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의 상황 분석

ㅇㅇ(39.115) 2025.03.22 18:23:14
조회 232 추천 1 댓글 1

■ 2025~2035년: 저출산 가속의 ‘체감기’와 1차 구조변화

  1. 대학 입시

    • 학령인구 감소가 본격화되지만, 아직은 대입 정원을 크게 줄일 정도까지는 아니며 ‘지방대·사립대’ 중심으로 일부 학과 폐과·통합이 가속화됩니다.

    • 수도권 주요 대학 입시 경쟁은 여전히 치열하지만, 지방대는 ‘정원 미달’ 현상이 더 심화합니다.

    • 사교육 열풍은 여전하나, 일부 고학력 가정에서 “자녀를 한 명만 두고 집중 투자”하려는 경향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습니다.

  2. 취업 시장

    • 청년 취업난은 “질 좋은 일자리 부족” 때문에 여전하지만, 중소기업·일부 산업군에서는 이미 인력난이 나타납니다(저숙련·3D 업종 등).

    • 대기업 및 공공기관 선호현상 지속. 고학력 여성 중 출산·육아를 기피하면서 경력 유지·승진을 우선시하는 사례가 증가합니다.

  3. 사회구조 전반

    •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면서, 보육·육아휴직 지원 등 정책이 강화되기 시작하지만,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나 장시간 근로 문화는 쉽게 개선되지 않습니다.

    •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를 잇는 60대 이상 고령층 인구 증가로 의료·연금·복지 재정 압박이 더 가시화됩니다.

    • 일부 지방도시에서 학교·유치원 폐교 증가, 수도권 집중은 여전히 심화.


■ 2035~2045년: 학령인구 ‘절벽’ 가속과 중장기적 충격

  1. 대학 입시 및 교육계

    • 학령인구 급감이 대학 정원 대비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 이르러, 다수 대학·학과가 통폐합됩니다. 지방 소재 대학 중 상당수가 존립 위기에 처하거나 전문대·직업교육기관 등으로 재편됩니다.

    • 상위권 수도권 대학 입결(입학 문턱)은 상대적으로 유지되지만, 전체적인 입시 경쟁률은 서서히 하락하여, **“대학 가기는 쉬워졌으나, ‘좋은 대학·학과’는 여전히 경쟁”**이라는 이중 구도가 확연해집니다.

    • 정부는 일부 대학을 연구·특성화 중심으로 키우고, 성인 재교육(리스킬링, 업스킬링) 프로그램을 늘리며 ‘대학의 구조 전환’을 지원할 가능성 높음.

  2. 취업 및 노동시장

    • 기업이 원하는 특정 분야(IT, AI, 바이오 등) 인재는 부족하지만, 전통 제조·중소업체는 청년 인력이 줄어드는 **‘구인난’**이 심각해집니다.

    • 동시에, 인구 고령화→내수 시장 위축으로 전반적 신규 채용 규모가 줄어들 수도 있어, “일부 첨단 산업 vs. 전통 산업”의 격차가 심화합니다.

    • 여성 고학력 비율이 남성보다 높아지면서, 기업 내 여성 관리자 비율이 상승하기 시작할 수 있으나, 출산·육아 부담은 여전히 커서 출산율 자체는 회복되지 않을 가능성 큼.

  3. 사회구조 전반

    • 이 시기에 60~70대 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 의료·요양 수요 폭증과 연금 재정 악화 문제가 본격화됩니다.

    • 대도시 집중이 지속되며, 지방 중소도시 상당수는 “소멸 위험 지자체”로 전락 가능성이 높아짐. 일부 지방 광역시조차 인구 감소로 쇠퇴.

    • 다문화 가정 및 외국인 노동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움직임이 강화될 수 있으나, 문화적 갈등 문제 등 새로운 사회적 이슈가 부상합니다.


