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동서양 철학의 분류와 성격( 내용 보충)

중갤러(220.121) 2025.04.02 13:38:24
조회 25 추천 0 댓글 0

viewimage.php?id=28a5d12bdadc3db13c&no=24b0d769e1d32ca73fe885fa11d028316826d250223c2b2503825105de7d45260e61f7711cfb32e72078429d1c29078bf18e858ec9b8086a59d72ca1dc6b40a044e1f8cb

연역법은 대전제를 바탕으로 소전제. 그안의 결과를 이끌어내는 방식.


귀납법은 개별적인 사례 소전제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대전제를 이끌어내는  방식.


분석-종합은


이론을 먼저 만든 후, 세상에 적용.


종합-분석은


세상을 먼저 살아가다가 나중에 경험을 종합해 이론 개발.


제가 위에그린 그림에서


동의가 안되는 부분도 많으실겁니다. 


그 설명은 나중에 하겠습니다. 

 

어쩃든.


서양은 믿음의 도약을, 동양은 의심의 도약을 했습니다.


이 믿음과 의심에 대해서 먼저 얘기를 드릴게요.


이제부터 하는 얘기는 언어로 믿음이나 의심을 설명하면 이해하기 어려워서 그냥 그림으로 그리는 거니까 양해해주세요.



viewimage.php?id=28a5d12bdadc3db13c&no=24b0d769e1d32ca73fe885fa11d028316826d250223c2b2503825105de7d45260e61f7711cfb32e72078429d1c29078bf18e858ec9b8086a57d670a6886b14f4f00c427c

검은 점이 믿음입니다.


꽉 차있죠? 믿음이 원래 그래요. 강한 힘이응집했으니까.




빈원을 바탕으로 


그안과 밖에서 화살표들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게 의심입니다.


기본적으로 원은 분석이고, 화살표는 종합입니다.  원은 관념이고, 화살표는 경험입니다. 



이제 서양의 분석-종합, 귀류-연역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설명해볼게요.



viewimage.php?id=28a5d12bdadc3db13c&no=24b0d769e1d32ca73fe885fa11d028316826d250223c2b2503825105de7d45260e61f7711cfb32e72078429d1c29078bf18e858ec9b8086a04812da6dc6d15a3d2e035e0

서양의 대륙철학은 전체적인 모양이 2번 째 모양이고


분석철학은 전체적인 모양이 1번째 모양입니다.



미시적으로 대륙철학은  귀납적이지만, 거시적으로는 연역적입니다.


즉,만들어진 대전제에 따라 소전제의 결과가 정해집니다. 


대륙철학의 미시적 힘은 확장하는 힘이지만, 거시적으로 귀결되는 힘입니다.


분석철학은 미시적으로는 연역적이지만, 거시적으로는 귀납적입니다.


분석철학의 미시적 힘은 귀결되는 힘이지만, 거시적으로는 확장하는 힘입니다.



즉, 일단 만들어진 소전제를 바탕으로 대전제를 도출합니다.




이제 동양을 살펴보자면



viewimage.php?id=28a5d12bdadc3db13c&no=24b0d769e1d32ca73fe885fa11d028316826d250223c2b2503825105de7d45260e61f7711cfb32e72078429d1c29078bf18e858ec9b8086a07872ca68c6215f20dcfb0e6

동양철학에서 불교적인 철학은 1번쨰 모양이고, 유교적인 철학은 2번째 모양입니다.



미시적으로 유교적 철학은 귀납적이지만, 거시적으로 연역적입니다. 


미시적으로 불교적 철학은 연역적이지만, 거시적으로 귀납적입니다.



그리고 설명은 위와 비슷합니다.




이제 그 변화하는 모양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서양입니다.



viewimage.php?id=28a5d12bdadc3db13c&no=24b0d769e1d32ca73fe885fa11d028316826d250223c2b2503825105de7d45260e61f7711cfb32e72078429d1c29078bf18e858ec9b8086a078526a38b6f16fcb61de409

이게 서양의 변화입니다. 믿음은 새로운 믿음으로 이어지거나, 다른 원래 있던 다른 믿음과 충돌하고 경쟁합니다.


그래서 서양은 매우 신속한 이행, 믿음의 이행과정+ 경쟁과정에 따른 부작용이 있습니다.


