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의 상황) 일본식 장기 불황, 남미식 경제 붕괴모바일에서 작성

채용담당자(211.234) 2025.02.17 13:04:46
조회 144 추천 0 댓글 0

지금 한국의 정책 방향과 경제·사회적 상황을 고려하면, 일본처럼 서서히 무너지는 ‘장기 불황’ 가능성이 더 높다.

하지만 정책이 잘못되거나 외부 경제 충격이 겹치면, 남미식 급격한 붕괴도 배제할 수는 없음.



1. 한국은 '일본식 장기 불황' 가능성이 더 높다.


현재 한국의 경제·사회 구조는 일본과 유사한 경로를 따라가고 있음.

특히, 저출산·고령화·부동산 문제·기업 중심 경제구조 같은 요소들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과 매우 비슷함.


✅ (1) 한국이 일본처럼 '장기 불황'으로 갈 가능성이 높은 이유


? ① 저출산·고령화 속도가 일본보다 더 심각하다.


일본도 저출산·고령화 문제로 노동력이 줄고 소비가 감소하면서 장기 불황이 시작됨.


한국은 현재 출산율 0.72(세계 최저) 수준이며, 일본보다 고령화 속도가 훨씬 빠름.


한국: 2035년이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30% 돌파 (초고령 사회)


일본: 2020년대에야 30% 돌파 (한국이 15년 빠름)




? ② 부동산 시장 붕괴 가능성이 높다.


일본도 1990년대 부동산 버블이 터지면서 경제가 붕괴되었음.


한국은 현재 가계부채(2,000조 원 이상)가 세계 최고 수준이며,


부동산 가격이 조정되면서(하락세) 금융 시스템에 충격이 올 가능성이 높음.



특히, 청년층의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면서 소비가 줄고, 경제 성장이 둔화될 가능성이 큼.



? ③ 대기업 중심 경제구조가 일본과 비슷하다.


일본은 장기 불황이 오면서 대기업만 살아남고 중소기업과 자영업이 몰락했음.


한국도 현재 대기업-중소기업 격차가 심각하며, 대기업만 살아남는 구조로 가고 있음.



? ④ 노동시장이 경직되어 있다.


일본도 1990년대 이후 고용이 정체되면서 ‘평생 비정규직 시대’로 변함.


한국도 현재 정규직 채용이 줄어들고, 계약직·프리랜서·플랫폼 노동이 늘어나는 중.


고용 안정성이 점점 낮아지는 일본과 비슷한 경로를 보임.




? ⑤ 정치적 변화가 느리다.


일본은 장기 불황 동안 정치적으로 변화가 거의 없었고, 기존 기득권 중심 정책이 유지됨.


한국도 정치권이 청년 문제 해결보다는 기득권(부동산, 대기업, 고령층) 보호 중심 정책을 유지하는 중.


빠른 정책 변화 없이 ‘기득권 보호’ 기조가 계속되면 일본처럼 장기 불황이 고착화될 가능성이 큼.




---


? 일본식 장기 불황이 오면 한국은 어떻게 될까?


경제 성장률이 1% 이하로 지속되면서 사실상 정체 상태가 될 가능성 높음.


부동산 가격 하락 + 소비 감소 → 기업 투자 감소 & 청년층 취업난 심화.


중소기업·자영업 몰락, 대기업 중심 경제 구조 고착화.


노인 복지 부담 증가로 청년층 세금 부담 상승.


청년들은 더 절약하고, 소비를 줄이며, 결혼·출산을 포기하는 경향이 심화될 가능성.



즉, 일본처럼 ‘천천히 무너지는 사회’가 될 가능성이 크다.



---


2. 하지만, 남미식 '급격한 붕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한국은 남미(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와 같은 경제적 불안 요소도 존재함.

만약 외부 충격(세계 경제 침체, 금융 위기, 기업 연쇄 도산 등)이 겹치면, 한순간에 경제가 붕괴할 수도 있음.


✅ (1) 한국이 남미처럼 급격히 무너질 가능성이 있는 이유


? ① 가계부채 & 부동산 시장 붕괴 가능성


한국의 가계부채(2,000조 원 이상)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부동산 시장이 급락하면 금융 위기가 터질 가능성이 높음.



