이 5로 상변쪽에서 다가오면 흑A로 충분.


자...여기서 정리, 뒷수...즉 다음 후속수단이 있는 수를 둬라.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35ed8982e0760485aeba4776

왼쪽 그림- 보십시오. 흑의 밋밋한 한 수로 백이 손을 빼고 1 자리로 삭감하는 요처에 손이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전도의 상변전투가 어찌 마무리 될 줄은 모르나 이 그림은 지나치게 쉽습니다. 상대를 쉽게 해주면 안되는 겁니다.

(사실 훗날 백1의 삭감 자리가 너무나 좋기 때문에 이 포석에서 흑의 한칸 협공은 요즘은 잘 나오지 않는 추세입니다.

못 둘 건 없지만 덤이 조금 부담스럽다고 프로들이 말합니다. 그래서 두칸 협공도 쓰였었고요-삼삼에 들어가고 똑같이 삭감하면

한줄이 넓다는 거죠. 그래서 두칸 협공하면 보통 양걸침으로 변화를 구하죠. 지금은 또 날일자 받아주고 백이 미끄러지면 협공하는 수까지...

이런 변화들은 우리가 다 알기는 쉽지 않지만...대충 그 의미만 아시면 되겠습니다.)


오른쪽 그림- 흑1로 받으셨네요...음...이건 좀 세밀한 부분인데요. 반대쪽을 먼저 미셔야 합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64bcdc80b30af65f2060ab7a

왼쪽 오른쪽 차이점이 느껴지십니까? 혼자 연구해보시길..나중에 행마법을 통해 설명할 날이...(올지는 모르겠습니다;;)

어쨋든 왼쪽이 올바른 수순입니다.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64bb8a80e53426ed8ec51a84

왼쪽 그림- 그런데 백이 늘지 않고 2로 뛰는 바람에 원래대로 환원되는가 싶었는데..어이쿠, 흑5는 뭔가요?

호구 자리는 급소!! 이 유명한 바둑격언을 모르시지는 않을 텐데요. 실전에서도 노타임으로 두셔야 합니다.

백이 6으로 막는 순간 집으로도 크지만 자체로 안형이 생기기 때문에  백이 차후에 혹시라도 공격당할 여지가 말끔히 사라집니다.

이게 문제인 겁니다.

제가 뭐라고 했죠? 후속수단이 있는 수를 두라고 했습니다. 


오른쪽 그림- 백도 그냥 6으로 뛰었네요...뭐, 한 수의 가치는 충분한 수입니다만 이 수도 좀 느슨해 보입니다.

흑이 7로 걸치고 벌리고 백이 침입, 그리고 흑 11...

자...흑11은요. 행마법상 이상한 수입니다. 1선은 사망선, 2선은 패망선...들어보셨죠?

행마가 중앙으로 뻗어나가야 되는데 흑11은 꽉 막힌 1선쪽을 향하고 있습니다. 발전성? 당연히 없습니다.

이 수는 백10을 쉽게 살려주기 싫으니 강력하게 공격하겠다는 뜻인데 백10은 애초에 공격당할 돌이 아닙니다.

백 12로 그냥 17자리 지켜두어도 흑이 한 점을 맛좋게 잡기도 쉽지 않아요. 우하귀쪽은 아직도 허술하고요.

흑 9로 대눈목자로 두었을 때는 보통은 백10자리로 상대가 쳐들어오면 위에 붙여 틀어막고 상대는 살려주고 세력을 취하는 게 평범합니다.

애초에 그렇게 두겠다는 의도죠. 넓게 벌렸으니까...



viewimage.php?id=2fbcd433ee&no=29bcc427b08377a16fb3dab004c86b6f7391a9dfbe1f52b6ff23e53dfae2413fa8d8374e901076dc1e168865be8987b6be723ec6d217d3

왼쪽 그림- 상대가 들어오는 게 싫으시면 9로 좁게 벌리셔도 됩니다. 뭐 맛은 있지만 대눈목자보다는 튼튼하죠.

하변 침입은 각오하셔야 되는 부분입니다.

오른쪽 그림- 그래도 흑이 귀도 파먹고 상변쪽에서 삭감하고 하고 싶은 건 다 했네요.

어이쿠...다 받아주고...백의 평정심이 대단하네요ㅎㅎ;; 흑 29는 필요없는 수죠? 언제든 선수인 자리를 구지 바로바로 결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나중에 팻감으로 쓸 수도 있고요. 한 수 한 수의 디테일함이 모여서 고수로 가는 겁니다.

어찌됐든 흑도 백 모양을 다 결정지어준만큼 형세판단이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우변 백이 약하긴 하지만 심하게 공격받을 것 같진

않고요. 아마추어 바둑은 유불리와 상관없이 종반에 삐끗하는 사람이 지는거죠 ^^





오늘의 내용 정리하겠습니다.

1. 정석선택의 요령

- 발전성이 큰 쪽으로 돌이 향하게 하라.

- 상대가 강한 쪽으로는 협공하지 마라.

2. 다음 후속 수단이 있는 수를 둬라.

3. 호구자리는 급소.



