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당.. 정치적 지향성?모바일에서 작성

%%%%(117.111) 2025.03.30 10:26:09
조회 89 추천 0 댓글 21

2. 약력[편집]

1959.2. 진영대창국민학교 졸업

1963.2. 진영중학교 졸업[16]

1966.2.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

1966. 삼해공업 사원[17]

1966. 제7회 사법 및 행정요원 예비시험 합격

1971. 육군 제1군사령부 제3군단 제12보병사단 제52보병연대 2대대 상병 만기 제대[18]

1975.3. 제17회 사법시험 합격[19]

1977.8. 제7기 사법연수원 수료

1977.9. 대전지방법원 판사 (형사합의부 左배석 판사[20])

1978. 노무현 법률사무소 변호사

1981. 부산YMCA 이사

1982. 노무현·문재인 법률사무소 변호사[21]

1984. 부산공해문제연구소 이사

1985. 부산민주시민협의회 상임위원장

1987. 부산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상임집행위원장

1987. 공정선거감시운동 부산지부부장

1988.5.30. ~ 1992.5.29. 제13대 국회의원 (초선 / 부산 동구 / 통일민주당)

1988. 통일민주당 부산 동구 지구당위원장

1988. 통일민주당 노동정책연구소 위원장

1988.6. 제13대 국회 전반기 노동위원회 간사

1988.11. 제13대 국회 제5공화국정치권력형비리조사특별위원회 위원[22]

1988. 통일민주당 노·사문제특별위원장

1990.7. 민주당 기획조정실장

1990. 민주당 부산 동구 지구당위원장

1991. 민주당 부산 동구 지구당위원장

1991.9. 민주당 대변인

1992.3.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당 후보 (부산 동구 / 낙선)

1992.10. 제14대 대통령 선거 민주당 김대중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청년특별위원장 겸 물결유세단장

1993.3. 민주당 최고위원

1993. 지방자치실무연구소 소장[23]

1993. 법무법인 해마루 변호사[24]

1995.6.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당 부산광역시장 후보

1995. 통합민주당 부총재

1995. 통합민주당 종로구 지구당위원장

1996.4.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통합민주당 후보 (서울 종로구)

1996. 국민통합추진회의 상임집행위원

1997.11.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1997.11. 제15대 대통령 선거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파랑새유세단장

1998. 새정치국민회의 종로구 지구당위원장[25]

1998.7.22. ~ 2000.5.29. 제15대 국회의원 (재선 / 서울 종로구 / 새정치국민회의)[26]

1998.7. 제15대 국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1998.7. 제15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1998. 새정치국민회의 부당노동행위대책특별위원장

1998.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노동정책과정 수료[27]

1999.2. 새정치국민회의 경상남도당 위원장

1999. 새정치국민회의 북구·강서구 을 지구당위원장

1999. 새정치국민회의 동남지역발전특위위원장

1999. 새정치국민회의 실업대책특별위원회 자문위원장

1999.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최고위정책과정 수료[28]

2000. 새천년민주당 북구·강서구 을 지구당위원장

2000.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새천년민주당 후보 (부산 북구·강서구 을)

2000.8.7. ~ 2001.3.25. 제6대 해양수산부 장관 (국민의 정부)

2001.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2001. 법무법인 부산 변호사[29]

2001.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2002.4. 제16대 대통령 선거 새천년민주당 후보

2003.2.25. ~ 2008.2.24.[권한정지] 제16대 대한민국 대통령

2004.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명예정치학박사

2006. 알제리 알제대학교 명예정치학박사

2007. 원광대학교 명예정치학박사[31]

2008. 맑은물사랑사람들 명예고문[32]

2008. 영농법인 주식회사 봉하마을 이사

3. 일생[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노무현/일생 문서를 참고하




역대 대통령 중 처음으로 퇴임 후 서울특별시가 아닌 고향 경상도 봉하마을로 귀향[37]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자 친노 진영의 많은 인물들이 박연차 게이트 관련하여 검찰의 대대적인 수사를 받았으며 노무현과 그의 배우자인 권양숙 또한 수사 대상에 포함되었다. 그러던 중 2009년 5월 23일 오전 5시 21분에 유서를 컴퓨터에 저장하고 부엉이바위에서 투신했다. 직후 병원으로 긴급 이송되었으나[38] 두부외상으로 인한 과다출혈로 인해 결국 62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 ㅣ




