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대한민국 종합명문대 - 서연고성한경

4갤러(113.52) 2025.04.13 19:37:41
조회 92 추천 5 댓글 1
														

메디컬없고 예체능 거의없는 소강은 종합대 빼는게 맞고

각종 순위 연구력 지표들이 명문대를 확인시켜줌


7fe990aa2123b54987f1dca511f11a399609f90d9b74326281


7fe88075a58176ac7eb8f68b12d21a1d3f3be1bb1e34


7fef90aa1202b273a2341670565dcff99ce2ef7da16f310333bab352133ed004243fcc85


a15908ac363678f42bff5a42c65bf1f11ca7adc0725ddda2776c3935431a2154e15338


7fee90aa010ab2758aff84f0565dd3ede3e92ec9dfecf7d0ba884e777ad515b9dc7299abbb


7ce490ab0f0bb55186f1dca511f11a392e169d3568b23e53ab


7fee90ac3d02b44eae332b619a11c07d8b15972f4b329eef5f1f584bd2868323ff3a3e66f9d4a90a2948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411505519?OutUrl=naver


 


https://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856" style="color:rgb(0,102,204);text-decoration:none;">https://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856



a76f0dab181eb34a8eff5a57da5adad1120501026302b4dd226093cd394e6e1124f621391d157f525a3a2010d890528c448dc362998a33efab600bc76e1e0caa11d346222053d4c9b8c11c0784da1eea86e80fe319ce54c8894db614ad1780bf46ac016b72

                                                                                                                        강성준 경희대 교수(신소재공학과)

a76f0dab181eb34a8eff5a57da5adad1120501026302b4dd226093cd394e6e1124f621391d157f525a3a2010d890528c448dc362998a33efab600bc76e1e0caa11d346222053d4c9b8c11c0784da1eea86e80fe319d210d29e6aa82eaa2a9ecd7865b0dab3ae

                                                           강성준 경희대 교수 연구팀의 성과가 나노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ACS 나노(IF=15.8)’의 4월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강성준 경희대 교수(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이 인간의 뇌 구조와 동작 방식을 모사한 소자를 개발해 머신비전(이미지 인식) 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강 교수 연구팀의 광 뉴로모픽 소자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ACS 나노(IF=15.8)’의 이달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연구팀의 광 뉴로모픽은 인간의 시냅스를 모사했다. 시냅스는 인간의 뇌 속에서 신경세포를 연결하며 정보를 전달하고 기억하는 핵심 구조다.


실험 결과 광 뉴로모픽은 빛(광신호)를 수집하는 동시에 저장·분석할 수 있어 기존 이미지 처리 기법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한 인식이 가능했다. 

 

기존 인공지능(AI) 이미지 처리 장치는 광센서, 메모리 등 구성요소가 복잡한데, 강 교수 연구팀은 산화물 반도체를 활용해 모든 기능을 하나의 소자로 통합했다. 분리된 구조에서 발생하던 데이터 병목현상을 개선한 것이다.


강 교수는 광 뉴로모픽에 대해 “앞으로 AI 기반 머신비전 기술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리라 기대된다”고 밝혔다.

 

머신비전은 방대한 영상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해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하는 기술로, 최근 AI 업계에서 핵심 경쟁력으로 떠올랐다. 머신비전은 자율주행 자동차, 의료 영상 분석, 휴머노이드 로봇 등 첨단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경희대, 췌장관선암 성장 늦추는 잠재적 치료 방식 발견

[서울=뉴시스]전수현 인턴 기자 = 경희대 융합생명의약학과 최정욱 교수와 유타대학교(University of Utah) 약학대학 타슬림 알힐랄(Taslim Al-Hilal) 교수 공동연구팀이 췌장관선암에서 발견되는 섬유소가 면역세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췌장관선암 내 피브린-종양 기질(FibTS)은 면역세포의 종양 내부..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10_0003133873



a76f0dab181eb34a8ef39639c13da8c3578d4e18206ff36902cb11913e58d42de4ce591c7f4e779d2f1a348292b89ea5d2e050f2e893e5b411e34075f2b9c8ad3da19c181061ee3762fc3aa8fbb228cbdb833ef3134f8cf108

경희대 융합생명의약학과 최정욱 교수(사진 가운데)가 유타대 약학대학 타슬림 알힐랄 교수와 함께

췌장관선암에서 발견되는 섬유소가 면역세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경희대 제공)


[서울=뉴시스]전수현 인턴 기자 =

경희대 융합생명의약학과 최정욱 교수와 유타대학교(University of Utah) 약학대학 타슬림 알힐랄(Taslim Al-Hilal) 교수 공동연구팀이 췌장관선암에서 발견되는 섬유소가 면역세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췌장관선암 내 피브린-종양 기질(FibTS)은 면역세포의 종양 내부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하며, 피브린-종양 기질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면 종양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췌장관선암 내 혈액 응고 현상은 교차 결합한 피브린(fibrin)으로 구성된 피브린-종양 기질이란 복잡한 구조를 형성한다.

