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코리아 베이스볼 프런티어(KBF)








운영 방식 : 지역 자율형 프랜차이즈 / 서포터즈 직접 참여 / 오픈 드래프트 시스템 도입 / AI 스트라이크 존 및 피치 클락 도입
지역 기반 : 중소도시 및 신흥 지역
구단 수 : 6개로 출범 (12개까지 확대) 일정 : 5월 ~ 11월 (KBO와 시간차 운영)
선수 이동 방식 : 드래프트 없음, KBO 이적 가능 , 완전 자유 계약
포스트시즌 : 3위와 4위는 와일드카드 시리즈(단판 또는 2전 1승제, 연장 12회 승부치기) ,
새미파이널 시리즈 (2위 VS 와일드카드 승자, 5전 3선승제 , 1.2.5차전은 2위팀 홈) ,
챔피언십 시리즈 (1위 VS 새미파니얼 승자 , 7전 4선증제 , 1위팀은 홈경기 4번)
KBO와 영대리그 형성 한다는 가정하에 진짜 시즌 최종전 : KBO 우승팀 VS KBF 우승팀 코리아 슈퍼 시리즈
구단 : 강릉 노던라이트 - 새벽과 별빛을 테마로 한 '희망과 재기의 팀', 마스코트 북극 여우 "루미",
진주 블랙타이거즈 - 묵직한 타격력과 ‘호랑이처럼 다시 일어서는’ 정신, 마스코트 수호신 "검호"
대전 스트라이커즈 - 로켓처럼 빠르고 강한 투수 중심 팀, 마스코트 번개 두더지 "볼트"
익산 와일드윙즈- ‘자유’와 ‘파격’을 상징하는 외야 수비 전문 팀, 마스코트 제비 "비연",
제주 리바이어던즈 - 해양 괴수 콘셉트, 돌풍처럼 기습하는 플레이 스타일, 마스코트 바다의 혼 "카이온".
의정부 센트리온스 - 로마 군단처럼 조직적이고 규율 있는 수비력 강조 팀, 마스코트 미니 센트리온 "막시무스".
(2) 코리아 얼터네이티브 리그(KAL)








구단 : 6개(8~ 12개 확대 가능) 지역 기반 : 중소도시 및 도서 지역까지 확대
리그 특성 : 피치클락 강화, 자동 스크라이크 존
선수 풀 : 자유계약, 유스 출신 우선 지명, 외국인 제한 완화
수익 구조 : 지역 후원, 스트리밍
포스트시즌 : 얼터너먼트 라운드(2,3,4,5위 팀이 한 장소에서 4일간 각 팀 3경기씩 리그전, 상위 2개팀이 단판 승부로 얼타 파이널 진출) ,
얼터파이널 (1위팀과 얼터너먼트 라운드 승자팀이 5전 3선승자 , 1차전은 DH 없이 투수는 타격해야 , 2차전은 7이닝 경기에 홈런 더비
이벤트 , 3차전은 팬투표로 스타팅 라인업 중 3명 결정 , 4차전은 수비 시 중간 투수 교체 불가 , 5차전 승부치기 업이 무제한 연장전)
KBO와 양대리그 형성 한다는 가정하에 진짜 시즌 최종전 : KBO와 통합 왕중왕전 '코리아 챔피언스컵'
(정규시즌 종료 후 KBO 우승팀 VS KAL 우승팀) (다른 명칭 코리아 시리즈 엑스 또는 코리아 클래식)
구성 구단 : 춘천 블리자드 – 눈처럼 날카로운 제구력, 마스코트 용 또는 표범 "설요"
군산 매리너스 – 바다의 도시, 제2의 이대호 꿈꾸는 팀, 마스코트 갈매기 또는 인간 선장 "캡틴 건스"
안동 구르카스 – 전통과 근성을 상징, 마스코트 전사 “쿠리”
속초 스톰 – 거센 파도처럼 몰아치는 타선, 마스코트 문어 "토르미"
목포 파이어리츠 – 해적 같은 기습 야구 전개, 마스코트 앵무새 또는 해적 선장 "모파"
울산 볼케이노스 – 뜨거운 화산처럼 한 방 있는 팀 , 마스코트 불의 정령인 용 "라바"
(3) 코리아 프로패셔널 베이스볼(KPB) - 드라마 스토브 리그에서도 써먹었던 명칭










