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하이데거가 비판하는 한국 공교육

ㅇㅇ(39.115) 2024.10.08 00:08:25
조회 119 추천 0 댓글 1

1. 존재의 도구화 문제

우선, 이 교육 시스템이 어떤 방식으로 인간을 도구화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자. 현재의 교육 제도는 인간을 철저히 수단적 존재로 만들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수단적 존재'란 인간이 목적 자체로 존중받지 못하고, 어떤 외부의 목적을 위해 기능하는 존재로 전락하는 것을 뜻한다. 한국의 공교육은 단지 '대학 입시'라는 외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장치로 운영되고 있으며, 학생들은 그 목표를 위한 수단으로만 여겨진다.

이것은 곧 **기술적 사고방식(Technik)**의 지배 아래 있는 것이다. 기술적 사고란, 모든 것을 하나의 목적을 위한 도구로 보는 세계관을 말한다. 교육이 본래 가져야 할 본질적 목적, 즉 인간이 스스로 존재의 의미를 찾고 자기 자신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대신하여, 성적과 대학 입학이라는 좁은 목표만이 우선시되고 있다. 기술적 사고에 빠진 교육은 인간을 그저 성적이나 수치로 환원시키며, 그들의 본래적 가능성을 무시한다. 결국 학생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왜 공부하는지에 대한 본질적 질문을 던지지 못한 채, 그저 성적을 올리기 위한 기능적 존재로 살아가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사르트르(Sartre)**의 철학에서 말하는 '타인의 시선'과 유사하다. 학생들은 자신을 '타인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며, 자신의 존재 가치를 외부의 기준(성적, 입시 성공)으로 평가받는 존재로 여기게 된다. 이는 학생들이 자기 본연의 실존적 자각에서 벗어나, 타자의 기대에 맞춰 살아가는 비본질적 존재가 되는 길로 이끈다.

2. 비본질적 존재(Das Man)의 지배

두 번째로, 한국 교육 시스템에서 드러나는 또 다른 문제는, 학생들이 **비본질적 존재(비자기성, Das Man)**로 살아가게 만든다는 점이다. 내가 『존재와 시간』에서 언급했던 **"비본질적 존재"**는, 인간이 타인의 기대와 사회적 규범에 자신을 맞추는 상태를 말한다. 즉, 우리는 자기 고유의 가능성을 실현하기보다는, 사회의 요구에 맞춰 사는 일상적 존재로 전락한다. 현재의 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에게 바로 이러한 비본질적 삶을 강요하고 있다.

공교육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와 같은 본질적 질문을 던지기보다는, '사회가 나에게 기대하는 모습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게 된다. 성적, 대학 입학, 사회적 성공이라는 기준은 이들에게 자기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덮어버리게 만든다. 학생들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소외되고, 사회의 '성공'이라는 기준에 맞추어 사는 무명성의 삶을 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위해 공부하는지를 진지하게 사유할 기회를 잃어버리게 된다. 그들은 그저 일상적 성공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달리지만, 이러한 삶은 궁극적으로 자기 존재의 본래적 가능성을 폐기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그들은 존재의 진리를 추구하기보다는, 단지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비본질적 존재로 살아가게 된다. 이것은 단순한 교육의 문제를 넘어, 우리 인간 존재의 자기 상실을 초래한다.

3. 경쟁의 본질과 타자성

또한, 네가 지적한 경쟁 문제는 철학적으로도 중요한 주제를 다룬다. 경쟁이란 본래적으로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이지만, 현재의 교육 시스템에서의 경쟁은 적대적 타자성을 강조한다. 학생들이 서로 경쟁하며 성공을 위해 달리게 되면, 그들은 타자를 단지 경쟁의 대상으로만 인식하게 된다.