연구팀은 이 피브린으로 구성된 피브린-종양 기질이 종양 내 면역세포의 침투, 분극화, 면역세포 간 상호작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피브린-종양 기질은 면역계 T 림프구의 한 유형인 CD8+ T세포와 종양 관련 대식세포의 침투와 이동을 제한했다.

면역세포가 종양의 중심부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면역억제 환경이 조성되고 종양의 성장을 돕는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을 반대로 활용해 새로운 치료법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피브린-종양 기질의 형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면 CD8+ T 세포와 종양 관련 대식세포의 침투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췌장관선암의 성장이 느려짐도 확인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피브린-종양 기질이 종양 내 면역 회피에 중요 역할을 함을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활용해 췌장관선암의 면역 환경을 변화시키고 종양의 성장을 늦출 수 있는 잠재적 치료 방식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경희대학교 이정태 교수팀,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소재, 남극에서 찾았다”

[한국강사신문 한상형 기자]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는 융합바이오신소재공학과 이정태 교수 연구팀이 극지연구소(소장 신형철) 윤의중 박사와 공동연구를 수행해 남극에서 차세대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신소재를 적용한 배터리는 성능과 수명이 대폭 향상됐다. 연구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세계적인 학술지에 3월 게재됐고, 국제 특허도 진행 중이다.리튬-황 전지는 배터리 용량이 크고, 작은 공간에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고 있지만, 충·방전 과정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4131" style="color:rgb(0,102,204);text-decoration:none;">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4131



a76f0dab181eb34a8eff5a48c25de4c8e81580d5e4a3e45882f0fc179da8351101ad971699232ca2331a7dbf6dbc562e06f1ca5b494acc5df02272dcd4e72e62e108cc510ce76763e782d9a1906cf8131e68ee8528ff562a4bbb377157984725221b0b6bcc3e4d


a76f0dab181eb34a8eff5a48c25de4c8e81580d5e4a3e45882f0fc179da8351101ad971699232ca2331a7dbf6dbc562e06f1ca5b494acc5df02272dcd4e72e62e108cc510ce76763e782d9a1906cf8131e68ee8528ff56360fa1205649a240181b76d78c1c2655d9


[한국강사신문 한상형 기자]

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는 융합바이오신소재공학과 이정태 교수 연구팀이 극지연구소(소장 신형철) 윤의중 박사와

공동연구를 수행해 남극에서 차세대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신소재를 적용한 배터리는 성능과 수명이 대폭 향상됐다. 연구는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세계적인 학술지에 3월 게재됐고,

국제 특허도 진행 중이다.

리튬-황 전지는 배터리 용량이 크고, 작은 공간에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고 있지만, 충·방전 과정에서 황이 변하거나 바인더*가 팽창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공동연구팀은 남극 세종기지 인근 바다에서 채집한 홍조류 ‘커디에아 라코빗자에(Curdiea racovitzae)’로부터 상용 바인더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신소재(복합 다당제, Curdiea racovitzae Polymer 이하 CRP)를 찾아냈다. CRP는 개미굴처럼 복합한 3차원 구조를 형성해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을 크게 높였다. 기존 바인더 대신 CRP를 사용하면 배터리 용량 유지 성능이 100%가량 향상됐다. 이정태 교수는 “개미굴처럼 생긴 다공성 구조가 충·방전 시 내부 팽창을 흡수해 장기 사용에도 전극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정태 교수와 윤의중 박사 공동연구팀은 상용화를 위해 대량 배양 기술 개발과 후보물질 추출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해조류에서도 유사한 성질을 가진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추가 연구도 추진한다. 이정태 교수는 “배터리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지속 가능한 원료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바이오소재를 활용한 이차전지 소재 개발은 앞으로 더욱 주목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형철 극지연구소 소장은 “남극을 잘 보존하면서 지혜롭게 활용하기 위한 대한민국 극지연구의 도전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극지연구소와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바인더 : 전극 재료를 묶어두고, 전기적 연결을 유지해 이차전지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부품.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45219



a76f0dab181eb34a8e3321659c04e8b02d8f6c0199e3e91159f2de6b888da76d531bafda8caaf3bc2d459dc523ee08849023346c6ed41544ef346bd7862fc63269342c9c8747f164f826ecb4e306fd28d3d3dfa346376e81b4dfd00cc12f4d0a48a1a34e

a76f0dab181eb34a8e3321659c04e8b02d8f6c0199e3e91159f2de6b888da76d531bafda8caaf3bc2d459dc523ee08849023346c6ed41544ef346bd7862fc63269342c9c8747f164f826ecb4e306fd28d3d3dfa35a73749693c1ea0bfc313c0344acdf90

이러한 상황에서

이정태 교수 연구팀이 새로운 첨가제(PES)를 적용해 리튬 금속 배터리의 안정성과 성능을 동시에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IF=13.4)'에 3월 온라인 게재됐다.

