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 긴 장마가 끝나면 본격적인 더위가 기승을 부릴 전망이다. 특히 올 여름은 ‘슈퍼 엘니뇨’ 현상이 예고되면서 이상고온으로 인한 역대급 폭염이 전망되고 있다. 무더운 여름철에는 왕성했던 식욕도 뚝 떨어지는데, 이런 때일수록 시원한 먹거리가 간절해지기 마련이다.
서울에 사는 50대 직장인 김 씨는 얼마 전 더워진 날씨에 직장 동료들과 가볍게 냉면 한 그릇을 먹으러 갔다가 가격을 보고 깜짝 놀랐다. 한그릇 가격이 무려 1만3천원이다. 냉면이 이제 더이상 ‘가벼운 점심’이 아닌 것이다.
사진=리뷰타임스
냉면뿐만이 아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동네에 흔히 있는 아이스크림 전문점에서 바구니 가득 아이스크림을 사도 만원 안팎으로 나오던 금액이 이제는 같은 양을 사도 지난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올랐다.
이렇듯 여름철 대표 먹거리인 냉면과 아이스크림의 가격 상승이 심상치 않다. 가볍게 지갑을 열지 못하는 세상이 되어버렸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가격이 올랐을까?
전문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의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의 10개 지역 대표 냉면(일반) 가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대비 7%,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과 비교하면 무려 2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이스크림 역시 주요 3사(롯데웰푸드, 빙그레, 해태아이스크림) 모두 지난해 대비 일반 소매점 기준 100~200원씩으로, 약 20~30%씩 인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가격 상승의 원인은 주재료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냉면과 아이스크림에 들어가는 주재료의 최근 5년간의 가격 변화를 분석한 결과, 냉면은 평균 50.5%, 아이스크림은 35.2%의 상승률을 보일 만큼 주재료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냉면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먼저 면의 주재료인 메밀 가격의 가파른 인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국산 메밀의 경우 1kg 10,000원으로 5년 전 가격인 6,500원 대비 53.8% 증가했다. 국산 메밀 가격이 비싸서, 대체제로 사용되는 수입산 메밀 가격 역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수입산 메밀 가격은 1㎏당 4,383원으로 5년 전 가격(2,840원) 대비 54.3% 오른 가격이다.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으로 생산량이 줄어든 것이 가격 인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그 외 식 재료 역시 그 해의 기후 변화 등에 따라 해마다 가격 변화가 있으나, 2018년과 비교하면 전기나 가스 등 에너지비 상승으로 인한 재배 비용 증가,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모두 올랐다.
아이스크림 가격 상승의 원인 역시 비슷하다. 러-우 전쟁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직접적인 식재료뿐만 아니라 인건비, 가공비, 물류비 등이 모두 인상되었다. 게다가 빙과류 제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유와 설탕 가격이 계속 상승세다. 이 두 품목은 비단 빙과류뿐 아니라 제과나 제빵 등 다양한 식품에 영향을 미쳐 최근에 ‘슈가플레이션’이나 ‘밀크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내고 있다.
설탕은 2018년 대비 21.5% 올랐고, 우유는 14.7% 올랐는데, 우유의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지만, 국제 곡물 가격 상승 등으로 사료 가격이 오르는 등 원유 가격이 매년 꾸준히 오르고 있는 점을 보면 향후에도 계속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설탕 역시 국제 설탕 가격이 12년 만에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가운데, 올 여름 ‘슈퍼 엘니뇨’ 영향으로 내년까지 주요 원당 생산국의 생산량 감소 가능성이 대두되며 가격이 더 오르고 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하반기에 또 다시 인상 소식이 들려올 가능성이 높다.
한편, 지금처럼 고물가 시대에는 식당에서 사 먹는 것보다 반값 가격으로 비교적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가정간편식(HMR) 수요가 많아지며 시장이 커지고 있다. 냉면 역시 갈수록 ‘집냉족’이 늘어나고 있는데, 여름철 대표 보양 음식인 삼계탕을 더 이상 식당에서 사먹는 게 힘들어질 전망이다.
사진=리뷰타임스
삼계탕 한 그릇 가격이 1년 새 10% 넘게 치솟으면서 2만 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복을 하루 앞둔 지난 10일 한국소비자원 생필품 가격정보 ‘참가격’에 따르면 올 5월 기준 서울 전체 평균 삼계탕 1인분 가격은 1만 6,423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1만 4,577원)보다 11.2% 치솟았다. 1년 만에 약 2000원 상승한 셈이다.
실제로 서울 시내 주요 삼계탕 전문점을 둘러본 결과 삼계탕 한 그릇의 가격은 최저 1만 6000원부터 최고 2만 원 선에 판매되고 있었다. 산삼이나 전복이 들어간 메뉴는 무려 2만 5000원대를 훌쩍 넘었다.
삼계탕 가격이 이처럼 크게 오른 이유는 인플레이션과 함께 요리 재료인 닭고기 가격이 지난해보다 13% 가까이 상승한 탓으로 풀이된다. 축산물품질관리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도매 닭 가격은 마리당 4,262원으로 지난해 같은 날(3,879원)보다 약 9% 치솟았다. 소매가격은 같은 날 기준 6,364원으로 1년 전(5,584원)보다 12.2% 껑충 뛰었다. 닭 사료 가격 등 생산비 상승으로 전국 농가의 사육 규모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한국소비자원은 평가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