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포켓몬스터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포켓몬스터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부산 현지인들도 모르는 부산의 명소.jpg ㅇㅇ
- 싱글벙글 아내한테 날라온 고소장 레이퀀스뱅큐어
- 자연적으로 남성 호르몬 올리는 방법 형기
- 결혼한 사람, 미혼보다 치매 위험 더 높다…충격적 연구 결과 ㅇㅇ
- 양평읍에 하나 있다는 평점 1점짜리 영화관 ㅇㅇ
- 트럼프 취임.. 미증 ..1경4천조 증발 ..jpg 업햄
- "월세 감당 불가", 회사 화장실서 사는 여성.jpg ㅇㅇ
- 9년만에 출산율이 반등했다고...?.jpg ㅇㅇ
- 싱글벙글 요즘 무협지.manhwa ㅇㅇ
- 이스라엘, 트럼프 첫 대면 관세협상 ㅋㅋ.
- 나솔 미혼여성...108배 시작한 이유 ㄹㅇ...jpg Adidas
- ★야마구치에 대해 araboza★ marubo
- (스압.webp) 타이페이 송산공항, 타오위안공항 전망대 미소천솨
- 싱글벙글 또 주가 폭락... 미주갤 근황...jpg ㅇㅇ
- 남자가 이 새들을 '꼭' 구해줘야 했던 이유.jpg ㅇㅇ
싱글벙글 취미별 인식
여기서 취미는 그냥 덕질의 대상을 말함 순서는 (대충) 좆같은 정도근데 증상 수준에 따라 좆같은 정도가 튀는 경우도 많아서 순서는 그냥 신경 안써도됨안넣은거 많음1. 영화일반인 취미 #1. 하위 분류로 히어로물 등이 있음웬만한 중증이어도 일반인들이 이상하게 볼 일은 잘 없음 영화 좋아하면서 찐내 풍기는건 그냥 원래 찐내나는 사람이라 그런거임요즘 영화는 거의 독서급으로 이미지 좋은듯2. 독서일반인 취미 #2 근데 이미지 좋은 것과 별개로 막상 흔치 않고 교보문고에서 화장 안하고 인문학쪽 돌아다니는 얼굴 빻은 년들은 높은 확률로 정병임 독서가 취미인 것 처럼 보이지만 그녀들은 트위터가 취미기때문에 논외 이분들덕에 똥같은 책 배설되면서 이미지 안 좋아짐라노벨 등등은 당연히 제외임중증으로가면 영화보다도 찐따냄새 심해짐 근데 이것도 책으로 찐내 내는거면 재능임3. 술일반인 취미 #3앞 둘보다 낮게 둔 유일한 이유는 영화/독서처럼 마냥 좋게보는 사람이 줄어듬4. 아이돌가볍게 좋아하는 정도와 중증이 차이가 매우매우 큼 중증은 정병 100%파급력도 좆돼서 일정 수준 넘어가면 모두가 눈살을 찌푸림여기서부터는 경증도 일반인들 눈에 좆같아보임 그래도 일반인 취미라는 넓은 범주에 들어감5. 게임킹반인 게임은 어느정도 빠져도 이상하게 보지는 않음 근데 킹반인 안하는 콘솔게임 등 찾아하는건 중증일경우 찐내 100%남정병 농도는 아이돌 등에 비해 적은듯게임 분류에 따라 슬슬 일반인 취미에서 벗어나게됨 그래도 넓게 일반인 취미6. 건담잘은 모르는데 중증만 아니면 신기하게 일반인도 이상하게 생각 안함중증은 어떤지 몰라서 넘어감 여기 중증이면 씹덕이랑 많이 겹칠듯?7. 뮤지컬/연극여기서부터는 중증 이상 = 100% 정병임계집들이 많고 경증 이하면 일반인에게도 이미지 좋은데 심연이 아래에있는 다른 분야보다도 깊음8. 오디오이제 일반인 범주를 벗어나기 시작함 조금 특이하네 소리 들을 수 있음대신 중증의 좆같음이 여타 취미에비해 극히 낮은편 어차피 집에서 안나오기때문에 볼 일 별로 없어서인듯9. 씹경증정도는 킹반인의 기열찐빠스러운 귀여운 취미 반열까지 들만큼 이미지 괜찮아짐중증은 이상하게봄 극중증 아니면 갓반인에게 정신병자 소리까지 듣는 경우는 흔치 않음9-1. 씹덕겜이건 일반인은 절대 하지 않음이런거 한다는 것 부터 이미 경중증이라는거임여기서부터 상위권은 정신병자 소리 듣기 시작함9-2. 유희왕알게모르게 씹덕이랑 겹침별나보이지만 의외로 일반인에게 이미지 엄청 나쁘지 않음 하지만 중증은 정병이 새어나옴10. 메던이걸 일반인이 하는걸 근 몇년간 본적이 없음 중증이면 던메를 하는 모습을 보고 정병이라 하는게 아니라 그냥 정병 소리를 들음11. 버스/철도여기서부터는 원래 정신병자라 좋아하는 단계임원래같았으면 특이한 수준의 취미로 보였겠지만 데모그래픽 특성상 누가 봐도 정신이 온전치 않아보임아