남미 국가들도 부채 문제로 경제가 한순간에 무너졌던 사례가 많음.



? ② 대기업 붕괴 or 외국 자본 이탈 가능성


한국은 대기업 몇 개가 경제를 지탱하는 구조인데,


삼성, 현대, SK 같은 대기업이 무너지면 도미노처럼 경제가 붕괴할 위험이 있음.



만약 외국 자본이 빠져나가고, 수출이 막히면 급격한 경기 침체가 올 수도 있음.



? ③ 극단적 양극화 → 사회적 불안 증가


남미 국가들은 빈부격차가 심해지면서 정치적 혼란 & 사회적 불안이 발생했음.


한국도 현재 상위 1% 부유층과 청년층·중산층의 격차가 커지고 있음.


극단적인 계층 사회가 되면, 폭동·대규모 시위 가능성이 증가할 수도 있음.




? ④ 정치적 불안정 & 정책 실패 가능성


남미 국가들은 정부의 정책 실패로 경제가 붕괴한 사례가 많음.


한국도 정치적 대립이 심하고, 청년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급격한 불황이 올 수 있음.




---


? 만약 남미식 경제 붕괴가 오면 한국은 어떻게 될까?


부동산 거품 붕괴 → 금융권 부실 → 은행 도산 사태 가능성.


원화 가치 급락 → 물가 폭등(인플레이션) → 실질 임금 감소.


대기업 일부가 무너지면서 연쇄 도산 사태 발생 가능성.


실업률 급등 → 청년층 & 중산층 대거 몰락 → 사회적 불안 증가.


정치적 극단화 → 강경 정부 등장 or 대규모 시위 발생 가능성.



즉, 한순간에 경제가 붕괴하면서 ‘한국판 IMF 사태’가 재현될 수도 있음.



---


결론: 현재 상황에서는 '일본식 장기 불황' 가능성이 더 높다.


? 현재 한국 경제·정책 상황을 고려하면, 천천히 무너지는 일본식 장기 불황이 올 가능성이 더 높음.

? 하지만, 부동산 붕괴 + 금융 위기 + 대기업 도산 등의 외부 충격이 겹치면, 남미식 급격한 붕괴로 갈 수도 있음.


? 즉, 지금이 중요한 갈림길이며, 현재 정책 방향이 바뀌지 않으면 결국 일본처럼 서서히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

? 만약 정책 실패나 금융 위기가 겹치면 한순간에 급격한 붕괴도 올 수 있다.