■ 2045~2055년: 생산연령인구 급감과 구조적 전환기

  1. 교육·입시

    • 고교 졸업자 수가 대학 정원보다 크게 적어져, 상당수 대학은 폐교 또는 직업교육기관으로 변모. 일부 권위 있는 대학·학과만 살아남아 국제학생 유치에 사활을 걸 수도 있습니다.

    • 학부 교육보다는 석·박사 과정, 성인 대상 재교육 과정 등이 확대되며, ‘평생교육’ 중심 패러다임 전환이 본격화될 수 있습니다.

  2. 취업 시장

    • 기계화·AI 자동화가 상당 수준 진행되어, 저숙련 일자리 자체가 크게 줄어드는 한편, 고숙련 전문직 수요는 견조할 수 있습니다.

    • 일손 부족과 AI·로봇기술 대체로 인해, 오히려 대다수 근로자는 정규 일자리를 확보하기가 쉬워질 수 있지만, “좋은 일자리 vs. 낮은 질 일자리” 간 격차가 더욱 커집니다.

    • 은퇴 연령이 70세 전후로 상향 조정되고, 연금제도 개혁이 불가피해지면서, **노인 근로(‘시니어 일자리’)**가 보편화될 가능성 큼.

  3. 사회구조 전반

    • 인구구조가 ‘노인>청년’ 형태가 되어, 가족구성 자체가 변화(1인 가구, 만혼, 비혼 증가). 결혼·출산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거나 극미하게 반등할 수 있어도 인구감소 추세는 계속됩니다.

    • 국가 재정은 복지(연금·건강보험 등)에 막대한 지출을 쏟아부어야 하고, 재정 위기가 대두될 위험.

    • 수도권 주택 수요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여전히 지방보다 인프라가 나으므로 수도권 선호는 유지. 공공주택을 통한 저출산 대책이 확대되지만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관측.


■ 2055~2075년: 본격적인 ‘인구 절벽’ 시대 진입

  1. 교육체제의 재편 완료

    • 대학·전문대 구분이 희미해지고, “평생교육 플랫폼” 형태로 대체되는 등, 고등교육기관이 지속적인 직무교육·재교육을 제공하는 쪽으로 기능 집중.

    • 해외 유학생 및 이민 유치를 위한 영어 강의·국제 프로그램 등이 확대되지만, 아시아 여타 신흥국이나 선진국과 경쟁이 심화됩니다.

  2. 노동 및 경제구조

    • 20~50대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극도로 줄어, 외국인 노동자 및 이민 정책을 확대하지 않을 경우 주요 산업 유지가 어려울 수 있음.

    • 국가 경쟁력 유지를 위해 로봇·AI에 의존하는 무인화·자동화가 극도로 발달. 한편으로 낮은 출산율 탓에 내수시장이 위축되어, 지속적 경제 성장률 저하가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 동시에, 많은 시민이 70~80대까지 근로·소득 활동을 계속하기에, “직무 전환·은퇴 연령 개인화” 같은 유연화 현상이 일상화될 전망.

  3. 사회구조

    • 일부 분야(의료, 돌봄, 헬스케어, 장례 산업 등)는 고령화 수요 덕에 호황을 누리나, 육아·교육 산업은 축소되는 등 산업 구조 양극화가 심해집니다.

    • 세대 간 갈등 문제(노령층 지배 vs. 젊은층 세금 부담 반발)가 정치·사회 이슈로 거세게 부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2075~2125년: 초고령·초저출산 사회의 안착 혹은 전환

가정: 출산율이 극적으로 상승하지 않고, 인구유입(이민)을 대규모로 수용하지 않는다는 시나리오

  1. 인구구조

    • 합계출산율 1.0 근처에서 머무르며 인구가 현재의 절반 혹은 1/3 수준으로 줄어든 상태가 지속됩니다.

    • 이민을 어느 정도 받아들였어도, 문화 동화·인프라 문제 등으로 인구감소 속도를 완전히 막기 어려웠을 수 있습니다.