액체 전해질에서 PES 같은 화합물은 배터리 충/방전 과정에서 화학적으로 변하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고체 전해질에서 PES가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배터리 성능을 높인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상온에서 PES가 리튬 이온의 이동을 도와 배터리 충전속도를 높이며 덴드라이트 결정 생성을 억제해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것으로 관측됐다.

실험 결과 PES가 첨가된 고체 전해질은 높은 이온 이동 속도를 보였고, 5.5V의 높은 전압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또한 리튬 금속 배터리에 적용했을 때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장치에 많이 사용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경우 500회 충/방전을 반복한 후에도 94.48%의 용량을 유지했다. 또한 에너지 밀도가 높은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에도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NCM 배터리는 300회 충/방전 후에도 97%의 용량을 유지하며 기존보다 높은 수명을 입증했다.

연구를 진행한 이정태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체 전해질에서 PES 화합물의 적용 가능성을 알린 초석이 될 것"이라며

"향후 다양한 유기 화합물을 활용해 안전하고 높은 성능을 보이는 고체 전해질 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168090ac370fb55ba2343a559a11c0b72c72756f3e89c14e952e94f041fd48290e10

a7681daa252eb47cae323b699a3be07d3eb1e2c397bbe384aad7c2736652bce8641266575cd87e

7ef3da36e2f206a26d81f6ed4786746b61

7cf3da36e2f206a26d81f6e242897c655a

78f3da36e2f206a26d81f6e34f89726c4a

7cee9e2cf5d518986abce8954185726dac31

7fed9e2cf5d518986abce8954e80746e19e4

78eb9e2cf5d518986abce8954085776f9608

7eea9e2cf5d518986abce89541887168b0f9

78ed9e2cf5d518986abce89540857d6c4e1c

7ee59e2cf5d518986abce8954385756a95cd

78ea9e2cf5d518986abce8954082716ba9e9


7ce89e2cf5d518986abce89541827c645221

7fec9e2cf5d518986abce8954184736f134f

a05239ab1c26b45b96ff5a75f25acfe439e22acc16636e57d797172a9edc899bfc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술 마시면 실수가 많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14 - -
AD 해커스로스쿨전국모의고사 5/10(토) 온·오프 동시시행 운영자 25/04/10 - -
AD LEET D-100, 합격을 가르는 기출특강 무료 공개 운영자 25/04/01 - -
공지 4년제 대학 갤러리 이용 안내 [413] 운영자 07.06.12 152352 62
5765661 한국의 주요대학 서열 4갤러(182.231) 08:29 14 0
5765660 연대보다 고대를 더선호하는데.... ㅇㅇ(221.149) 08:00 44 3
5765659 개쌍도 명문대는 계명대 아니노? [2] 4갤러(223.38) 07:41 33 0
5765658 한양대는 망해도 경희대밑까지는 안내려갈 듯 4갤러(223.38) 07:36 42 0
5765657 부산권 대학들 2010년대 이후로 위상 엄청 낮아졋다던데 아직 괜찬은 곳 [1] 미카엘0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2 76 0
5765656 서.연고.성중서.시이한경.. 4갤러(223.38) 07:07 28 0
5765655 솔까 한양은 훌짓할 입장이 못되자나? [1] ㅇㅇ(118.235) 06:14 56 4
5765654 [2025년 진짜 대학 서열] [2] 존댓말(211.234) 05:34 127 1