운영 방식 : MLB식 운영, KBO 열정 , NPB 기술적 완성도 융합
구단 (스토브 리그와는 다름) : 인천 스톰 (마스코트 로봇 펭귄 "스피노")
청주 바이퍼스 (마스코트 독사 "독순이" 또는 "비")
전주 레이더스 (마스코트 인공지능 정찰 드론에 전통 도령 캐릭터 합쳐진 "레이")
강릉 블리자드((마스코트 빙설 곰, 빙판고양이, 회오리 정령 합쳐진 "눈보라" 또는 "블리")
창원 타이푼스(마스코트 소형 용 또는 구름 속 바람 정령 "푼이" 또는 "타이")
제주 마린스(마스코트 바다 정령,문어,해녀 혼합된 "마링이" 또는 "뽈락이")
대전 썬더즈(마스코트 전기 정령, 사이보그 고양이, 천둥 새 혼합 "번개돌이" 또는 "썬디")
수원 드래그너츠(마스코트 : 불꽃 드래곤 "화이룡" 또는 "드락이")
제도 : 지명타자제 , 로봇 심판, 5초 피칭 룰, 신인 드래프트 및 지역 프랜차이즈 유소년
포스트시즌 : 와일드카드 라운드 (3전 2선승제 , 3위 VS 6위, 4위 VS 5위 , 연장 10회 이후 홈런 더비 승부치기) ,
새미 파이널 (2위 VS 와일드카드 승률 1위 , 5전 3선승제) ,그랜드 파이널 (1위 VS 새미 파이널 승자, 7전 4선승제 포맷 ,
우승팀에게는 챔피언 벨트 수여, 그랜드 파이널 최종전은 도쿄, 타이베이, LA 등 해외에서 개최도 가능)
KBO와 양대리그 형성 한다는 가정하에 진짜 시즌 최종전 : KBO 우승팀 VS KPB 우승팀 슈퍼 시리즈
(4) 코리아 베이스볼 프리미어(KBP)










특징 : 국제 선수 영입 무제한 , 드래프트는 글로벌 공개 행사
포스트시즌 : 에피소드 라운드 (4위 VS 5위 단판 승부) , 에픽 시리즈 (3전 2선승제 , 3위 VS 에피소드 승자) ,
새미 엘리시움 시리즈 (2위 VS 에픽 승자 , 5전 3전승제 , 부산 울산 광주 제주 중립 구장 개최도 가능) ,
그랜드 엘리시움 시리즈 (1위 VS 새미 엘리시움 승자 , 7전 4선승제 , 시리즈 MVP 상금 1억)
KBO와 양대리그 형성 한다는 가정하에 진짜 시즌 최종전 : KBO 우승팀 VS KBP 우승팀 슈퍼매치
구단 : 서울 프라임즈 -최고 연봉, 최고 인기팀(마스코트 : 인간형 로봇 또는 서울 타워 의인화 캐릭터 "프림")
부산 서밋즈 - 국제 해양 도시 기반, 아시아 연계팀 (마스코트 산악 돌고래 “서미”)
성남 시그널즈 - 하이테크 & 분석 중심 구단 (마스코트 미래형 로봇 너구리 "시니")
인천 스카이라이너스 - 공항/글로벌 문화 중심 (마스코트 제트기 의인화 또는 하늘새 "제티")
대전 루미너스 - 과학도시 컨셉 + 데이터 야구 (마스코트 유성 알파카 또는 광자 로봇 “루미”)
용인 블레이즈 - 청소년 야구 + 글로벌 유소년 허브 (마스코트 작은 용 또는 불의 정령 전사 "플레어")
광명 뉴프런티어즈 - K-POP 협업 / 엔터 기반 구단 (마스코트 우주 정복자 또는 개척자 로봇 "노바")
김해 로열스 - 왕실 모티프 / 전통과 현대 조화 (마스코트 사자 "로얄 라이언" 또는 "가온")
* 현실적으로는 인프라 부족, 중계권 확보 어려움, 시장 규모 한계, 수익 구조 불안정으로 퓨처스 상업화, KBO 라이벌 리그 출범 어려움.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