이는 본래 우리가 타자와 함께 공존하고 협력하는 세계-내-존재임을 왜곡한다. 인간은 본래 타자와 함께 **공동존재(Mitsein)**로 존재하며, 서로의 존재를 통해 자기 자신의 존재를 비추어본다. 그러나 교육의 경쟁 구도는 이 공동존재성을 파괴하고, 학생들 사이에 적대적 타자성을 강화시킨다. 이는 인간 존재의 본래적 공동체성을 손상시키고, 타인을 도구화하는 결과를 낳는다. 학생들은 협력과 상호 이해를 통해 성장하기보다는, 서로를 짓밟고 우위를 차지하려는 관계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

4. 교육의 본래 목적과 회복

마지막으로, 우리가 철학적으로 성찰해야 할 것은, 교육의 본래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이다. 진정한 교육은 단지 지식의 축적이나 사회적 성공을 위한 준비 과정이 아니다. 교육은 존재를 드러내는 과정, 즉 학생이 자기 자신의 존재 가능성을 탐구하고 실현하는 장이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기 자신과 세계에 대한 진리를 발견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자기 존재를 형성해가야 한다.

현재의 교육 시스템은 이러한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서 멀어져 있다. 우리는 단순히 대학 입시와 같은 외적인 목적을 위해 교육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스스로 존재의 물음을 던지고 그 답을 찾아가는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다. 학생들은 자기 존재의 가능성을 탐구하기보다는, 외부의 평가 기준에 맞추어 자신의 가치를 정의하는 존재로 전락하고 있다.