작성자 : 부녀자공제고정닉
왜 기존의 sd카드를 못쓰는가
LOD [Level of Detail] 때문임 90년대 시절 초창기 3D 게임부터 있던 기술인데 가까운 곳의 물체를 뚜렷하게 보여주고 먼곳을 흐릿하게 하는 최적화 기술? 같은거임맵의 모든 오브젝트를 한번에 로딩해놓고 움직이는것보다 플레이어가 보는 방향만 구현하는게 더 적은 시스템 자원으로 만들 수 있는거잖음.CD에서 DVD로. DVD에서 하드디스크로 넘어오면서 . 발전한 읽기 성능으로 성능대비 효율적인 화면을 만들어 낼수 있게 됐었음하드디스크 시절 LOD 걸작이라고 하면 마블스 스파이더맨을 꼽을 수 있는데 PS4 정도의 성능으로 빠르게 오픈월드를 돌아다니면서 멋진 그래픽을 보여줬었음 하지만 하드디스크의 성능으로는 한계가 있었고. 스파이더맨의 속도를 좀더 빠르게 설정하면 하드디스크가 게임이 요구하는 그래픽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점점 게임이 느려지다가 멈추는 문제가 있었다고함여기서 나오는게 SSD임 마크서니의 로드 투 PS5 영상에 의하면 PS4가 20초동안 읽어야 되는 1기가 파일을. PS5는 0.27초만에 읽을수 있었다고 함이 성능으로 LOD도 극한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그 결과물이 PS5와 언리얼엔진5의 테크데모의 나나이트 영상과 메트릭스 어웨이큰 데모임PS4 시절 갓오브워4 편의 크레토스는 32000개 정도의 폴리곤을 사용했는데 언리얼 엔진 테크데모에서 등장한 조각상은 수백만개의 폴리곤이 들어가 있었다고 함 LOD를 자동으로 해주는 나나이트 기술을 활용해서 안보이는 부분은 줄이고. 스트리밍 하고 어쩌고 했다는데 잘 모름PS5와 PS4가 단순 연산능력 기준으로만 따지면 몇배 차이 안남에도 백배 가량 되는 퍼포먼스의 차이를 낼수 있었다 이거임 그리고 첫 테크 데모가 공개된지 1년 7개월뒤에 공개된 매트릭스 어웨이큰도 충격적인 데모였음파이널 판타지7로 돌아가보면 인게임 모델링으로 이뤄진 실시간 CG랑 고성능 컴퓨터로 긴 시간에 걸쳐 작업한 시네마틱 컷신이 존재하잖음 이 둘사이에 큰 격차가 존재하는건 수십년간 비디오게임에 계에 존재하는 불변의 진리였는데 이걸 매트릭스 어웨이큰이 흔들어 버린거임 PS5,시리즈 X 같은 실제 게임기에서 리얼타임으로 만들어지는 컴퓨터 그래픽이. 공성능 컴퓨터로 오랫동안 작업한 영상과 큰 차이가 안나는모습을 매트릭스 어웨이큰 이라는 테크 데모로 볼수 있었고 이건 고성능 저장공간과 그걸 활용가능한 CPU. 그리고 최신 지오매트리를 탑재한 GPU의 힘으로 만들어 낼수있었는데 스위치2엔 이 모든게 들어있다는 거임 물론 이 나나이트 성능을 살린 검은신화 오공이 PS5에선 퍼포먼스가 모자란 모습을 보여주긴 했지만언리얼엔진4 기반 게임에서 5로 넘어오기도 했고. 5.0에 가까운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게임인데 최근에 공개된 언리얼엔진 5.5에선 효율이 두배정도 좋아졌다고 하니까. 스위치2에서 어떻게든 잘 쓸수 있지 않을까?새로운 SD 카드인 마이크로 SD 익스프레스는 PS5의 SSD나 스위치2의 UFS3.1 보단 느리겠지만 일반적인 유저들이 사용하는 100MB/S 대 SD보다 10배 가량 빠른 성능을 가지고 있으니 이 놀라운 LOD 경험을 살릴수 있지 않을까 싶음사실 잘 몰라
작성자 : 언성을높이지마라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