믿을수 있는 것들이 너무 많기에. 그것이 믿음의 경쟁을 촉발합니다


viewimage.php?id=28a5d12bdadc3db13c&no=24b0d769e1d32ca73fe885fa11d028316826d250223c2b2503825105de7d45260e61f7711cfb32e72078429d1c29078bf18e858ec9b8086a538d24a7d96b1cf28499a911

이제 동양은 서로 종합하는 힘의 경계선에서 선을 넘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의심의 화살표끼리의 균형과 유지되는 시간에 의해서


한동안 오래 질서와 평화가 유지되지만 대신에


기존 믿음과 관련된문제의 개선, 또 자체적인 발전에 근본적인 속도가 느리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동서양 철학에서 쉽게 생길수 있는 문제는


1. 매듭자르기의 오류( 서양의 강한 믿음)


2 .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동양의 강한 의심) 


이 두가지 오류를 쉽게 일으킬수 있는 성질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동양의 철학과 서양의 이러한 철학은


서로 보완 되지만 동시에 경쟁 갈등할수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이제 마지막 번외편으로..


수학과 과학과 설명해드리도록


하자면..


수학과 과학은 동아시아랑, 중국에서 모두 등장했습니다.


그리고 따지고 보면.


위의 서양철학 동양철학의 차이도 대체로 그런 분위기였다지. 모두 그렇다는 아닙니다.



viewimage.php?id=28a5d12bdadc3db13c&no=24b0d769e1d32ca73fe885fa11d028316826d250223c2b2503825105de7d45260e61f7711cfb32e72078429d1c29078bf18e858ec9b8086a07d077a5d96344fcaf99c659

수학과 과학은


모두 분석-종합이자 동시에 종합-분석입니다.


수학이 더 거시적 연역이자 미시적 귀납이고


과학이 미시적 연역이자, 거시적 귀납입니다. 





그리고 수학과 과학은


둘다를 포용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지만


동시에


그 두가지의 단점도 같이 가지고있습니다.


위의


매듭자르기 + 일반화 말이죠.



하지만, 동시에 매우 발전적이고, 매우 안정적이고, 매우 실험적입니다. 





viewimage.php?id=28a5d12bdadc3db13c&no=24b0d769e1d32ca73fe885fa11d028316826d250223c2b2503825105de7d45260e61f7711cfb32e72078429d1c29078bf18e858ec9b8086a57d772f2df6315f114e30ceb

위의 동양과 서양의 변화 차이는


초기조건의 차이라고 할수 있는데,


실제 역사적으로도


동양은 노자-공자


서양은 파르메니데스-헤라클레이토스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 초기조건의 차이는


서양은 강한 믿음(불변)과 화살표로서 변화하는 경험과 종합을 분리했고.


2분법적으로 대체로. 분리했고.