철학적 반성을 통해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교육은 다시 존재를 위한 교육, 학생들이 스스로의 존재를 인식하고 그 가능성을 열어가는 과정으로 돌아가야 한다. 학생들이 경쟁 속에서 서로를 적대시하는 대신, 함께 공동존재로서 서로를 이해하고 협력하며 자기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타고난 드립력으로 사석에서 만나도 웃길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0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1986685 출퇴근 합쳐서 3시간인데 고시원 사는게 맞냐?.. [1] 슬퍼(125.180) 24.10.11 153 1
1986677 이번 10월 1일부터 쿠팡 물류 5일간 바짝 뛰어서 70 벌었다 [2] 취갤러(1.229) 24.10.11 170 0
1986670 베이비몬스터..... 아현 태도 논란..... ㄷㄷㄷㄷㄷㄷㄷ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11 141 0
1986668 22.8살인데 3년 버리게되면 더이상 새로운 시도를 할 기회는 없을까?? [1] ㅇㅇ(123.213) 24.10.11 155 0
1986667 조센 엄연히 주6일인데 왜 주5일이라고 구라치냐 ㅇㅇ(203.10) 24.10.11 117 0
1986666 면접관이 이런얘기도 하는구나 [1] ㅇㅇ(223.38) 24.10.11 258 0
1986664 퇴근하고 맥주한잔하러가는데 취갤러(118.235) 24.10.11 104 0
1986663 아는 지인들 내가 다니는 회사 전부 서탈이네 [1] 취갤러(175.192) 24.10.11 219 0
1986662 취업하고나니 복권사고싶어지네... 취갤러(51.159) 24.10.11 92 0
1986661 출근준비중 취갤러(211.234) 24.10.11 94 0
1986660 연세대>>>서울대 확정 노벨상배출 [2] 취갤러(106.101) 24.10.11 152 2
1986658 이제 연세대가 국내1위학교네 최초노벨상배출 [2] 취갤러(106.101) 24.10.11 135 0
1986655 울학교 에타인데 이런 애들이 기술직9급 준비하냐? [10] ㅇㅇ(223.38) 24.10.11 295 2
1986653 중앙대랑 경외시랑 취갤러(49.142) 24.10.11 146 0
1986652 취업했는데 좋은데 뭔가... 하 갈등된다... [2] 취갤러(51.159) 24.10.11 224 0
1986651 영업직인데 ,,, 뭔가 불편하다 [3] 취갤러(123.108) 24.10.11 300 0
1986648 직장은 수원, 집은 어디까지 허용됨? [7] ㅇㅇ(39.7) 24.10.11 174 0
1986647 인생이란게 기구하네 [1] ㅇㅇ(210.94) 24.10.11 159 2
1986645 나 근데 가고싶던 회사는 연락 ㅈㄴ 안오네 ㅋㅋ 취갤러(121.173) 24.10.11 107 0
1986644 1년이라도 빨리 공무원 붙어라 [6] 취갤러(59.28) 24.10.11 254 3
1986642 캬 연세대 개멋있다 한강축하 플랜카드 [1] 취갤러(106.101) 24.10.11 246 0
1986641 MD 많이 힘드냐??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11 196 0
1986638 씨발 상반기에 취갤러(222.238) 24.10.11 132 0
1986637 공장: 발암물질 [4] ㅇㅇ(223.39) 24.10.11 174 1
1986636 연락 오는거는 ㅈㄴ 케바케인게 [3] 취갤러(223.38) 24.10.11 168 0
1986635 하위 대기업 vs 공무원 9출 [7] ㅇㅇ(211.36) 24.10.11 220 1
1986634 ㅋㅋ 상반기 땐 자소서 맘에 드는 곳 한 달에 1개 썼는데 [3] ㅇㅇ(106.102) 24.10.11 215 0
1986633 서울은 대기업, 전문직 아니면 본인이 그 인프라 떠받드는 기둥역할임 [5] 취갤러(223.39) 24.10.11 182 0
1986632 인사팀에서 ㅇㅇ(39.7) 24.10.11 84 0
1986631 결국 오늘 결과 발표가 안 낫군 ㅇㅇ(106.102) 24.10.11 129 0
1986630 이틀만에 취업됨 [6] 취갤러(39.7) 24.10.11 288 0
1986629 아 ㅆㅂ 오늘까지 면접결과 연락준다면서 취갤러(118.235) 24.10.11 109 0
1986626 만 36살인데 취업 진짜 안되네 [2] ㅇㅇ(106.101) 24.10.11 301 0
1986625 합격했다 연락왔는데 입사일을 [6] 취갤러(121.130) 24.10.11 250 0
1986624 좃소특) 취갤러(223.38) 24.10.11 96 0
1986623 취업됏는데 왜 안신날까? [3] 취갤러(121.173) 24.10.11 197 0
1986622 뉴욕대학교 MBA 전액장학받은 여성분 경기외고 이대 졸 [1] 취갤러(106.101) 24.10.11 159 0
1986619 연차 안쓰는게 오히려 개꿀 아닌가 [2] 취갤러(223.39) 24.10.11 144 0
1986618 취붕이 저녁 뭐 먹을거야? 취갤러(106.101) 24.10.11 73 0
1986617 서울은 진짜 200~300받으면 월세내고 어떻게 사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11 156 0
1986616 문돌이들은 왜 이리 ㅈ도 없으면서 자의식 과잉이 심함? 취갤러(223.39) 24.10.11 109 1
1986614 업무강도 조오오온나 쉬운 중견 초봉 4200 계속 다니나? [7] 취갤러(223.39) 24.10.11 240 0
1986613 Gpt 유료 하면 도움 많이됨? [2] ㅇㅇ(118.235) 24.10.11 164 0
1986612 어차피 대학 졸업 후엔 안 보는데 왤케 인간관계 골머리 썩었을까 ㅇㅇ(118.235) 24.10.11 127 1
1986611 4조 2교대는 할만하냐 [1] 취갤러(58.78) 24.10.11 132 0
1986610 나는 애 절대 안낳을꺼다 [1] 취갤러(59.28) 24.10.11 127 1
1986609 너네는 교대근무하지마라 [4] 취갤러(211.226) 24.10.11 289 0
1986608 누가 연차를 쉽게 씀? ㅋㅋ [3] ㅇㅇ(223.39) 24.10.11 203 0
1986607 이력서 열람 <- 큰 의미 두지마라 취갤러(27.113) 24.10.11 272 11
1986606 자격증이 왜 쓸모없냐 ㅇㅇ(223.39) 24.10.11 104 0
뉴스 한상진 “나혼자 산다 보면 열불터져”…이유는? 디시트렌드 02.1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