진보적 자유주의자다. 정치적으로 이전 정권에 비해서 탈권위주의를 적극적으로 추구하였으며, 사회문화적으로는 이전 시대에는 금기시 되었던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더 수용하였다. 또한 경제적으로는 자유주의적인 정책을 이어나갔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보수자유주의적인 성향이 섞여 있던 김대중 전 대통령에 비하면 철저하게 제3의 길을 따른 사회자유주의 노선을 따랐다. 대외적으로는 국민의 정부의 대북포용정책을 이어나가고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대미관계에서 좀더 자주성을 추구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정치적 지향성은 사실상 노무현이 확립하였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상대적으로 보수적이었고 민주당의 기존 주류였던 동교동계와 정치적으로 선을 그으면서 열린우리당의 창당을 주도했다. 대북송금 특검의 여파도 있겠지만, 당시 노무현 정부는 호남에서의 민심이 좋지도 못했고,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지역주의 타파라는 명분 또한 분당의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보수정당에 뿌리를 둔 기존 민주당계 정당 전통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의 영향 때문인지, 사회문화적으로도 노무현과 열린우리당이 역대 집권 자유주의 정권 중 상대적으로 진보적이라고 평가받는다.[41][42]


이러한 정치성향은 개인적으로 존경했던 스웨덴의 올로프 팔메 총리로부터 영향을 다분히 받았을 것으로 보여진다. 참여정부 당시에 비서실장을 지냈던 문재인은 저서 <문재인의 운명>에서 아래와 같이 서술하였다.

"노 대통령은 스웨덴의 올로프 팔메 전 총리 얘기를 자주하며 부러워하곤 했다. 퇴근 후에 경호원 없이 자전거를 타고 시장에 가기도 해서 화제가 되었던 분이다. 결국 부인과 함께 경호원 없이 극장에서 영화보고 나오다가 누군가가 쏜 총에 맞아 사망하는 비극을 맞긴 했지만, 업무시간 외의 사생활을 보통사람처럼 자유롭게 했다. 노 대통령은 그런 나라를 꿈꿨다." (222)

노무현 스스로도 회고록에서

"스웨덴의 훌륭한 지도자가 1986년 아내와 함께 극장에 갔다가 돌아가는 길에 저격을 받아 죽었습니다. 계엄이 선포되고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그렇게 자유롭게 걸어 다니는 지도자가 없고, 시민과 같은 높이에서 걸어 다니는 지도자도 없습니다. 그런 면에서 스웨덴이란 나라가 부럽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그런 나라로 한번 만들어 보자고 생각했었습니다. 저도 그런 지도자가 되고 싶은 마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180)