  2. 대학 및 교육

    • 국내 거주 청년층이 매우 적어, 국내 교육시장보다는 국제적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나 해외 대학과 협력 체계가 보편화됨.

    • AI·가상현실을 통한 실시간 원격 교육이 일상화되어, 전통적 오프라인 대학 캠퍼스 수는 소수만 남고, 대부분은 가상공간 및 산업현장-연계형 교육으로 대체될 가능성.

  3. 노동시장

    • (만약 그때까지 경제가 안정적으로 돌아가고 있다면) 초고령 인력이 각종 지적·창의 업종에서 활약하고, AI와 협업이 극대화된 상태로 예상됩니다.

    • 반면, 저숙련 노동은 거의 로봇으로 대체되거나 해외에서 수입된 노동력으로 채워질 것이며, 국가 간 기술·인재 쟁탈전이 극심해집니다.

  4. 사회·문화

    • 결혼·출산이 ‘기본’이라 여겨지지 않고, 1인 가구·다인종·다문화 혼합 등으로 기존의 전통적 가족 개념이 크게 바뀌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노령층이 사회의 주류여서(혹은 70~80대도 건강하게 노동하고 소비), ‘느린 삶’의 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으나, 국가 재정·연금·의료비 부담은 여전히 압도적 문제.

    • 최악의 경우, 생산인구 부족·경제력 하락으로 국제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고, 정치·사회적 갈등이 심화되어 국가적 쇠퇴가 우려될 수도 있습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사회생활 대처와 처세술이 '만렙'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3/31 - -
이슈 [디시人터뷰] LPBA의 차세대 스타, 당구선수 정수빈 운영자 25/04/02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2079711 포괄임금제 어떻게 생각함 [3] 자갤러(211.235) 03.23 150 0
2079710 내일 첫출근 하는데 왤케 불안하냐 [2] ㅇㅇ(175.223) 03.23 144 0
2079709 창업 / 사업 개좆으로보이냐 취갤러(175.223) 03.23 90 0
2079707 직장 너무 다니기싫은데 창업이나 할까? [8] 취갤러(121.175) 03.23 167 0
2079705 취업하면 발생하는일 [3] 취갤러(14.43) 03.23 213 2
2079704 몸쓰는 일은 자격증 있다고 우대되지는 않아 [1] ㅇㅇ(61.98) 03.23 119 0
2079702 1억짜리 포르쉐 박스터 오픈카 덜컥 빌려타는거 어떠냐 ㅇㅇ게히(118.39) 03.23 65 0
2079701 34살 순자산 1720만원인데 인생 망했냐?? 취갤러(118.235) 03.23 75 0
2079699 개지잡 나와서 주간근무 사무직 초봉 세후 300이면 [10] 취갤러(211.49) 03.23 218 0
2079697 온라인 쇼핑몰 운영하는건 재택근무냐? [3] 취갤러(121.175) 03.23 95 0
2079695 체력약하고 쉽게 피곤해지는 성격이면 [1] 취갤러(121.175) 03.23 116 0
2079689 취업 하면 좋을거 같지 [1] 취갤러(118.222) 03.23 178 3
2079688 얘들아 요즘 망고철이다 ㅇㅅㅇ 망고먹어 [2] ㅇㅇ(223.38) 03.23 65 0
2079686 사람인 이력서 주소 잘못쓰고 제출하면 [2] 취갤러(221.155) 03.23 142 0
2079685 음식퀵하는 주부들 있네 [1] ㅇㅇ(1.232) 03.23 71 0
2079684 사무직 신입초봉 4000 취갤러(211.235) 03.23 211 0
2079682 내일 첫출근이야 [3] ㅇㅇ(106.101) 03.23 149 0
