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주거냐 혁명이냐

ㅇㅇ(210.100) 2025.04.21 11:09:51
조회 23 추천 0 댓글 0

지난 2월3일, 블룸버그가 발표한 ‘국가별 혁신지수’에서 우리나라가 1위를 차지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생산성이나 연구개발, 첨단기술 등을 따지는 모양인데 지난 9년동안 일곱번이나 1위를 차지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이튿날,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우리나라를 “완전한 민주국가”의 그룹으로 발표하였다. 시민의 권리, 선거절차, 정부기능, 정치참여 등을 따져 전세계 167개국을 4개등급으로 분류하고 민주주의의 모범이라고 강조해 온 미국을 2등급인 “결함있는 민주주의”로 매겼다니, 민주주의 성취를 위한 투쟁의 역사가 아직도 생생한 우리로서는 참으로 감개무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사실 우리나라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선진적이라고 하는 증표가 요즘 들어 속속 나타난다. 특히 코로나와 관련해서 소위 선진국들에서 벌어지는 수준 이하의 행태는 우리가 생각하는 선진국 지도가 얼마나 허상이었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고,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는 K방역은 세계 표준모델로 추진된다고도 하여 우리의 자긍심을 한껏 높인다.



외신에 의하면 경제지수도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여 대단히 좋은 소식이 많다. 블룸버그는, 우리나라의 작년 1인당 국민총소득은 이탈리아를 넘어 처음으로 G7의 수준에 이를 것이라 전했다. 사실 오래전부터 우리는 세계 상위권의 경제지수를 기록하여 왔다. 도시별로 따지는 모리재단의 ‘세계도시 경쟁력지수’에 의하면 서울은 근래 6, 7위에 줄곧 랭크되어 있다. 지지리도 못살아 외국으로부터 구호물자를 받은 때가 내 학생시절이었으니 천지개벽도 이만저만 아닌 게다. 문제는, 이렇게 돈을 많이 벌어 ‘삐까뻔쩍’하게 잘사는 우리가 그 가난할 때보다 과연 행복한가이다.



유엔은 매년 3월20일을 행복의 날로 정하고 ‘지속가능발전 해법네트워크(SDSN)’를 통해 ‘세계행복보고서’를 발간하는데 작년의 경우 우리나라는 153개국 중 61위라고 한다. 돈은 잘 버는데 그 번 돈만큼 행복하지는 않다는 게다. 이 기관에서 행복을 따지는 기준 중에 ‘거주선택의 자유’라는 항목이 있는데 우리는 여기서 140위로 매겨졌다. 그냥 최하위인 셈이다. 또 있다. 서울의 경쟁력이 세계 선두권이라 했지만, ‘삶의 질’을 따지는 머셔컨설팅에 따르면 서울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77위를 기록했다. 7위의 경제력에 77위라는 삶의 질. 이 부끄러운 불균형을 이루게 한 중요한 판별기준의 하나는 역시 주거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니 이 주거문제는 우리의 모든 찬란한 성과를 격하시키는 주범인 셈이다.



주택문제가 사회의 이슈가 된 게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지난해 하반기 임대차보호법 제정 직후 이 이슈는 더욱 확산되어 우리 모두를 곤혹에 빠뜨렸다. 사실 이 법은 행복지수를 따지는 거주선택의 자유에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선진적 장치지만 후속조치가 미흡하여, 가진 자는 가지고 있어서, 없는 이는 없어서 폭발하고 만 것이다. 급기야 이를 공급의 부족으로 여긴 정부는 2025년까지 무려 83만채를 공급하겠다는 발표를 하기에 이른다. 특별히 공공에서 주도하여 규제나 절차를 간편히 하고 개발에 따른 이익을 공유하겠다는 진보적 내용이어서, 잘만하면 우리나라 주택건설의 역사에 전기가 될 수도 있을 게다.



그러나 그래도 나는 의문스럽다. 공급이 충분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까? 그리고 행복지수가 상승할까? 사실 우리나라의 전체주택수는 전체가구수를 넘은 지 오래고, 서울의 경우도 전체가구수에 불과 5%가 부족할 뿐이라 매년 증가하는 주택수를 감안하면 숫자적으로는 문제가 아니다. 우리의 이 오래된 주택문제는 물량이 아니라 주택 혹은 주거에 대한 그릇된 인식과 부당한 공급방식에 보다 근본적 원인이 있다고 나는 짙게 의심하는 것이다.