5765652 형들 광명(서울캠)상가 인아항정도 가줘야 중상급 여성 ㅇㅇ(223.38) 04:49 47 0
5765651 내부고발자가 진짜 무서운 이유 ㅇㅇㅇㅇ(125.7) 04:22 42 0
5765650 처녀 아니잖아 ㅇㅇ(118.235) 04:01 63 1
5765649 호스테스 에리카 ㅇㅇ(118.235) 03:56 32 1
5765648 부산대 전자공학과 취업률 58.7% [3] 4갤러(211.234) 03:07 110 5
5765645 대학은 입학이 기준이냐 졸업이 기준이냐 [11] 4갤러(223.62) 02:17 177 2
5765643 에이 지방사람들보다 더 불쌍한 분 있음 ㅋㅋㅋㅋㅋㅋ ㅂㅅ(125.130) 02:16 86 4
5765642 전북대 로스쿨 20명 단국대 아주대 로스쿨 2명임ㅋㅋ [1] ㅇㅇ(211.234) 02:12 105 5
5765641 지방새끼들 서울아파트 평균이 13억임 [8] 4갤러(106.101) 02:09 112 2
5765640 존나 어중간한 대학라인새끼들이 입결딸 치노 ㅋㅋㅋ [2] ㅇㅇ(118.235) 02:06 135 8
5765639 부산경북보다 QS랭킹 안나오는 서울잡대들 [8] 4갤러(118.235) 01:57 175 7
5765638 로스쿨 아웃풋: 부산경북>>>건동홍 [1] 4갤러(118.235) 01:55 84 5
5765637 입결 높이기에 가장 효과적인 꼼수는?? [1] 4갤러(118.235) 01:54 113 2
5765636 지방새끼들도 멍청한 애미애미 만나서 불쌍하긴 하다 4갤러(106.101) 01:53 42 3
5765635 부산경북 깔려면 중경외시는 들고와야지 [1] 4갤러(118.235) 01:51 130 4
5765634 대학끼리 누백 비교가 의미 없는 이유 [3] 4갤러(223.62) 01:51 139 4
5765633 근데 지방사는새끼들 애미애비도 죶병신들 아니냐? [1] 4갤러(106.101) 01:49 47 2
5765632 지거국 공기업 딸딸이 치는새끼 ㄹㅇ 개병신새끼네 [1] 4갤러(106.101) 01:47 75 2
5765631 변태전형 대학들 누백은 어케 계산하는거냐 [61] 4갤러(223.62) 01:42 161 3
5765630 솔직히 단국대가 아주대에 깝치는거나 [4] ㅇㅇ(210.103) 01:39 121 3
5765629 부산경북 정시 50%뽑으면 한서삼급 되는이유 [17] 4갤러(106.101) 01:33 139 2
5765628 지거국 버프 이거 ㅈㄴ큼 [5] 4갤러(110.10) 01:32 142 3
5765627 맨위에 몇개는 왜 70퍼가 평균보다 누백이 더 높냐? [3] 4갤러(223.62) 01:30 81 3
5765626 근데 부산경북이면 단국이랑 비비잖아? [4] 4갤러(118.235) 01:29 113 0
5765625 부산경북 정시50% 뽑을때 시뮬레이션으로 점수 뽑아보니까 [4] 4갤러(106.101) 01:27 75 3
5765624 부산경북 정시 17% 뽑아서 간신히 저점수 유지중인데 [1] 4갤러(106.101) 01:25 74 2
5765622 근데 부산대 가중평균 단국보다 낮잖아 4갤러(106.101) 01:16 92 8
5765621 근데 단국은 이름이 개병긴같음 ㅋㅋㅋ [1] 4갤러(110.10) 01:14 81 3
5765620 요즘은 부산경북 버리고 단국옴 [2] 4갤러(106.101) 01:13 148 7
5765619 부산대 화공이 탈급간인 이유 [12] 아망아좆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1 198 5
5765618 아주대 너네도 당해봐 [5] 4갤러(110.8) 01:08 130 5
5765617 ㅎㅇ [8] (110.8) 00:47 114 0
5765616 문천이하 [1] ㅇㅇ(211.234) 00:37 50 2
5765614 대학원 포함 대학서열 [4] 4갤러(118.235) 00:20 167 6
5765613 전남대 내년에는 충북대한테 따일듯 [12] ㅇㅎ(58.125) 00:18 157 8
5765611 부산대 환경공학과 70퍼컷은 34%네 [2] 4갤러(106.101) 00:01 127 5
5765610 부산대 전자공학 70퍼컷이 18%네 4갤러(106.101) 04.14 96 1
5765609 부산대 화공은 경희시립급 아닌가? [1] ㅇㅇ(211.234) 04.14 142 1
5765607 인천대야. 문천이하란 말이 이거야? ㅇㅇ(118.235) 04.14 82 8
5765606 중상위권 이과 70% [5] 누백알리미(115.138) 04.14 346 8
5765604 약대 편입은 성공 하기만 하면 [3] 4갤러(211.212) 04.14 104 0
뉴스 ‘대운을 잡아라’ 선우재덕 “서민 역할 오랜만…신발 한 켤레로 촬영 중” 디시트렌드 04.1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