2079681 솔직히 난 지금 20대들이 계속 눈이 높았으면 좋겠음 ㅇㅇ(125.183) 03.23 138 1
2079676 아빠 전기기사 합격하심 [6] ㅇㅇ(115.95) 03.23 269 0
2079673 혹시. 면접보고 합격언제알려주나요 [2] 취갤러(39.7) 03.23 111 0
2079672 중소기업의 현실을 알려준다 (스압 주의) [1] 쇼미분석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313 0
2079670 가슴큰 여사친이랑 대화할때 시선처리를 못하겠음 [1] ㅇㅇ(39.7) 03.23 173 0
2079666 뭘 하든 미래가 없네 취갤러(106.101) 03.23 104 0
2079663 취붕이 증사 필요한데 [2] ㅇㅇ(218.209) 03.23 83 0
2079662 날씨 덥더라 반팔입자 취갤러(39.7) 03.23 45 0
2079660 정공인데 취업됨? ㅇㅇ(122.46) 03.23 63 0
2079659 내친구 노가다하는데 [2] ㅇㅇ(58.29) 03.23 158 1
2079658 지방대졸업인데도 [2] ㅇㅇ(118.235) 03.23 184 0
2079657 20대 후반 쌩신입vs31 대기업 자회사 1년 정규직. 비빌만 함? [2] ㅇㅇ(118.235) 03.23 113 1
2079655 수습기간인데 퇴사하고 싶음 [6] ㅇㅅㅇ6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321 0
2079654 외노자들이 부럽구나 취갤러(223.38) 03.23 51 0
2079652 아니 20년전에도 대기업 초봉이 ㅇㅇ(14.6) 03.23 146 0
2079651 재수 망하고 자존감 ㅈㄴ떨어져서 밖에 나가기 두려운데 어카냐 [4] ㅇㅇ(175.112) 03.23 169 0
2079650 다음주 월요일 입사인데 그 전까지 머할까 취갤러(58.124) 03.23 90 0
2079648 념글보고 궁금해서 그런데 외국애들은 취업 잘됨? [1] ㅇㅇ(110.70) 03.23 78 0
2079646 에휴 대기업들어가도 별로 안좋음 취갤러(49.109) 03.23 100 0
2079643 내 지능이 사람새끼인지 판단하는법 [5] ㅇㅇ(211.234) 03.23 228 1
2079642 커트 비용 오르면 머리 안감겨주는 조건으로 깎아줄거같았는데 아무도 안그러 ㅇㅇ(223.38) 03.23 70 0
2079641 학교에서 취업연계 취갤러(58.224) 03.23 78 0
2079640 워라밸 박살난회사 좋아질 가능성 있나 [1] 강화된멸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78 0
2079639 2030대 시발럼들이 대한민국을 망치고 있다 [2] ㅇㅇ(39.7) 03.23 182 3
2079638 동네 남자 커트도 2만원부터 시작이네 [1] ㅇㅇ(223.38) 03.23 99 1
2079637 회사면접후 몇일뒤에 통보옵니까? 파갤러(223.39) 03.23 90 0
2079636 미래 고민이다... [7] 취갤러(146.70) 03.23 81 0
2079635 취업하면 행복하니? [2] ㅇㅇ(211.235) 03.23 164 0
2079634 이런 취업난에 이정도면 취업 잘한건가요? [6] 취갤러(211.219) 03.23 457 0
2079633 너네 이상한데 가지말고 대공공 가라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28 2
2079630 너무 슬프다 국민연금 받지 못할거 생각하니까 [6] 취갤러(121.167) 03.23 127 1
2079627 사업이 답이다 [2] ㅇㅇ(118.235) 03.23 93 0
2079625 통근하는 사람들 하루에 몇시간씩걸림? [1] ㅇㅇ(125.185) 03.23 98 0
뉴스 ‘이상순♥’ 이효리 “‘폭싹’ 보며 눈물 콧물 다 쏟아…갱년기인가”(볼륨) 디시트렌드 04.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