동양은


보이지 않는 불변과 변화를 함께 공존시켰다는 것에서 초기조건의 철학적 차이를 느낄수 있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사회생활 대처와 처세술이 '만렙'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3/31 - -
이슈 [디시人터뷰] LPBA의 차세대 스타, 당구선수 정수빈 운영자 25/04/02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1275048 95년생인데 이제 취업햇는데 속도판단좀 [15] ㅇㅇ(223.38) 04.03 178 1
1275046 드라이빙센터 무슨 일 하는 지 아는 사람? 중갤러(211.107) 04.03 14 0
1275045 중붕이 사다리차 만들엇슴 [2] 달탐정탐험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91 0
1275043 전문대 공대 2.7 졸 취부이 담주 면접보러 간다 [5] ㅇㅇ(61.255) 04.03 80 0
1275042 오늘 경리 연애사 썰 들었는데 지겹다 [1] ㅇㅇ(106.101) 04.03 155 0
1275040 의사선생님 제 거기에서 자꾸 필리핀,브라질 우표가 나옵니다… 중갤러(119.207) 04.03 43 0
1275039 지금 좃소 들어가기 힘듬? 중갤러(121.171) 04.03 48 0
1275038 진짜 왜이리 사고같은걸로 주변가족 전화오면 지말만 존나해대냐 ㅋㅋ ㅇㅇ(175.194) 04.03 25 0
1275036 알콜중독자 윤석열 내일 파면됨 [1] 중갤러(125.141) 04.03 52 4
1275035 난 망치질하는 일을하고싶어 [2] 딩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43 0
1275034 돈 어케모으냐 [2] 중붕이(211.234) 04.03 47 0
1275032 포경수술 했는지 물어보는 여직원 심리가 뭐냐? [1] ㅇㅇ(106.101) 04.03 137 0
1275031 김은미 시발년아 중갤러(121.138) 04.03 60 1
1275030 서로 기싸움 왕따시키기는왜함? [3] 딩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64 0
1275029 노처녀 특징 [1] 중갤러(106.101) 04.03 74 0
1275028 요즘은 한그릇 먹고도 배고픔 취준생(220.80) 04.03 17 0
1275027 코인 빈토막 났다 ㅅㅂ 소화하고 가라 [4] ㅇㅇ(106.101) 04.03 180 0
1275025 아!! 진짜 개저씨들 너무 싫다 너무 싫어 [6] 민희(220.120) 04.03 139 5
1275024 경리 팬티 훔침ㅋㅇㅋ ㅇㅇ(118.235) 04.03 213 0
1275023 4살 어린 경리한테 아 뭐하냐고요 하면서 욕처먹음 [7] ㅇㅇ(185.253) 04.03 282 2
1275022 만29살 이제 천마넌 모음 [3] 중갤러(118.235) 04.03 87 0
1275020 30대인데 자지 잘서는게 드문 케이스냐? [3] ㅅㅅ(223.39) 04.03 135 0
1275018 진지하게 경리한테 스타킹 신던거 5만에 팔라하면 [5] 중갤러(223.38) 04.03 131 2
1275017 중고차 보는데 문짝교체는 언제 하는거냐 [5] 중갤러(223.38) 04.03 78 0
1275015 36아는형이 29여자랑 결혼한다는데 솔직히 도둑이냐?? [5] ㅅㅅ(223.39) 04.03 115 0
1275014 ㅇㅎㅇ 중갤러(223.39) 04.03 16 0
1275011 중붕이 썸녀 어때 [2] ㅇㅇ(211.235) 04.03 171 0
1275009 대기업 다니면 좋은점.jpg [4] ㅇㅇ(106.101) 04.03 212 1
1275008 밥 갤러리에 점심밥 사진 올려주세요. ㅇㅇ(183.91) 04.03 20 0
1275007 요즘 평범한 야동으로는 자극이 안옴 [3] 중갤러(211.235) 04.03 110 0
1275005 기본임금 낮게 측정해서 주는건 개열받네 [2] 중갤러(175.193) 04.03 55 0
1275004 야 우리회사 50인미만 사업장인대 위험성평가 하는데 좆같네.... [3] ㅇㅇ(211.104) 04.03 76 1
1275003 예쁜 년 존나 없는 좆소에 벚꽃은 왜 심나? [2] ㅇㅇ(61.80) 04.03 149 0
1275001 사람은 좋은데 일이 좆같을때 버티냐? [4] 바나나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68 0
1274999 내일 여친오는데 딸침 [4] ㅇㅇ(122.36) 04.03 217 0
1274998 4월 배당 [9] 고졸직훈(211.235) 04.03 209 0
1274997 방금 신입 수습기간인데 짤렸다 [9] 중갤러(211.245) 04.03 198 0
1274996 이제 겨우 월 300충인데 내년엔 다시 200충 되겠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3 121 0
1274993 평일오후에 중갤 [2] 중갤러(211.235) 04.03 41 0
1274992 문서운? 인생무엇(121.142) 04.03 22 0
1274991 요즘 2030은 결혼하면 그 중 30프로는 이혼함? [5] 중갤러(112.170) 04.03 87 0
1274990 9급 교도관 vs 서경대삼육대 입학 [1] ㅇㅇ(118.235) 04.03 82 0
1274987 신입 여직원때문에 ㄹㅇ 미치겠다.... [7] ㅇㅇ(39.7) 04.03 361 0
1274986 41살 웹디 결혼한다는데 [2] ㅇㅇ(106.101) 04.03 111 0
1274985 여자 한국나이 35이상 결혼 못함 [1] 중갤러(115.22) 04.03 149 4
1274984 중소기업은 원래 계약서 임금 이상하게 적혀있는거? 중갤러(175.193) 04.03 40 0
1274983 첫 여친이랑 어제 아다떼는데 ㅠㅠ [1] ㅇㅇ(106.101) 04.03 153 0
1274982 둘레 14에 길이 14면 무난함? [3] ㅇㅇ(211.235) 04.03 90 0
1274981 국민연금 20만원떼가네 [1] 중갤러(61.254) 04.03 77 0
1274980 중소2년차 세후 250 + 딸배부업 150 [2] 중갤러(118.235) 04.03 113 0
뉴스 이선빈, ‘감자연구소’ OST 직접 불렀다...상큼한 음색 빛나는 ‘Hailey’ 5일 발매 디시트렌드 04.0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