결국, 지금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한국은 ‘서서히 가라앉는 배’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이슈 [디시人터뷰] 모델에서 배우로, 떠오르는 스타 이수현 운영자 25/02/21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2059744 내일 면접인데 긴장된다.. [1] 취갤러(118.235) 02.18 98 0
2059743 근데 막상 회사취업하면 [2] 취갤러(116.121) 02.18 143 1
2059742 남은 대학생활 3년동안 하루 2만원 벌기 vs 전공책 1시간 읽기 뭐하까 [1] ㅇㅇ(223.38) 02.18 55 0
2059741 아직 스펙 만들고 있는 중인데 [6] 취갤러(112.172) 02.18 137 0
2059740 음.. 대학교 2년제 방송쪽 나왔는데 취갤러(125.136) 02.18 48 0
2059739 좆소기업에도 레벨이 있음 [1] 취갤러(211.36) 02.18 123 1
2059738 광명상가 문과 경영 복전인데 서류 넣어본 후기 ㅇㅇ(125.178) 02.18 155 0
2059737 사기업도 한능검 유무를 봤었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94 0
2059736 23살에 하루 2만원 벌기 vs 1시간 책읽기 뭐가 더 가치있냐?? ㅇㅇ(223.38) 02.18 42 0
2059735 고졸백수 고민 하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103 0
2059734 20살때 할 수 있는 가장 가치있는 일거리들이 뭐냠 ㅇㅅㅇ... [3] ㅇㅇ(223.38) 02.18 89 0
2059733 암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29 0
2059730 회사 지원하고 보통 며칠 기다림? [4] 취갤러(59.30) 02.18 143 0
2059729 현실적으로 알려줘라 [6] 취갤러(211.234) 02.18 157 0
2059728 취준생 머리 염색하려는데 [3] 취갤러(116.121) 02.18 85 1
2059727 그냥 니들같은 저능아들은 나스닥롱만타라 취갤러(110.13) 02.18 43 0
2059726 엑셀 어렵나요? ㅇㅇ(106.101) 02.18 37 0
2059725 34살 고졸 모쏠 무직 무스펙 진지햐게 인생망함? 상담좀 ㅇㅇ(118.235) 02.18 79 0
2059724 울산 << 세전 1억 흔함? [3] 취갤러(222.110) 02.18 103 0
2059722 이런 KDT도 하는거 괜찮음?? [1] 취갤러(223.38) 02.18 63 0
2059721 누가 더 유명함 디바(59.28) 02.18 36 0
2059720 대기업 업무 스트레스 받는다 오지 마라 [2] 대기업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194 3
2059719 ㅈ소 생산직 다니다가 부사관커리 타야겠다 [5] ㅇㅇ(211.235) 02.18 121 1
2059718 펌) 한국인이 불행한 이유 취갤러(110.13) 02.18 59 0
2059717 면접 보자는 연락이 어제부터 계속 오네요 [1] 취갤러(122.34) 02.18 115 0
2059716 회사 산업이랑 직무 선택할때 기준이 뭐야 [1] 띠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60 0
2059715 너네 전재산 얼마있고 몇살이냐?? [9] 취갤러(175.123) 02.18 141 0
2059714 너네는 이력서넣으면 연락 오냐?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164 0
2059713 30살에 연봉 실수령으로 6000넘으면 [1] ㅇㅇ(140.248) 02.18 104 0
2059712 나도 엠생인지 봐줘 94남자임 [2] 취갤러(221.148) 02.18 157 3
2059710 ㅋㅋ 글 검색해서 보는데 개웃긴거봄 ㅇㅇ(112.166) 02.18 59 0
2059708 이번주초까지 면접결과 준다는데 오늘까지임? [1] 취갤러(118.235) 02.18 62 0
2059707 인력회사에서 일해봤는데 취갤러(211.36) 02.18 53 0
2059706 남자가 몸만 오라는데 어때? [5] 취갤러(121.145) 02.18 179 1
2059704 시설(유지 보수) vs 생산/제조 일생일대의 고민 [2] 취갤러(39.7) 02.18 125 0
2059702 망갤 테스트 ㅇㅇ(119.196) 02.18 54 1
2059701 채용건강검진이랑 요추검사에서 떨어질수잇음? 취갤러(59.187) 02.18 45 0
2059700 미용사 실기 [1] ㅇㅇ(118.235) 02.18 52 0
2059698 한달전에 지원한 회사에서 면접 연락 왔는데 [7] ㅇㅇ(118.127) 02.18 200 0
2059697 97년생 무스팩 엠생 기술 배우이라도 배우려하는데 어케 생각하냐 [3] 취갤러(221.166) 02.18 166 0
2059696 신입 개발자 연봉 2700이면 개적은거 맞죠? [7] 취갤러(112.156) 02.18 216 1
2059695 9급 교도관 학벌 근황 ㅎㄷㄷ [10] 취갤러(118.235) 02.18 317 0
2059694 취업하려다 창업해보고 느낀점 [8] 취갤러(39.7) 02.18 202 0
2059693 지랄마 00년생이 제일 암울해 [4] ㅇㅇ(211.234) 02.18 257 8
2059691 ㄲㅈ센 좀 스마트싱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8 46 0
2059690 나 탈락시킨 회사는 불매함 [1] ㅇㅇ(112.172) 02.18 71 0
2059689 작년이랑 비슷할 듯 [2] 취갤러(183.98) 02.18 84 2
2059687 요즘 청년들 취업 어려운 이유 취갤러(223.39) 02.18 171 1
2059686 술 담배 야식 안하고 운동 주 4회만 해도 취갤러(211.234) 02.18 78 0
2059685 원래 건축 설계회사 박봉이냐? [1] ㅇㅇ(114.207) 02.18 59 0
뉴스 ‘프리선언’ 김대호, MC몽과 동행 확정…원헌드레드와 전속계약 디시트렌드 02.2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