우리가 가진 집에 대한 주된 관념은 아무리 봐도 부동산이다. 아파트만 사면 몇 억씩 순식간에 올라가니 이런 불로소득이 없어 영끌이라는 단어까지 등장하며 모두들 이 부동산 사재기에 혈안이 되었다. 자기가 사는 아파트가 안전성이 위험해서 D등급 받았다고 경축 플래카드를 내거는 민족이 되었고, 집은 가족의 단란을 도모하는 곳이 아니라 시세차익을 남기고 떠나는 재물이 된 지가 오래여서 늘 유목민적 삶을 산다. 그러니 자신의 존재를 확인해야 할 삶터에 대한 애착이 도무지 없다.



아파트는 동네가 아니라 오로지 이익결사체가 되었으며, 임대아파트에 사는 이들을 불가촉천민처럼 취급하여 소셜믹스니 사회통합이란 말은 먼 나라 일이다. 사회공동체가 아니라 부동산공동체가 된 주택단지는 지금에도 전국 방방곳곳에 똑 같은 모습으로 들어차 여기가 저기 같고 저기가 여기 같아서 건축가인 나도 구별 못한다. 단지내에서는 아무리 넓어도 교통법규도 적용이 안되고 일반시민의 차량통행을 불허하며 고립을 오히려 자랑하는 도시의 섬, 그래서 아파트공화국이란 명칭도 얻었다.



또한 공급방식이 절대적으로 공급자 위주의 선분양제여서 사용자는 물건을 보지도 못하고 사게 한다. 그래도 잘 팔리니 고민할 일이 없는 아파트설계는 개선될 리가 없다. 그래서 마감재료만 바꿔 분양가만 올린 이 아파트단지는 겉모습만 번쩍일 뿐 4,50년전이나 지금이나 사는 모습이 똑 같다. 공동의 삶? 옆집에서 누가 죽어도 모르는 곳이라 공동주택이 아니라 그저 붙어만 사는 집합주택일 따름이다.

그런데 83만호를 이렇듯 공급하고 나면 어떤 몰골일까? 더구나 용적율을 몇배나 올린다고 하니 밀집 밀폐는 뻔한 일이라 코로나시대마저 역행하는데…… 불문가지다.



삶의 질에 대한 머셔컨설팅의 조사에서 10년째 1위의 자리를 지키는 비엔나는 자가보유율이 30%(서울은 48%)를 겨우 넘을 뿐이지만 주거의 안정성은 아마도 세계 최고일 게다. 임차인은 원하면 그 임대주택을 자식에게 넘겨줄 수도 있어, 자가나 임차에 대한 관념없이 편안히 거주한다. 그래서 그들은 그들의 주거정책을 ‘비엔나 모델’이라고 칭하며 자랑하는데 그 정책을 표현하는 단어가 ‘Soziales Wohnen’이다. 이를 우리는 사회주택이라고 번역하지만 이는 오역이다. 바르게 번역하면 사회적 거주라고 해야 한다. 어떤 사회를 이루며 어떻게 모여 살 것인가라는 뜻이어서 공동주거를 기획하고 건설할 때 거주자들의 의사가 늘 우선시 되며 그 타당성이 확인되면 시정부는 전폭적 지원으로 공동주거를 짓게 한다. 물량 우선인 ‘주택정책’이 아니라 거주자의 삶의 방식에 기반하는 ‘주거정책’을 그들은 무려 백년전부터 지속해 왔다는 것이니, 그 까닭에 그들이 짓는 공동주택들은 공간구조나 형식이 모두가 다 달라 늘 연구의 대상이 되어 ‘비엔나 모델’이라는 자부심 가득한 이름을 쓰고 있다.



왜 우리는 이런 정책을 쓰지 못하고 주거문제를 여전히 부동산정책으로만 취급할까? 몰라서? 토건 투기세력이 여전히 막강해서? 단임정부라 장기정책을 펴지 못해서? 그러나 우리도 이제 부동산의 주택정책이 아니라 삶에 대한 주거정책을 펴야 하는 것은 더구나 코로나시대에 필수적이며, 사람이 먼저인 이 정부라면 더욱 그래야 하지 않을까?