이상입니다. 또 나중에 뵙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28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공지 [공지] 입문자 및 바둑뉴비들을 위한 바둑의 룰과 규칙 [132] Godzn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2.01 221907 687
공지 바둑 갤러리 이용 안내 [109] 운영자 05.07.29 89011 48
1043264 ★와~ 편파 특혜 주작~ 심판의 날이 밝았다! [2] ㅇㅇ(58.227) 11:56 13 2
1043263 비락이빠들은 치팅 그만해라 바갤러(118.235) 11:53 5 0
1043262 한국기원 랭킹 오류 발견…충격! 쿠키뉴스 단독기사 떴다 ㅇㅇ(175.116) 11:53 13 0
1043261 남자바둑 인기 떨어진건 박정환때문이지 바갤러(185.216) 11:52 13 0
1043260 남자바둑 좆망의 원인 [1] 바갤러(211.246) 11:49 24 1
1043259 가문아 [1] 바갤러(220.76) 11:47 25 1
1043258 한기 10년 전에도 상태 많이 안좋았다 바갤러(211.246) 11:45 21 0
1043257 비락이빠들이 조작질 하는거 모르는 사람도 있내 바갤러(118.235) 11:45 10 0
1043256 한기 조작질 처음이 아님 [3] 바갤러(118.235) 11:39 35 0
1043255 바둑대상 조작사건 언제였냐 [1] 바갤러(39.7) 11:37 31 0
1043254 똥가문 병신새끼 또 나대고 있노 바갤러(220.76) 11:36 21 3
1043253 대진표 보니까 조승아는 항상 최정반대 김은지 조인데 [1] 바갤러(185.216) 11:36 28 2
1043252 오늘도 비락식혜 갖고오나? 바갤러(89.147) 11:33 11 0
1043251 바둑은 온라인으로 두는것보다 바갤러(39.7) 11:30 15 1
1043250 랭킹 점수를 한국기원 담당자가 수기로 입력하고 있는 현재 시스템을 보완 [6] 바갤러(89.147) 11:26 36 0
1043249 랭킹점수 조작도 치팅이다. [3] 바갤러(89.147) 11:23 33 2
1043248 최정vs스미레는 75-25 승부라고 봐야지 귤새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3 31 1
1043247 스미레가 정의다 [2] 바갤러(89.147) 11:13 35 1
1043246 스미레가 이긴다 바갤러(89.147) 10:45 38 0
1043245 프로기사들은 일색바둑 가능함? [4] 바갤러(106.102) 10:44 65 0
1043244 바둑 잘 두기 위해서 사활 보다 훨씬 더 중요한 거 [6] 바갤러(45.94) 10:15 75 3
1043243 스미레 정이구현 [1] 바갤러(89.147) 10:09 58 2
1043240 이름 지을때 "동" 자 좀 쓰지 마라 웃음벨인거 모르지? [5] 바갤러(211.244) 09:36 95 2
1043239 허크-응애-멍쥬 3파전 양상이냐? 한귀 실세는 김은지? [1] ㅇㅇ(211.235) 09:25 36 2
1043238 좆제 = 중국바둑 전력에 아무 쓸모짝 없음 바갤러(211.234) 09:21 41 0
1043237 독보적인 보이스정준일의 오케스트라 협연…‘THE LIGHT’ [쿠키뉴스] [1] ㅇㅇ(175.116) 09:19 22 3
1043236 바둑은 7단 찍었으니 이정도면 됐고 바갤러(39.7) 09:07 38 0
1043235 보는 순간 개추가 박히는 짤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6 203 12
1043233 얘들아 이쯤되면 누가 유리한거냐 [2] ㅇㅇ(118.235) 08:24 63 0
1043232 조치훈 vs 조훈현 누가 우위?? [1] ㅇㅇ(118.235) 08:17 78 0
1043229 승부 드디어 내렸노ㅋㅋ [4] ㅇㅇ(183.107) 06:18 205 2
1043228 바둑 첨하는데 뭘로 공부해야됨? [2] 바갤러(138.51) 06:10 66 0
1043227 이세돌은 왜 알파고한테 떡실신당했냐 ㅇㅇ(118.235) 05:38 68 0
1043226 이나현도 허서현 테크 타는거같다 [3] ㅇㅇ(27.119) 04:38 210 2
1043224 허서현 [3] ㅇㅇ(27.119) 03:26 194 3
1043223 사활/묘수풀이 공부... 허와 실에 대해 [6] 바갤러(58.234) 03:19 135 9
1043211 1980년대이전 일본바둑의 저단진들 고통 [7] hallofmath(211.49) 02:38 215 7
1043209 확실히 지금 커제는 행복한것 같네 바갤러(125.137) 02:17 128 6
1043208 Just Go 급 AI는 다른 AI들보다 더 약한 것 같다 바갤러(65.209) 02:17 50 0
1043206 LG배 결승사태 여파가 어떻게 된거죠? [1] dd(175.209) 02:06 74 1
1043196 벚꽃 보러간 허서현 [3] 바갤러(211.235) 01:38 247 6
1043192 바알못좀 알려주세요 [7] ㅇㅇ(211.234) 01:27 98 0
1043177 너네 폰으로 한국기원 홈페이지 잘 되냐? [5] ㅇㅇ(210.205) 00:14 95 2
1043172 이 짤 이창호 옆에 허서현임? [3] ㅇㅇ(110.70) 04.21 298 0
1043169 엘지베 예선전 그 선수 꼭 올라갔으면 좋겠다 Ori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106 1
1043162 똥가문 똥떵어리 하루일과 분석함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84 3
1043160 똥가문 똥떵어리 맨날 뭐먹고 사는지 알아봄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75 4
1043158 우리 앰생이는 엄마가 화장실청소도해주고 부럽노 애미등골휜다 휘어 바갤러(218.156) 04.21 36 0
뉴스 “너무 예뻐서 그만…” 신부 얼굴 공개한 인순이, 김종민 부부에 직접 사과 [왓IS] 디시트렌드 04.2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