라고 언급한 것은 그가 꿈꾸었던 이상적인 국가상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술 마시면 실수가 많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14 - -
AD 해커스로스쿨전국모의고사 5/10(토) 온·오프 동시시행 운영자 25/04/10 - -
AD LEET D-100, 합격을 가르는 기출특강 무료 공개 운영자 25/04/01 - -
공지 4년제 대학 갤러리 이용 안내 [413] 운영자 07.06.12 152320 62
5765199 아니 형들 적어도 광명상가 인아항정도 가줘야 중상급 여성 ㅇㅇ(223.38) 05:33 6 0
5765198 등드름있으면 제발 쳐 읽어라 ㅇㅇㅇㅇ(222.105) 04:56 11 0
5765197 우리도 코미디언을 대통령으로 ㅇㅇ(118.235) 04:45 13 0
5765196 등드름있으면 제발 쳐 읽어라 ㅇㅇㅇㅇ(222.105) 04:05 17 0
5765195 미.... 미안해! 4갤쿤❤ [1] 존댓말(39.116) 03:49 38 1
5765194 [핫딜] 레쓰비 30캔 천원 [1] 4갤러(221.155) 03:33 28 0
5765192 입결 우뚝 떡상 인기 절정 최고 탑 명문! 4갤러(203.229) 02:44 39 1
5765189 25정시입결 단대 입학처출처 및 코핌70퍼컷누백 4갤러(118.235) 02:11 75 3
5765185 아주대 미모공 업적 떴냐..? [2] 아망아좆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1 102 5
5765180 근데 여긴 완장도 없으면서 [7] 아망아좆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4 110 3
5765178 '인하대 딥페이크' 제작·유포한 15명 검거‥8명 구속 4갤러(211.202) 01:11 21 0
5765177 집이 못 살아서 등록금이 부담되면 부모탓을 해야지 4갤러(211.234) 01:07 25 0
5765176 등록금 4000만원도 없는 집안이면 알만함 4갤러(211.234) 01:03 36 0
5765175 근데 여기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6] 4갤러(211.219) 01:02 85 0
5765174 에타 글 외부유출 금지 규정 모르노? 4갤러(211.246) 01:02 35 0
5765173 명품매장 대리 티켓팅 아르바이트 해본 갤러있음? 붕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0 14 0
5765169 냅둬라 20대초 앰생을 가르는 갈림길에 4갤러(211.234) 00:57 38 1
5765166 성한 서 밑으로는 반수왜함? 4갤러(220.116) 00:45 40 1
5765164 연대 vs 고대. 제3자만 솔직 투표해라 4갤러(118.235) 00:42 63 2
5765163 아망아좆대 입학처에 신고해도 되냐? [5] 4갤러(175.223) 00:42 65 0
5765160 대학이란게 원래 이런거였슴? 좆나 다니기 싫은데 [1] ㅇㅇ(118.235) 00:29 42 0
5765159 아주대 만약 서울에 있었음 [21] 아망아좆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6 186 2
5765158 근데 과기 msde가 설문보다 실무 잘할거 같긴함 [2] 4갤러(220.116) 00:12 52 2
5765157 코로나 시절 3년동안 대학 다닌 새끼들은 시발 좆나 부럽노 [1] 4갤러(112.185) 00:10 57 0
5765156 올해는 인천대와 부경 싸움이 치열하겠네.. [1] ㅇㅇ(175.223) 00:08 82 0
5765155 뺄갱이어 (팽하를)담보하다+가열차게를 쓰는ㄴ은 뺄갱이ㅅㅋ거나 개대지다 4갤러.(124.49) 00:02 46 0
5765154 성수공이랑 성균문돌이랑 서로 왜싸우냐 ?? [3] ㅇㅇ(219.249) 00:02 60 1
5765150 아주대 문과 메리트 ㅇㅇ.. [17] 아망아좆대(125.130) 04.13 190 3
5765148 아무리 문레기라도 성신메갈대보단 아주 국민 단국이 낫다 [5] 4갤러(123.212) 04.13 92 6
5765147 223.38 병균경영 수급자 꼴통새끼 회떨이나 고시낭인새끼 4갤러(135.125) 04.13 21 0
5765146 지랄들 말고 이대로 대학가라 ㅇㅇ(175.223) 04.13 84 3
5765140 지역 최고 대학이면 최소한의 자부심은 있음 [8] FC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58 4
5765139 로스쿨입학자수)설연고>>>서한중성건경시홍국숭세단광명상 4갤러(223.39) 04.13 56 1
5765138 내가 여조 못믿는 명백한 사유  ㅇㅇ(14.46) 04.13 41 3
5765137 서성한 <--- 정치권에서 제일 애매한 포지션 [4] 4갤러(118.235) 04.13 153 7
5765136 ‘떼쓰면 받아주는 평가’에 교육부도 대학도, 상처만 남았다 4갤러(211.202) 04.13 20 0
5765131 고3인데 담임이 존나 대충임 [7] 4갤러(211.235) 04.13 168 0
5765127 인천대 나온 틀딱새끼 말투부터 홀애비 냄새남 [22] ㅇㅇ(118.235) 04.13 263 21
5765119 [속보] 시립대, 과기대, 서울교대 통합발표 [1] 4갤러(211.118) 04.13 199 0
5765112 인천대가 까다로운 거 맞음 [4] 4갤러(211.198) 04.13 101 2
5765111 인하대, 인천대 모두 좋은 대학이다. [6] FC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141 2
5765108 장신대 누백 보고 더 신뢰가 안간다 생각함 4갤러(118.235) 04.13 53 1
5765107 건대 동대 이하로 수험생들의 현실적인 공대 선호도는 이런듯 [15] 4갤러(59.13) 04.13 407 22
5765105 300만 인천시를 대표하는 인하대 [1] FC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3 97 4
5765104 아니 서울에서 대학서열을 세우지말라고 병신들아 4갤러(223.38) 04.13 73 1
5765103 서울씨발 지ㅈ대로 아숭곽 이지랄허네 4갤러(223.38) 04.13 77 0
5765101 문이과 대학 서열 [1] 4갤러(211.234) 04.13 120 3
5765098 인천대도 변태전형씀? [2] ㅇㅇ(61.42) 04.13 61 0
5765097 4년제 여학우들 설문조사 민우(106.102) 04.13 59 0
뉴스 ‘컴백 D-2’ 유니스, 작정한 ‘스위시 걸’... 기대 포인트 셋 디시트렌드 04.1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