백년전 스페인독감의 참상이 비효율적 비위생적 도시환경 때문이라는 것을 파악한 건축가 르코르뷔제는 ‘건축이냐 혁명이냐’라는 말로 새로운 건축을 통한 혁명적 도시개조가 불가피함을 역설한 바 있었다. 그의 말을 빌어 이 글의 제목을 단다. ‘주거냐 혁명이냐’. 우리의 정책기조가 여전히 과거지향이라면, 실로 혁명이 필요한 때이다. 그렇지 않으면, 도무지 집이 가진 고유의 아름다운 정서를 회복할 길이 없고 결국 우리의 행복지수는 올라가지 못할 게다.



프랑스 철학자 가스통 바슐라흐(1884-1962)는 ‘공간의 시학’이란 책에서 집의 아름다움을 이렇게 기술했다.


“우리들이 태어난 집은 단순한 건물 이상의 것이다/ 그것은 꿈들의 집합체/ 옛날 그 집의 구석진 곳들 모두 하나하나가 몽상의 장소였으며/ 우리들은 거기서 특별한 몽상의 습관을 익혔다/ 우리들이 홀로 있었던 집, 방, 공간은/ 끝없는 몽상, 오직 시를 작품으로 끝내고 완성시킬 수 있을/ 그러한 몽상의 무대……”





viewimage.php?id=2982d62fe2da2ca37c80d8b00183&no=24b0d769e1d32ca73fe885fa11d028316826d250223c2b2503825105dc7e45272558b980ee48136f0f7ee8147cfae7d69b08a58efc2ea05ed05cf1aedd708ed29447c0c5e95cb7e005b0





이로재 에세이 2021. 2. 23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소속 연예인 논란에 잘 대응하지 못하는 것 같은 소속사는? 운영자 25/04/21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AD [필독] 전기기사 1회 필기 미공개 복원문항 大공개 운영자 25/04/17 - -
공지 아르바이트 갤러리 이용 안내 [1529] 운영자 05.01.05 411350 119
6491817 쿠팡 일이 나이 50처먹고 갈때 없는 아줌마 개저씨들 (223.38) 14:21 1 0
6491816 고쿠 추모 아갤러(118.235) 14:20 8 0
6491815 약직 재계약은 그냥 운빨 아니냐 [2] 아갤러(61.33) 14:20 11 1
6491814 쿠팡은 나이많은 사람들만있어 ㅇㅇ(223.38) 14:19 4 0
6491813 20대 새기들이 제일 돈이 없는 거지새기들임 ㅇㅇ(182.221) 14:19 7 0
6491812 586들이 80년대 데모하고 화염병 던져놓고 (223.38) 14:19 2 1
6491811 30대 쿠재인데 쿠순아 .. [2] 아갤러(223.38) 14:19 18 0
6491810 2030대 1인분도 못하고 쿠팡 무단결근 쥰 나 많은데 [2] (223.38) 14:17 23 2
6491809 40 50 ㅂㅅ들아 아갤러(211.235) 14:16 21 0
6491808 내일 재판인데 상대가 공동상해 죄인데 합의금을 안주네요. [4] 청춘의삶이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6 19 0
6491807 ㅄ아 요새 자영업자들 20대 새기들 절대 안뽑음 ㅇㅇ(182.221) 14:16 19 0
6491806 와.. 근데 진짜 무슬림애들 냄새심하더라 [2] 아갤러(210.104) 14:16 17 2
6491805 쿠팡이라도 꾸준히 기어나오는 사람들 대단한거아님? [3] 아갤러(49.167) 14:15 26 0
6491803 집품 할 때 엉망으로 만드는 사람 나도 포함이야 아갤러(211.214) 14:15 16 0
6491802 급전 필요한 애들있냐 무이자로 백만원 빌려줌 [1] ㅇㅇ(182.221) 14:14 17 0
6491801 쿠팡알바가 그래도 설거지 홀서빙보단 낫잖아.......... [3] 아갤러(115.89) 14:14 30 0
6491798 여기 쿠팡관련 아닌글써도 반응잘만해주는데 아갤러(210.104) 14:11 23 2
6491797 김치녀는 존나 오만해서 파키스탄 남자가 제격 아갤러(211.235) 14:11 19 2
6491796 6개월동안 결근 16번했는데 이문자옴 [1] ㅇㅇ(61.96) 14:11 60 0
6491795 경광3센 이틀연속 후기.txt ㅇㅇ(118.235) 14:09 25 0
6491793 근데 알갤에서는 워터 힘들다고 징징거리고 현장에서는 10에 10이 [4] 아갤러(211.223) 14:08 36 0
6491792 50대들 빡대가리가 많은거는 사실인데???? 아갤러(211.235) 14:08 13 0
6491791 어제 알갤보고 깜짝놀램ㅋㅋ 아갤러(210.104) 14:07 35 0
6491790 마켓컬리 일용직도 건강검진 받음.??? [2] 아갤러(118.34) 14:07 25 0
6491789 씨발 그냥 죽고싶다 ㅇㅇ... 시험 조짐 걍 나가뒤짐 씨발개좆같은거 ㅇㅇ(223.39) 14:06 17 0
6491788 아빠가 시골에 땅하나 가지고있거든 [4] 아갤러(211.235) 14:06 45 0
6491787 고쿠 오후 오늘도 지원이동 보내면 3일 연속이다 ㅡㅡ [2] ㅇㅇ(223.38) 14:05 48 0
6491786 남자들 워터 리배치 걸렸을때 행동요령 [2] ㅇㅇ(39.7) 14:05 49 3
6491784 당뇨나 고지혈증, 또는 고혈압 있는 사람 있노? 아갤러(211.235) 14:03 19 0
6491783 쿠팡이라도 기어나오는애들은 ㅍㅌㅊ이상이네 [5] 아갤러(211.234) 14:03 72 0
6491782 쪽팔린줄은 아나보네 댓삭하는꼴봐라 한심한 놈 아갤러(223.38) 14:03 23 1
6491781 여기갤보니깐 왜 쿠순이들이 쿠팡남 꺼려하는지 알겠음 [5] 아갤러(1.213) 14:02 67 2
6491780 PS는왜 공정 표시없이 노랑 공통이냐 [1] 아갤러(118.235) 14:02 25 0
6491779 출확 짤렸는데 입금해라 [2] 아갤러(124.55) 14:02 20 0
6491778 586틀탁 ♡ 김치녀 환상의 커플 [1] 아갤러(211.235) 14:00 15 0
6491777 쿠팡이 꼬우면 나오지마 [2] ㅇㅇ(223.38) 14:00 37 0
6491776 캡틴 조끼 벗겨서 도망간다음 토트 레일에 태우고 싶다 아갤러(118.235) 13:59 19 1
6491774 근데 40대 50대 이 새키들은 아갤러(211.235) 13:57 45 0
6491773 개인돈 7-30일 20-500 빌려드립니다 승인률99 [1] 아갤러(211.234) 13:56 15 0
6491772 꼭 방구뀌고 나면 뒤에 사람 오더라 [1] 아갤러(118.235) 13:55 29 0
6491771 40대 50대 이 저능아 세대를 계몽시켜야 [4] 아갤러(211.235) 13:54 44 0
6491770 진열이고 집품이고 icqa이고 문제는 [2] 아갤러(115.89) 13:54 52 0
6491769 28센 허브 소팅 여캡들 아이돌 집합소네.. [3] ㅇㅇ(118.235) 13:53 40 0
6491768 쿠팡 주휴 받고싶으면 계약직을 하든가 ㅋㅋ [1] ㅇㅇ(223.39) 13:52 56 0
6491767 폐급 진열자로 인해 도미노식으로 피해가 발생함 [1] ㅇㅇ(118.235) 13:51 42 2
6491766 여자들은 잘생긴 알파메일남한데는 한없이 관대한데 이유가 뭐냐 [2] ㅇㅇ(223.38) 13:48 47 0
6491765 여자여자한 스시녀 아갤러(211.235) 13:48 16 0
6491764 잘생긴 사람이 얻는 반응 [5] ㅇㅇ(121.142) 13:46 107 1
6491762 아이폰은 보급형이 제일 괜찮은데 [1] ㅇㅇ(223.38) 13:45 31 0
뉴스 이효리, 김종민 결혼식서 놀라운 하객룩…옆자리男 ♥이상순 아니었다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